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석천마을과 공동체의 미래

석천마을과 공동체의 미래

한도현, 한필원, 김학수, 이숙인, 박종천, 이순구, 한차오지엔, 응우옌뚜언안, 최항섭 (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석천마을과 공동체의 미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석천마을과 공동체의 미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58662714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7-12-30

책 소개

조선시대 양반이었던 박세당이 어떠한 혁신과 실천을 하며 석천마을이라는 공동체를 이루었는지 규명하고 있다. 먼저, 석천마을의 공간을 분석하면서 건축학의 입장에서 박세당의 혁신 지향을 찾아본다. 특히 박세당의 거주공간을 중심으로 석천마을의 공간 구조를 이해하였다.

목차

총론_소통과 혁신의 석천마을

1부 인문학 공동체 석천마을
석천마을의 거주공간 구성과 특징
실천공간으로서의 석천마을
교육공간으로서의 석천마을
공감과 개방의 문화공동체, 석천마을
여성 존중 공간으로서의 석천마을

2부 외국의 인문학 공동체 마을
명.청 시대 화북 마을의 결속력 형성 - 북사촌의 사례를 중심으로
베트남 마을의 분쟁 해결과 협력
중세 유럽 마을공동체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와 공정성

저자소개

이숙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가족과 여성의 연구 시각으로 조선시대 사상사를 읽고 쓰는 중이다.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유교경전의 여성사상 연구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시아 학술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연구교수를 지냈고, 여러 대학에서 동양철학 및 한국철학을 강의해 왔다. 지은 책으로 『유교와 여성, 근대를 만나다』, 『또 하나의 조선』, 『신사임당』, 『정절의 역사』, 『동아시아 고대의 여성사상』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열녀전』, 『여사서』, 『오륜행실도』 등이 있다.
펼치기
한필원 (감수)    정보 더보기
1961년생. 1996년부터 한남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있으며, 2018년 복합문화공간 ‘애트’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전통마을을 찾아서』, 『종가의 멋과 맛이 넘쳐나는 곳, 봉화 충재 권벌 종가』, 『오래된 도시의 골목길을 걷다』, 『돈이란 무엇인가 - 자영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기 경영철학』(근간) 등이 있다. 공저로 『주거의 문화적 의미』, 『지식의 최전선』, 『한국의 전통생태학 1, 2』, 『신지식의 최전선』,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 2』, 『한국 문화자원의 이해』,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16세기 - 성리학 유토피아』, The Emerging Asian City, The Routledge Handbook of Cultural Landscape Heritage in The Asia-Pacific, 그리고 번역서로 『공간의 유형학 1, 2』 등이 있다.
펼치기
김학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인하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조선시대 지식문화사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허주 이종악의 삶과 풍류』, 『구미 구암 김취문 종가』, 『김천 정양공 이숙기 종가』,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조선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제주지역 유교 지식(知識)·문화(文化)의 수용 양상과 ‘제주학풍(濟州學風)’」,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등장과 전개」,「존주론의 작동과 정치이념적 家의 출현」, 「鄭經世·李埈의 穌齋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최항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한 뒤 프랑스 파리 5대학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음. 저서 및 논문으로 『지식검색과 미래일상생활의 변화』, 『IT와 인적연결망의 변화』, 『이동전화 소비에 대한 사회문화적 연구』, 『미래예측방법론』, 『집단지성의 정치경제』(공저, 한울,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이순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조선시대 여성사로 석사, 박사를 받았다. 오랫동안 국사편찬위원회에 근무하면서 조선왕조실록, 일기류 등을 통해 연구의 폭을 넓혔다. 서울시 문화재위원, 서울 역사도시위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조선의 가족 천개의 표정』(2011), 공저로 『혼인과 연애의 풍속도』(2005),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2012), 『한국여성사 깊이읽기』(2013), 『한국의 과학기술과 여성』(2019) 등이 있다.
펼치기
박종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교수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유교 및 의례이론(예학)을 주전공으로 박사학위(철학박사)를 받았다. 제9회 다산학술상 우수연구상, 제3회 석탑연구상, 제4회 석탑연구상 등을 수상했고, 조선시대 문화와 한국종교사, 종교학이론 외에도 영화, 만화, 컴퓨터게임, 문화콘텐츠, 한류 등 다양한 영역과 장르에 걸쳐 한국의 전통문화와 현대 대중문화를 포함한 인문학과 문화산업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다산 정약용의 의례이론》, 《만화, 생사의 미궁을 열다》, 《예, 3천년 동양을 지배하다》, 《양동마을과 공동체의 미래》, 《석천마을과 공동체의 미래》 등이 있다.
펼치기
한차오지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산동대학교 역사문화학원 전임강사
펼치기
응우옌뚜언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트남 국립하노이대학교 사회학 부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