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91186430095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5-10-3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시작하는 글
제1장 동네의 발견
1. 동네 이야기
2. 동네의 매력
3. 동네의 주인들
4. 동네의 재발견
제2장 동네복지의 가치
1. 동네 사회자본
2. 동네 거버넌스
3. 동네 인큐베이팅
4. 국가복지에서 동네복지로의 전환
제3장 복지동장 이야기
1. 동네에 대한 이해
2. 동네 사람들과의 소통과 공감
3. 동네 사람들과의 협력
4. 동네 자원의 발굴과 통합
제4장 동네복지를 만들어가는 이야기
1. 주민센터의 복지허브화
2. 우리 동네 이웃 지킴이
3. 행복나눔 우체통
4. 동네 행복드림
제5장 살맛나는 동네복지 이야기
1. 생활복지 홍성 풀무동네
2. 다문화복지 제천 누리동네 빵카페
3. 종합복지 마포구 성미산 동네
4. 아파트복지 노원구 청구3차아파트
5. 대안개발복지 성북구 장수동네
제6장 동네복지의 행복한 미래
1. 돌봄과 교육이 살아있는 동네
2. 세대가 어우러지는 동네
3. 골목경제가 살아있는 동네
4. 안심하고 오래 살 수 있는 동네
5. 작은 나눔이 있는 동네
저자소개
책속에서
동네공화국의 완성
우리는 정말 행복하게 살 수 있을까? 나는 이 물음에 대한 해답을 다시금 동네로 귀환하는 데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공동체를 복원하고 이웃과 더불어 공생하는 지역사회를 만드는 것에서 해답을 구할 수 있다. 시대의 스승 마하트마 간디는 무엇보다 '자치'를 중요하게 여겼다. 동네공동체는 일명 동네공화국이라고 표현한다. 간디는 미래세대의 국가 모습을 동네공공자치제에서 찾고자 하였다. 동네공화국 수십만 개가 인도라는 국가를 이루기를 바랐던 것이다. 그는 나눔과 배려라는 복지의 원형이 동네와 만나고, 공동체문화, 공동체경제, 공동체교육이 어우러진 동네공화국의 완성을 꿈꾸었던 것이다. - 맺음말 중에서
동네복지가 추구하는 미래의 동네
동네복지는 사람중심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이웃이 이웃을 서로 도우며 살아갈 수 잇는 동네복지체계는 더불어 사는 동네공동체를 만드는 바탕이 된다. 공간을 바꾸는 것도, 보행조건을 감안하여 개선하고, 자전거 길을 활성화하여 사람중심의 대중교통체계를 세워야 한다. 지역화폐나 협동조합과 같은 연대경제시스템을 통해 골목경제가 살아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것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해야 이웃 간의 정을 느끼고, 범죄나 폭력을 예방하고, 머물고 싶은 동네가 된다. 놀기와 여가가 상호작용하는 동네가 바로 동네복지가 추구하는 미래의 동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