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86749104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9-11-30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호기심
2장 호기심 많은 인물 : 레오나르도 다 빈치
3장 호기심 많은 또 다른 인물 : 리처드 파인만
4장 호기심에 관한 호기심 : 정보 격차
5장 호기심에 관한 호기심 : 지식을 향한 본질적인 사랑
6장 '왜'라고 묻는 인간의 등장
8장 호기심 강한 사람들과의 인터뷰
9장 왜 호기심인가?
에필로그
미주
참고문헌
그림출처
색인
책속에서
따라서 내가 이미 오래 전부터 다음과 같은 질문에 강한 호기심을 느낀 것은 지극히 당연히 일이었다. 호기심을 유발하는 것은 무엇일까? 호기심과 탐구의 기저에는 무엇이 놓여 있을까? 호기심은 내 전문 분야가 아니었으므로 나는 방대한 양의 연구를 진행하고 수많은 심리학자와 신경학자로부터 자문을 구해야 했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수많은 학자와 이 주제에 관해 논의해야 했을 뿐만 아니라 유난히 호기심이 많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을 인터뷰해야 했다.
홉스는 '왜인지 알고 싶은 욕망'이 인간을 다른 생명체와 구분 짓는 특징이라고 보았다. 7장에서 살펴보겠지만 오늘날 인류가 이렇게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왜?'라고 묻는 능력 덕분이다. 아인슈타인 역시 자신의 전기 작가에게 '나에게는 특별한 재능이 없다. 그저 열정적인 호기심이 있을 뿐이다.'라고 말하며 인식적 호기심을 언급한 바 있다.
인류는 정보를 탐하는 '정보탐식가(정보를 수집하고 해석하고자 하는 욕망에 사로잡힌 사람-옮긴이)'로 설계되었다고 말한다. 호기심이라는 가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우리가 때때로 무릅쓰는 위험을 달리 어떻게 설명할 수 있단 말인가? 로마의 위대한 웅변가이자 철학자인 키케로는 율리시스가 항해 도중 사이렌 섬을 지나친 것을 인식적 호기심의 유혹에 저항하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했다. "지나가는 여행자를 끌어들이던 것은 사이렌의 달콤한 목소리나 그들이 부르는 참신하고 다양한 노래가 아니라 지식을 향한 욕구였다. 사람들로 하여금 사이렌의 험준한 해안에 뿌리내리게 한 것은 지식을 향한 욕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