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작가론
· ISBN : 9791186430798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8-10-25
책 소개
목차
논문 저자 소개 ………………………………………………………………………………6
편집자의 글 ………………………………………………………………………………… 10
01. 서문(W. J. 레더바로) …………………………………………………………… 12
02. 도스토옙스키와 러시아 민속유산(페이드 빅젤) ………………… 48
03. 도스토옙스키와 문학: 1840년대 작품들(W. J. 레더바로) …… 96
04. 전문 작가로서의 도스토옙스키(윌리엄 밀스 토드 3세) …… 132
05. 도스토옙스키와 돈(보리스 크리스타) ……………………………… 183
06. 도스토옙스키와 인텔리겐치아(데렉 오포드) …………………… 215
07. 도스토옙스키와 심리학(로버트 L. 벨크납) ……………………… 250
08. 도스토옙스키와 종교(말콤 V. 존스) ………………………………… 284
09. 도스토옙스키와 가족(수잔 푸소) ….…………………………………… 331
10. 도스토옙스키와 과학(다이앤 오닝 톰슨)…………………………… 362
11. 결론: 도스토옙스키 읽기(게리 솔 모슨) …………………………… 403
참고문헌 ………………………………………………………………………………… 455
저자소개
책속에서
도스토옙스키의 소설은 동시대인들이 느꼈던 것과는 다른 의미로 현 시대가 직접 당면한 관심사들과 아직도 끈질기게 관련되어 있다. 사회적으로나 시대적으로 거리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이나 『악령』에 묘사된 세계는 톨스토이나 투르게네프가 묘사한 세계보다 훨씬 더 지금과 닮아 있다. 조지 스타이너는 '도스토옙스키가 톨스토이보다 현대 사상의 구조를 더 깊게 통찰했다'는 도전적인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즉 현대소설의 '형식과 심리'를 결정하는 데, 그리고 현대소설의 아젠다(의제)를 설정하는 데 도스토옙스키가 19세기의 어느 작가보다 더 많이 기여했다는 조지 스타이너의 진보적인 주장이 지나친 과장으로 보이지 않는다.
전통문화에 대한 도스토옙스키의 관심이 시베리아 유배생활을 통해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해 서술했다. 또한 감옥 안에서 발견한 사람들과 신앙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그를 도덕적이고 지적으로 발전하게 만들어주었다고 주장했다. 즉 도스토옙스키는 러시아 식자층을 감염시킨 서유럽 지성주의라는 질병으로부터 러시아를 구원해준 열쇠인 종교문화와 구비문화에 내재된 '평범한 러시아인들의 가치'를 알아본 것이다. 빅젤은 도스토옙스키의 소설들(특히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과 『백치』)에 이러한 시각이 잘 표현되어 있다고 서술한다.
도스토옙스키는 뇌전증 환자였고, 자기 질병의 병리학을 예술적 목적으로 다루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뇌전증에 대해선 특별히 더 말할 것이 없었다. 왜냐하면 제임스 L. 라이스가 이미 그러한 주제를 종합적으로 조사 연구했기 때문이다. 자살의 주제가 예술적 장치로서 도스토옙스키의 소설에 도입되었지만, 같은 이유로 이리나와 슈나이드만의 자살에 관한 논문 역시 이 책에서는 배제되었다. 도시는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특히 1840년대 작품들의 주요 요소이다. 푸시킨의 『청동기마상』(1833)부터 안드레이 비토프의 『푸시킨 하우스』(1978)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문학에서 도시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전통'을 이어받으며 문학적으로 중시됐다. 도시는 문학비평에서도 충분히 분석되었다. 섹슈얼리티와 젠더의 문제는 이 책에 실린 몇몇 에세이에서 언급되고 있지만, 다른 문헌을 찾아볼 것을 권한다.
몇 가지가 누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 실린 주제들은 도스토옙스키의 창작세계가 차지하고 있는 문화적 토양을 가장 명확하게 연구하는 데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도스토옙스키에 대한 비평적 안내서가 갖는 첫 번째 목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