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86356487
· 쪽수 : 463쪽
· 출판일 : 2015-06-1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부 예교질서의 변화와 가족공동체의 일상생활
1장 조선 후기 예론의 변동과 분화 -영남 퇴계학파로부터 근기 성호학파까지 전성건
1. 유교공동체를 바라보는 시각
2. 의리예학에서 체제예학으로
3. 자율적 덕례에서 타율적 형정으로
4. 의례중심의 유교공동체
2장 18세기 향촌 지식인의 자아 구성 -존재 위백규의 경우 김문용
1. 머리말
2. 무아와 유아 그리고 주체성
3. 향촌기임과 향촌질서
4. 가부장 의식과 공공성 문제
5. 맺음말
3장 가난, 병, 죽 -삶의 난관 앞에 선 실학자들 김선희
1. 머리말
2. 가난에 대하여
3. 병과 죽음에 대하여
4. 맺음말
4장 조선 후기 가모.출모 -담론과 어머니의 예학적 위상 김윤정
1. 머리말
2. 조선 전기의 가모.출모 인식
3. 조선 후기 가모.출모 담론의 전개
4. 조선 후기 가모.출모 담론의 성격
5. 맺음말
5장 家의 확장과 내부의 타자들 -성호학파의 여성 인식 김선희
1. 머리말
2. 강화되는 家, 배제되는 여인
3. 사나운 아내와 요란한 여성-성호가 바라본 여성의 삶
4. 家의 확장과 내부의 실천
5. 맺음말
2부 향촌사회의 예교질서와 사족공동체의 변화
6장 임진왜란 직후 대구사림의 지역사회 재건 노력과 분화 김형수
1. 머리말
2. 15세기 대구사림의 동향과 김굉필의 학문적 경향
3. 임진왜란 당시 대구사림의 활동
4. 임란 이후 대구 한강학단의 정립과 흥학 활동
5. 대구 한강학단의 분열과 지역질서의 재편
6. 맺음말
7장 임진왜란 이후 월천학맥과 예안지역사회의 재건 김형수
1. 머리말
2. 월천 조목의 예안지역에서의 위상
3. <월천선생문인록>과 월천문인의 활동
4. 월천학단의 도산서원 원생 입록과 향촌공동체 지향
5. 예안지역 향약의 시행
6. 맺음말
8장 18세기 포은가문 계후의 정치사회적 의미 김학수
1. 머리말
2. 포은가 계후의 정치사회적 배경
3. 숙종∼영조대 포은가의 계후양상과 그 진통
4. 맺음말
9장 18세기 노론의 사복 예설 -호남사족 양응수를 중심으로 김윤정
1. 머리말
2. 이재의 상례와 사복논의
3. 사복의 일상과 실제
4. 맺음말
10장 성호학파의 입후설과 변등론적 사회의식 박종천
1. 머리말
2. 성호학파 종법론의 성격과 입후설의 경향
3. 서얼문제와 변등론으로 본 성호학파의 입후설
4. 맺음말
11장 성호학파의 친족의식과 종계 활동 박종천
1. 머리말
2. 성호와 순암의 친족의식과 종계 운영
3. 광주안씨 사간공파 종중의 의례활동과 종계 운영
4. 맺음말
초출일람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