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86689240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9-02-28
책 소개
목차
PART Ⅰ 조직문화의 의미
CHAPTER 1 조직문화 개념의 등장배경
1.1 조직문화의 실무적 등장배경
1.2 조직문화의 학문적 뿌리와 제 관점
1.2.1. 조직문화 개념의 복잡성과 원인
1.2.2. 문화인류학에서의 조직문화
1.2.3. 경영학에서의 조직문화 연구의 발달경로
1.3. 한국의 조직문화 연구 및 적용내용
1.3.1. 학계의 연구흐름과 내용
1.3.2. 실무계의 적용내력과 내용
CHAPTER 2 조직문화 개념의 쇠퇴/부활과 중요성
2.1 조직문화의 유행과 쇠퇴
2.2. 기업문화의 부활과 중요성
2.2.1. 기업문화와 기업성과의 관계 입증에 따른 관심 증대
2.2.2. 문화충돌 극복을 위한 문화관리의 필요성 증대
2.2.3. 윤리경영의 내재화와 기업문화로의 정착화 필요성 증대
2.2.4. 밀레니얼 세대 등장과 워라밸 추구에 따른 조직문화 변화
2.2.5. 새 시대 조직관리와 통합의 원천으로서 기업문화의 필요성 증대
2.2.6. 초우량 명품기업과 기업문화의 역할
CHAPTER 3 조직문화의 의미와 구성요소
3.1. 조직문화의 제 관점과 의미
3.1.1. 조직문화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
3.1.2. 조직문화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
3.2. 조직문화의 수준과 구성요소
3.2.1. 조직문화의 수준
3.2.2.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3.3. 유사개념과 비교
PART Ⅱ 조직문화의 영향요인과 효과
CHAPTER 4 조직문화의 영향요인
4.1. 조직문화의 영향요인 유형 구분
4.2. 조직문화 영향요인과 조직문화와의 상호작용 관계
4.2.1. 개인과 조직문화와의 상호작용
4.2.2. 부서와 조직문화와의 상호작용
4.2.3. 그룹과 조직문화와의 상호작용
4.2.4. 고객과 조직문화와의 상호작용
4.2.5. 제품과 조직문화와의 상호작용
4.2.6. 단체와 조직문화와의 상호작용
4.2.7. 산업과 조직문화와의 상호작용
4.2.8. 국가와 조직문화와의 상호작용
4.2.9. 사회와 조직문화와의 상호작용
CHAPTER 5 조직문화와 성과와의 관계
5.1. 조직문화의 정적 측면과 성과
5.1.1. 문화의 전체적 측면(특성)
5.1.2. 문화의 하위요소 측면
5.2. 조직문화의 동적 측면과 성과
5.3. 성과의 수준(level)에 따른 관계
5.3.1. 조직문화와 팀수준 성과와의 관계
5.3.2. 조직문화와 개인수준 성과와의 관계
5.4. 조직문화-성과 연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PART Ⅲ 조직문화의 측정
CHAPTER 6 육하원칙에 입각한 조직문화 측정 논의
6.1. 누가(Who) 측정할 것인가?
6.2. 무엇을(What) 측정할 것인가?
6.2.1. 문화의 구성요소 측정
6.2.2. 문화의 수준에 따른 측정
6.2.3. 문화의 강도 측정
6.2.4. 문화의 격차 측정
6.3. 언제(When) 문화를 측정할 것인가?
6.4. 어떻게(How) 문화를 측정할 것인가?
CHAPTER 7 조직문화 측정의 대표적 도구와 활용법
7.1. Kilmann-Saxton Culture Gap Survey
7.1.1. 측정도구의 구성과 내용
7.1.2. 집계 및 분석방법
7.1.3. Kilmann-Saxton Culture Gap Survey의 국내 사례
7.2. Competing Values Framework
7.2.1. CVF에 기반한 조직문화 유형파악
7.2.2. CVF에 기반한 리더십 유형파악
7.2.3. CVF에 기반한 리더십 역량평가
7.3. McKinsey의 조직건강도(OHI)
PART 4 조직문화의 관리방법
CHAPTER 8 조직문화 변화의 가능성, 방법론 및 오류
8.1. 조직문화의 관리가능성과 변화관리의 의미
8.1.1. 조직문화의 관리가능성
8.1.2. 조직문화 변화관리에 대한 제 관점 정리
8.2. 조직문화 변화의 제 방법론
8.2.1. 조직문화 제 수준 간 영향관계
8.2.2. 조직문화 변화의 방법론 구분
8.3. 조직문화 변화관리상 오류와 고려사항
8.3.1. 외국 기업 조직문화 관리상 모순과 극복방법
8.3.2. 한국 기업의 문화관리상 오류의 주 내용
8.3.3. 조직문화관리 성공과 실패의 2요인 이론
CHAPTER 9 조직문화 변화관리의 올바른 방향
9.1. 조직문화 변화관리의 방향 vs 방법
9.2. 한국기업 조직문화의 주요 현상과 이슈의 해결방안
9.3. 시장 및 자유민주주의 수호와 조직문화 변화관리
CHAPTER 10 조직문화 변화관리의 올바른 방법
10.1. 조직변혁의 출발점과 추진력으로서 조직문화 관리
10.1.1. 조직변혁의 필요성과 의미
10.1.2. 변혁의 핵심성공요인과 과정
10.1.3. 조직문화 변화단계의 구체적 내용
10.2. 조직문화 제 요소의 정립과 정렬
10.2.1. 조직문화 제 요소의 정립
10.2.2. 조직문화 제 요소 간 정렬
10.3. 조직문화 변화관리에서의 기타 고려사항
10.3.1. 조직문화의 변화주체
10.3.2. 조직문화 변화의 소요기간
10.3.3. 조직수명주기 단계별 문화변화 관리
CHAPTER 11 문화충돌과 문화변화 관리
11.1. 문화충돌과 문화변화 관리의 유형
11.2. 문화충돌 유형별 이슈와 문화변화 관리의 방법
11.2.1. 국가 내-기업 내 문화충돌: 유형 ① & ⑤
11.2.2. 국가 내-기업간 문화충돌: 유형 ② & ⑥
11.2.3. 국가간-기업 내 문화충돌: 유형 ③ & ⑦
11.2.4. 국가간-기업간 문화충돌: 유형 ④ & ⑧
ㆍ 참고문헌
ㆍ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