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윤리학/도덕철학
· ISBN : 9791186749098
· 쪽수 : 564쪽
· 출판일 : 2019-06-28
책 소개
목차
1장 다윈 내면의 목소리
2장 도덕적으로 생활하기
3장 이타주의와 무임승차자들
4장 우리들의 직접적인 조상에 대해 알기
5장 공경할 만한 조상들 부활시키기
6장 자연 속 에덴동산
7장 사회적 선택의 장점
8장 대를 뛰어넘어 전해지는 도덕
9장 도덕적 다수가 하는 일
10장 플라이스토세의 흥망성쇠
11장 평판에 의한 선택 가설 시험하기
12장 도덕의 진화
마치며 인류와 도덕의 미래
감사의 말
주석
참고자료
색인
리뷰
책속에서
즉 짧은 시간에 걸쳐 영구적인 창조가 이뤄진다는 성경의 이야기는 여러 영역에 의해 토대가 흔들렸으며, 다윈은 그 모든 영역을 한데 통합해 무척 논리적이고 우아하게 기술된 자연선택 이론을 만들었다. 하지만 다윈의 새로운 이론은 종교 근본주의자들의 굳건한 믿음에 대해 무례하게 도전을 제기한 셈이었고, 그래서 근본주의자들 가운데 상당수는 이 '진화론'을 개인적으로 비난했다. 마치 오늘날 진화론자들이 발표하는 이론적 시나리오를 조목조목 비판하려 애쓰는 반과학주의 종교 신자들과 비슷했다. 이들은 종종 이전까지는 설명되지 않았던 몇몇 예외적인 사례가 널리 잘 받아들여지는 이론 전체를 '논박'한다고 간주하곤 했다. 나 같은 과학자가 보기에 이 논리는 자포자기 한 채 발악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런 사람들은 결코 믿음을 잃지 않는다. 게다가 이들의 이야기를 귀담아 들으려는 사람이 꽤 많다.
하지만 똑똑하고 세심한 과학자였음에도 다윈은 양심의 기원에 대한 그럴 듯한 과학적인 사례 같은 데이터가 없었다. 그럼에도 다윈은 최선을 다했고, 당시 상황에서는 그 정도로도 효과가 꽤 좋았다. 1871년에 '공감'에 대한 본능에 대해 다윈이 기술한 다음 구절은, 오늘날까지도 도덕의 기원에 흥미를 가진 제시카 플랙(Jessica Flack) 같은 진화 생물학자라든지 프란스 드 발(Frans deWaal) 같은 영장류학자가 인용할 정도다. "두드러진 사회적 본능과 어버이로서의 감정, 무리에 대한 소속감을 가진 동물이라면, 인간만큼 또는 인간에 가깝게 지력을 발달시킨 순간 도덕적인 감각 또는 양심을 갖게 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