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군인
· ISBN : 9791186061268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5-05-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7
1부 제1차 인천상륙작전과 미군의 진주
1장 제2차 세계대전 종전 · 13
2장 38선 분단과 미군의 진주계획 · 19
3장 제1차 인천상륙작전 · 24
4장 하지와 주한미군 정부 · 36
5장 주한미군 철수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 · 42
2부 한국전쟁의 발발과 인천상륙작전의 구상
1장 한국전쟁의 발발 · 51
2장 스미스 특임대대의 초기 분전 · 60
3장 맥아더의 한강선 시찰과 크로마이트 작전 구상 · 63
4장 대작전의 발판 ━ 팔미도 정보작전 · 68
5장 제2차 인천상륙작전의 준비 · 72
3부 제2차 인천상륙작전
1장 인천상륙작전의 임무와 장애 · 79
2장 인천상륙작전의 전개 · 83
3장 월미도를 넘어 인천, 그리고 서울로 · 86
4장 인천상륙작전에 대한 사전인지설과 오류 · 90
5장 인천상륙작전의 결과 · 96
4부 북진과 중국군 참전 그리고 맥아더의 해임
1장 북진 명령과 중국군 참전 · 103
2장 웨이크섬 회담과 미군의 정보 오판 · 112
3장 크리스마스 귀국작전과 후퇴 · 116
4장 미군의 후퇴와 맥아더의 확전 주장 · 123
5장 맥아더의 해임 · 129
5부 맥아더 평전
1장 맥아더의 어린 시절과 초급장교 시절 · 137
2장 제1차 세계대전과 맥아더 · 141
3장 제2차 세계대전과 맥아더 · 147
4장 한국과 맥아더 · 154
5장 사라지는 노병 · 158
참고문헌 · 161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편으로는 ‘영원한 우상’으로서, 다른 한편으로는 ‘잔혹한 전쟁광’으로서 평가받고 있는 맥아더는 좀 더 객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의 행적에 대한 공과(功過)를 통해 인물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내려줘야 한다.
한국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문제 제기는 1947년 4월 29일 합동전략조사위원회(Joint Strategic Survey Committee)가 군사전략적 측면에서 대외 원조에 관한 보고서를 제출하면서 구체화되었다. 보고서에서 남한은 대외원조의 위급성에서 18개국 가운데 그리스, 터키, 이탈리아, 이란에 이어 5번째, 원조의 중요성에서 16개국 가운데 15위로, 종합하면 16개국 가운데 13위였다.
본격적인 작전 준비를 위해서는 우선 상륙부대의 선정이 우선시되었다. 당시 미 제7사단은 낙동강 전선에 있는 제24, 25사단에 인원이 차출되어 심각한 병력부족 현상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8월 11일 맥아더는 워커에게 미 제7사단의 부족 병력을 보충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군 약 7,000명을 확보하여 일본으로 보내도록 긴급 지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