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91186853269
· 쪽수 : 792쪽
· 출판일 : 2017-06-1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편 새 축 시대의 장을 연 변찬린
1. 영원을 사모한 구도자
2. 새 축 시대의 종교적 공간
3. 한국 종교계의 게토화
4. 다학제적 관점에서 본 변찬린
5. 새 축 시대의 종교개혁의 방향
5.1. 새로운 사유체계의 남상
5.2. 다종교적 경전 읽기의 생활화
5.3. 새 에게 당부하는 종교혁신운동
제2편 변찬린의 생애
1. 한을 향한 구도의 여정
1.1. 월남 종교인, 변찬린
1.2. 종교계의 방랑자
2. 생사를 가르는 종교적 실존의 대결
2.1. 동서양의 학문의 회통
2.2. ‘양잿물 사건’과 종교적 회심
2.3. 죽음을 앞에 두고 쓴 유작시집, 『선방연가』
2.4. 신인합발의 종교체험
2.5. 무사자통과 무상정각
3. 종교적 선지식을 찾아서
3.1. 유영모와의 인연
3.2. 함석헌과의 인연
3.3. 한국의 신종교와 증산사상연구회
4. 『성경의 원리』와 한성경해석학
4.1. 『성경의 원리』의 저술 상황
4.2. 한성경해석학의 탄생
4.3. 『성경의 원리』를 둘러싼 한국 목회현장의 논쟁
5. 새 교회운동
5.1. 한국 교회현상의 비판
5.2. 새 교회운동과 새 문명의 개벽
6. 우주를 순례하는 구도자
제3편 한의 철학과 사상
1. 축 시대와 한국의 종교적 공간
1.1. 축 시대 사유의 전개
1.2. 한국의 근현대 종교적 공간
2. 변찬린의 정체성, 한
3. 한우주역사론
3.1. 영원한 우주역사와 유한한 지구역사
3.2. 창조적 진화의 역사
3.3. 시공우주와 영성우주
3.4. 영성통로
3.5. 소결론
4. 풍류도맥론
4.1. 풍류의 종교적 기능
4.2. 풍류도맥의 개념도
4.3. 풍류와 신선사상
4.4. 풍류와 한사상
4.5. 풍류와 홍익사상
4.6. 소결론
5. 일원다종교론
5.1. 일원교의 개념
5.2. 다종교의 개념
5.3. 소결론
6. 통일한국론
6.1. 뜻의 한국의 토포스
6.2. 참 사람의 나라 한국
6.3. 통일한국의 십자가 사상과 중도
6.4. 통일한국과 새 문명
6.5. 소결론
7. 영성시대와 새 인류론
7.1. 문명전환기의 징조
7.2. 새 인류의 조상
7.3. 새 인류의 탄생
7.4. 소결론
8. 새 축 시대의 종교적 인간
8.1. 새 의 개념
8.2. 새 의 종교적 덕목
8.3. 소결론
제4편 『성경의 원리』와 한성경해석학
1. 종교 경전해석의 역사적 전통
1.1. 성경해석의 역사
1.2. 유교 경전해석의 전통
1.3. 불교 경전해석의 전통
1.4. 한국 경전해석의 약사와 다원적 종교문화
2. 새 경전해석의 환경과 지구촌 사유의 합류
2.1. 긍정적 요인
2.2. 부정적 요인
2.3. 소결론: 지구촌 사유의 합류와 경전해석
3. 『성경의 원리』의 저술 배경
3.1. 헬레니즘적 ‘격의해석’을 포월한 성경해석의 새 지평
3.2. 역사적 사명자로서의 학맥계승
3.3. 구도자로서의 예언자적 호명
4. 한성경해석학의 체계
4.1.한성경해석학의 개념적 정의
4.2.성경의 삼대 선언
5. 한성경해석방법론
5.1. 언어 · 상징 · 재현해석
5.2. 풍류해석
5.3. 화쟁해석
5.4. 유기체해석
5.5. 실존적 암호해석
5.6. 관조해석
5.7. 도맥해석
6. 한성경해석학의 학문적 평가
6.1.한국의 역사적 경전해석의 전통 계승
6.2.아시아 종교와 현대학문에 정초된 경전해석의 새 패러다임 구축
6.3.새 문명의 확장적 사유 패러다임의 제시
제5편 시공우주와 영성 우주를 아우른 ᄒᆞᆫᄇᆞᆰ사상
1. 시공우주와 영성우주를 순례하는 구도자
2. 새 문명의 발원지로서의 ᄒᆞᆫᄇᆞᆰ사상
3. ᄒᆞᆫᄇᆞᆰ성경해석학을 통해 본 새 문명의 사유체계
4. 새 축 시대 종교사상의 과제 및 제언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