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통사간본

중국통사간본

판원란, 채미표 (지은이), 김승일, 전영매 (옮긴이)
경지출판사
2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통사간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통사간본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91186819326
· 쪽수 : 606쪽
· 출판일 : 2016-11-07

책 소개

범문란, 채미표 등이 저술한 <중국통사(中國通史)> 총 12권의 축소판이다. '현재와 가까운 역사는 상세하게, 오래된 역사는 간략하게' 라는 원칙에 따라 원작의 일부 장절을 생략했거나 종합했다.

목차

제1장 상고대 - 진(秦)의 통일
제1절 원시인과 원시공동체(原始公社) 시대
1.중국 경내의 원시인
2.원시공동체 사회의 유적
3.전설속의 중국주민
4.원시공동체사회제도
제2절 하(夏)ㆍ상(商)시기 19
1.하(夏)왕조의 전설19
2.상(商)왕조의 사적21
제3절 봉건제도의 시작 - 서주(西周) 25
1.고공(古公)이주(周)나라를 세우다
2.상(商)의 멸망과 주(周)의 대봉건 시대
3.서주의 경제구조
4.서주의 멸망
제4절 열국(列國) 합병시대 - 동주(東周)
1.동주(東周)의 사회구조
2.왕실의 쇠락과 대국의 패권다툼
3.동주(東周)의 경제
4.신구제도의 변천
5.고대문화의 창조
6.공자(孔子)와 유가(儒家)
7.유학(儒學)과 유경(儒經)
8.묵자(墨子)와 묵가(墨家)학설
제5절 치열한 각축시대 - 전국(戰國)
1.전국(戰國)의 형세
2.경제상황
3.7국의 멸망과 진(秦)의 통일
4.전국시기의 사상가
5.문학과 과학기술

제2장 진(秦)한(漢)에서 수(隋)의 통일까지
제1절 진(秦)
1.한(漢)족의 통일국가 창립
2.농민 대봉기와 초(楚)ㆍ한(漢)의 전쟁
제2절 서한(西漢)
1.서한의 정치 개황
2.몇 가지 중요한 제도
3.왕망(王莽)의 신(新)나라
4.농민 대봉기
5.경학ㆍ사학ㆍ문학
제3절 동한(東漢)ㆍ삼국
1.동한 전기의 개황(한 광무제에서 한 장제까지)
2.동한 후기의 개황(한 화제에서 한 영제까지)
3.분열시기(한 헌제에서 동한의 멸망까지)
4.삼국의 정립
제4절 서진(西晉) 16국 시대
1.서진의 정치개황
2.16국의 대란
제5절 남조(南朝)와 북조(北朝)
1.남조 다섯 왕조의 교체
2.북조 위(魏)ㆍ제(齊)ㆍ주(周)의 흥망

제3장 수당오대(隋唐五代)
제1절 수(隋)
1.나라의 통일을 공고히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조치
2.남북통일 후의 경제상황
3.수양제(隋煬帝)의 폭정
4.수말(隋末)의 농민 대봉기
제2절 당(唐)
1.당(唐)의 정치 개황
2.경제제도
3.농민 대봉기
제3절 오대십국(五代十國)
1.중원(中原)을 점거한 5개의 소조정(小朝廷)
2.남방지역의 10개 소국
제4절 당(唐)의 유학과 문학
1.유학
2.백화제방(百花齊放)의 당나라 문단
3.근체문(近體文)과 고문(古文)

제4장 송(宋)·요(遼)·금(金)·원(元)
제1절 송나라 건립과 남으로의 이주(상)
1.송의 건립과 이주(상)
2.농업의 발전과 상공업의 번영
3.통치의 부패
4.변법파와 보수파의투쟁
5.방랍(方臘)등이 이끈 농민전쟁
제2절 송의 건립과 남부 이주(하)
1.송의 남부 이주와 민중의 금(金)에 대한 투쟁
2.북벌전쟁과 도학(道學)통치의 확립
3.남송경제의 발전과 봉건 착취의 강화
4.송의멸망
제3절 요ㆍ하ㆍ금의 흥망
1.요(遼)의 건립과 서부이주
2.서하(西夏)의 흥망
3.금(金)의 건립과 봉건 통치의 발전
제4절 다민족 통일국가 원(元)
1.몽골 부락의 발전과 국가의 건립
2.대외 침략과 영역 확장
3.다민족 국가의 창립
4.통치 집단의 투쟁과 민중 봉기
5.황위(皇位) 쟁탈과 통치의 쇠락
6.농민전쟁과 원나라의 멸망
제5절 송(宋)·금(金)·원(元)의 문화개황
1.경학(經學),철학, 성리학(理學)
2.문학과 예술
3.학술저작
4.과학기술

제5장 명(明)ㆍ청(淸)
제1절 명의 수립과 집권정치
1.통치의 수립
2.강역의 확정과 천도
3.몽골에 대한 저항과 황위의 교체
4.무종(武宗)의 허송세월과 번왕(藩王)의 반란
제2절 상품경제의 발전과 명의 쇠락
1.세종(世宗)의 신정과 내각의 변화
2.혁신과 반란의 평정
3.경제의 발전과 사회 각 집단
4.조정의 혼란과 민중의 저항
제3절 청의 건국과 농민전쟁ㆍ명의 멸망
1.금(金)의 수립
2.명나라 통치의 위기
3.대청국의 국호수립과 확장
4.농민전쟁과 명의 멸망
5.농민군에 대한 청나라 군사의 공격과 민중의 청에대한 저항
6.청나라 통치의 수립
제4절 청 통치의 공고화와 강역의 확정
1.통치의 공고화
2.봉건 통치 질서의 수립
3.변강지역의 통치와 경영
4.통치 집단의 분쟁과 민중의 저항
5.전제 통치의 강화
제5절 건륭(乾隆)·가경(嘉慶)시기의 청
1.건륭제의 통치 확립
2.국경전쟁과 사상통치의 강화
3.대외전쟁과 관리의 부패
4.농민봉기와 영국의 해상침범
5.봉건경제의 쇠락
제6절 문화개황
1.성리학(理學)적 철학과 경학(經學)
2.학술저작
3.문학예술
4.과학기술

