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6463413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9-04-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교사와 아이들의 힐링캠프, 보건실을 아시나요?
1부. 학교에서 상처를 받다
1. 보건교사도 임용고시 봐요?
2. 간호학과 10% 학생, 보건교사로의 눈물겨운 스토리
3. 학교에서 주변 교사로 산다는 것
4. 교사 vs 보건교사, 나는 누구인가?
5. 어느 날 아이들의 상처들이 보였다
6. 아이들의 상처에서 나의 가치를 발견하다
2부. 교사, 배우면서 가르치는 선생님으로 성장한다
1. 보건교육, 교육해야 하는 이유를 알다
2. 강의식 교육에서 수업의 문제점을 찾다
3. 일상에서 수업재료를 발견하다
4. 20년 차 보건교사가 알려주는 보건수업의 기술
5. 성교육, 흡연 예방교육도 바라보는 관점이 중요하다
6. 교사, 마음을 흔드는 교육의 중요성을 깨닫다
3부. 보건실에서 일어나는 좌충우돌 성장 스토리
1. 학교 보건실이 동네 보건소?
2. 아이들, 보건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다
3. 영웅이 되고 싶은 아이들, 보건실을 습격하다
4. 학교 건물도 아이들을 다치게 한다
5. 나에게도 엑스레이 투시 능력이 있었으면 좋겠다
6. 부모의 잘못된 신념에 대처하는 자세
7. 습관 속에서 발견하는 나비효과 법칙
8. 학교의 사계, 그리고 아이들의 사계
9. 면역력 공식: 잘 먹고, 잘 자고, 잘 싸고, 잘 놀고
10. 응급상황 119, 생명을 살리는 찰나의 순간
11. 학교는 안전한가??
4부. 마음이 아픈 아이들, 치유가 필요한 아이들
01. “선생님, 머리가 아파요!”를 통해 본 진실
02. [교사 처방전] 아이들의 스트레스를 발견하다
03. “학원 안 가서 좋겠어요”에 숨겨진 아이의 진심
04. [교사 처방전] 번아웃 증후군을 보다
05.?“친구들이 저를 좋아하지 않아요”에 담긴 상처
06. [교사 처방전] 인정의 욕구를 표현하다
07. “병원에 갔는데 아무 이상이 없대요”에 나타난 질병
08. [교사 처방전] 신체화 증상을 의심하다
09. “너 손톱 맛있게 먹는구나!”에 들어 있는 아이들의 불안
10. [교사 처방전] 감정의 억압을 표출하게 하라
11. “재는 왜 저러니?”라는 말을 듣는 아이들의 환경
12. [교사 처방전] 아이들의 주변을 이해하라
13. “재는 왜 욱하는 걸까?” 아이의 분노
14. [교사 처방전] 분노장애와 ADHD를 의심하라
5부. 아이들 덕분에 교사도 성장한다
1. 아이들이 나를 성장시킨다
2. 교사에게도 성장통은 있다
3.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나는 학교 엄마다!?
4. 아이들과 함께하는 즐거움의 발견
5. 아이들에 대한 관심에서 전문가로 성장한다
6. 따뜻한 사람이 따뜻한 교사가 된다
7. 성장하는 아이와 함께 있는 교사는 행복하다
6부. 교사라면 꼭 알아야 할 학부모 갈등 해결 매뉴얼
1. 응급상황 발생, 단계별 대체 방법을 숙지하라
2. 사고일지, 법적증거물을 기록하라
3. 등교중지, 법정 감염병에 대처하라
4. 건강관리, 검강검진 필수 항목을 준비하라
5. 정서행동검사, 학부모에게 멱살 잡힐 각오를 하라
6. 아동학대, 성폭력 SOS, 신고정신으로 똘똘 뭉친 교사가 돼라
│에필로그│ 교사와 아이들은 상처를 통해 성장한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자신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방법이 필요했다. 어느 날 폭력예방 연수를 받으러 갔는데 강사가 하는 말이 내 마음을 파고들었다. 다른 사람의 평가에 왜 그토록 신경 쓰느냐고 했다. 다른 사람들이 하는 좋은 말들은 믿지 않으면서 왜 부정적인 말에는 그렇게 매달리냐고 말이다. “모든 사람들이 여러분을 좋아한다는 것은 여러분에게 무슨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어떠한 누구도 모두를 기쁘게 할수는 없으니까요.”
- <1부. 학교에서 주변 교사로 산다는 것>
교사는 이래야만 되고, 저래야만 된다는 관념에 무거운 갑옷을 입은 듯 나 아닌 다른 사람으로 살아가는 나 자신을 발견하곤 했다. 답답했다. ‘모범을 보여야 하고, 솔선수범해야 하고, 아이들을 사랑해야 하고,늘 현명한 분별력으로 올바른 판단을 내려주어야 하고’ 등의 기대 속에서 내 감정을 드러내기보다 차곡차곡 쌓는 일이 많아지자 감정이 소진되는 것을 느꼈다. 신적인 존재인 교사로서의 삶은 불편하다. 학교는 항상 답답했고 어디론가 탈출하고 싶었다.
- <2부. 교사, 마음을 흔드는 교육의 중요성을 깨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