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문학 > 청소년 소설
· ISBN : 9791186639795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8-09-1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_세계를 알아 가고 생각의 폭을 넓히는 독서
이 책의 구성
제1부 주체적이고 참된 삶
1장 열악한 환경을 극복한 주체적 인간형
1. 상상력 풍부한 꼬마 소녀 《빨간 머리 앤》
2. 개구쟁이 소년의 성장기 《톰 소여의 모험》
2장 가정의 소중함을 그린 성장기 소설
3. 어린 시절의 아픔을 지나 청년으로 《나의 라임오렌지 나무》
4. 가족에게 상처받은 사춘기 소년 《홍당무》
3장 참된 삶이란 무엇인가?
5. 어린아이가 알려 주는 행복의 의미 《어린 왕자》
6. 문학으로 철학하기 《톨스토이 단편선》
7. 유대 민족을 강성하게 한 지혜의 보고 《탈무드》
제2부 문학적 상상력과 과학
4장 문학적 상상력과 과학의 쾌거
8. 과학 발전을 촉진한 작가의 상상력 《해저 2만 리》
9. 공상으로 만들어 낸 미래 세계 《타임머신》
5장 추리와 상상력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10. 오랜 저주와 죽음의 미스터리를 풀다 《바스커빌 가문의 개》
11. 무한한 상상력으로 펼쳐지는 환상의 세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12. 마법의 세계에 빗대 현실을 비판하다 《오즈의 마법사》
제3부 문화와 세계화
6장 세계화 시대에 알아야 할 설화 문학
13. 천 하루 동안 펼쳐지는 신기한 이야기 《아라비안나이트》
14. 서양 문화의 바탕이 된 신들의 이야기 《그리스 로마 신화》
7장 소설 속에 나타난 문화 우월주의
15. 개척정신과 모험심 뒤에 자리한 인종적 우월주의 《로빈슨 크루소》
16.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사랑과 자비, 탐욕과 물질주의 《베니스의 상인》
제4부 사회 개혁과 역사
8장 사회 개혁 의지를 담은 작품들
17. 가난과 불행을 딛고 인간애의 위대함을 보인 장발장 《레미제라블》
18. 고아 소년을 통해 본 산업화와 계층 간의 격차 문제 《올리버 트위스트》
19. 속죄로써 되찾는 잃어버린 인간성 《죄와 벌》
20. 이상과 현실, 용기와 무모함의 차이 《돈키호테》
9장 국가와 민족, 그리고 정의
21. 역사에 남은 영웅들의 삶을 통해 교훈을 전하다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22. 유비, 관우, 장비의 삼국시대 통일기 《삼국지연의》
23. 시골 청년 다르타냥과 삼총사가 펼치는 모험 《삼총사》
24. 신과 요괴의 이야기로 인간에게 깨달음을 전하다 《서유기》
25. 실제 이야기 위에 소설로 그린 민중의 이상향 《수호지》
예시 답안
리뷰
책속에서
자서전은 작가 자신의 생애나 중요한 사건을 중심으로 사실적으로 기록한 전기의 한 종류입니다. 자서전은 작가 스스로가 자신의 실제 경험임을 밝히고 글을 시작하므로 자전소설과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경험담을 쓰다 보면 자신을 미화하는 부분도 있을 수 있지만, 작가는 자신의 양심에 따라 진실되게 써야 합니다. 자전소설은 작가 자신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하되, 그것에 허구적인 요소가 덧붙여지고 사건을 재구성해 만든 이야기 즉, 소설입니다. 자전소설에서 허구적인 부분이 덧붙여지는 것은 어디까지나 소설이기 때문에 가능하며, 이야기의 재미나 극적인 효과를 내기 위해서입니다.
인과법칙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무슨 일이든지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다는 말입니다. 반대로 결과가 있는 곳에 반드시 원인이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는 속담이 이에 속합니다. 사자성어로는 ‘종두득두(種豆得豆)’라고 합니다.
추리란 바로 이렇게 원인과 결과를 따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추리 수사는 현재 드러나 있는 몇 개의 증거를 바탕으로 어떤 사실이 발생했음을 미루어 짐작함으로써 사건의 원인 제공자를 추적해 범인을 가려내는 방법으로 과학적인 수사 방법의 기초가 됩니다.
구비문학이란 문자가 없던 시절에 만들어져 문자로 기록되기 이전에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온 문학을 말합니다. 말로 전해지는 문학이라고 해서 구전 문학이라고도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옛날이야기들은 거의 구비문학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구비문학은 특정 작가가 지어낸 이야기가 아니고, 여러 사람들의 입을 통해 전해지면서 다른 내용이 보태지고 비슷비슷한 이야기들이 많이 만들어집니다. 가령 《춘향전》은 삼국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설화로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게 전해져 여러 종류의 《춘향전》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