제6장 청(淸)의 멸망
제1절 도광제(道光帝)의 통치와 영국의 침략
1.서북 변경지역의 평정과 동남연해지역의 아편금지
2.영국의 무력침략
제2절 태평천국과 영ㆍ프 연합군의 침략
1.태평천국
2.영ㆍ프의 무력침략과 제정러시아의 영토약탈
3.농민 봉기와 황실의 정쟁(政爭)
제3절 태평천국의 실패와 동치(同治)제의 신정(新政)
1.태평천국의 패망
2.동치제의 신정
제4절 자희(慈喜)태후의 재집권과 외국침략의 심화
1.변경의 사변(事變)과 조치
2.중국의 주변국가에 대한 열강의 침략
3.관영산업의 확장
제5절 중일전쟁과 청의 변법
1.일본의 조선침략과 중일전쟁
2.청의 변법과 정변
제6절 열강의 침략과 청의 제2차 변법
1.8개국 연합군의 침략
2.열강의 변경침략
3.청의 제2차 변법
제7절 자본주의기업의 발전 및 자산계급의 형성
1.열강의 경제세력 확장
2.중국 자본주의기업의 발전
3.자산계급의 형성 및 노동자의 투쟁
제8절 민주혁명 및 청의 멸망
1.민주혁명의 흥기와 동맹회의 설립
2.청의 ‘예비입헌’과 부의(溥儀)의 즉위
3.무창(武昌)봉기와 평화 담판(議和)
4.민국의 창립과 청의 멸망
제9절 문화개황
1.이학(理學)과 경학 및 서학(西學)
2.학술저술
3.문학예술
4.과학기술

저자소개

판원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중윈(仲雲)이고, 저장성(浙江省) 샤오싱(紹興)에서 태어났다. 베이징대학 중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하였다. 귀국 후 난카이(南開)대학 ·베이징여자사범(北京女子師範) ·베이징대학교 등에서 중국문학을 강의하였고, 《문심조룡강소(文心雕龍講疏)》를 저술하였다. 1929년경부터 역사학으로 전환하여 1940년에는 옌안(延安)으로 들어가 《중국통사간편(中國通史簡編)》을 썼고, 1947년에는 《중국근대사》를 편찬하였으며, 중국공산당 간부로서 역사학의 지도적 역할을 하였다. 문화대혁명으로 많은 역사가들이 추방되었으나 그는 건재(健在)하였다.
펼치기
채미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 연구원、학술위원회 위원。1985년부터 국무원 학위위원회 역사학과 평의원(評議員)으로 초빙되어 활동하고 있다. 또한 중국 몽고사학회 이사장、중국 원사(元史)연구회 회장、중국지진사연구회 고문、《중국대백과전서-중국역사》편집위원회 위원 등을 겸임하고 있다. 주요 학술 업적으로는 판원란을 도와 인민출판사가 출판한《중국통사》12권을 완성하였는데, 그중 8권인 《송、원、명、청사》부분은 그의 연구소조가 서술하였다. 그는 오랫동안 ‘요、금、원사’ 연구에 종사하였고, 고대 몽고어에 대해서도 일가를 이루었다. 저서로는《원대백화비집록》、《파스파문자와 원대의 한어》등이 있다. 근년에는 명청사 연구에도 매진하고 있는 학술대가로써 그 명성이 자자하다.
펼치기
김승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7년 중국대만(정치대학 문학석사)과 1992년 일본(국립규슈대학 문학박사)에서 중국현대사를 전공한 후 귀국해 동아시아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 등으로 활동하는 동안 하와이대학 동서문화센터에서 연수한 바 있다. 2002년부터 국민대 한국학과와 동아대 동북아특수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했고, 2012년부터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 성과로는 『한민족과 동아시아세계』, 『[중문] 내 눈 속의 한중관계(我眼中的韓中關係)』, 『[일문] 중국혁명의 기원』등 40종의 저술과 「한중일 삼국의 근대화 좌절과 성공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비교연구」를 비롯해 200여 편의 논문이 있으며, 『모택동선집』등 200여 종의 역서가 있다. 이러한 공로를 중국정부로부터 인정받아 2012년에 ‘중화도서특수공헌상”을 수상했고, 2018년에는 저서『내 눈 속의 한중관계』가 ‘135중국중점출판물출판계획항목’과 ‘2021-2022년도 중국문화수출중점항목’에 선정된 바 있다.
펼치기
전영매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94년 연변대학을 졸업한 후, 흑룡강신문사 기자로 입사하였고, 2011년 중국 민족어문 번역 중견 인원 고급 연수반을 졸업하여, 현재는 흑룡강신문사 고급 편집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역서로『13세 달라이라마』와 공동 번역한『중국전통법률문화총론-예와 법』『새로운 중국사회사상사』『중일한자유무역구문제연구』『한권으로 읽는 청나라 역사』『중국통사간본』『위안화의 국제화 보고』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