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86880517
· 쪽수 : 828쪽
· 출판일 : 2017-11-15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 4
시리즈 서문 • 10
감사의 글 • 13
일러두기 • 14
선별된 약어표 • 16
선별된 참고문헌 • 23
호세아
호세아 서론 • 52
I. 호세아와 가족(1:1-3:5) • 95
A. 표제(1:1) • 98
B. 아내 고멜(1:2-2:1[1:2-2:3]) • 101
C. 결혼의 의미(2:2-23[2:4-25]) • 128
D. 고멜을 다시 집으로(3:1-5) • 160
II. 하나님과 이스라엘(4:1-11:11) • 173
A. 여호와의 백성에 대한 논쟁(4:1-3) • 176
B. 간음하는 백성(4:4-5:4) • 182
C. 이스라엘과 유다에 대한 경고(5:5-6:11a) • 209
D. 정치와 외교가 몰락을 재촉함(6:11b-7:16) • 235
E. 다가오는 포로생활(8:1-9:9) • 248
F. 이스라엘의 과거, 현재, 미래(9:10-11:11) • 270
III. 하나님과 백성(11:12-14:9[12:1-14:10]) • 307
A.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비난(11:12-12:14[12:1-15]) • 308
B. 배은망덕한 이스라엘의 소망(13:1-16[13:1-14:1]) • 322
C. 하나님의 돌아오라는 호소(14:1-9[2-10]) • 337
요엘
요엘 서론 • 348
I. 당면한 재앙: 메뚜기 떼(1:1-20) • 367
A. 표제(1:1) • 368
B. 재앙의 범위와 영향(1:2-14) • 370
C. 탄식과 기도(1:15-20) • 386
II. 임박한 재앙: 여호와의 날(2:1-17) • 391
A. 다가오는 재앙(2:1-11) • 392
B. 재앙에 대한 대비(2:12-17) • 401
III. 하나님의 응답(2:18-3:21[4:21]) • 415
A. 당면한 메뚜기 떼 재앙에 대해(2:18-27) • 416
B. 임박한 여호와의 날에 대해(2:28-3:21[3:1-4:21]) • 427
아모스
아모스 서론 • 452
I. 표제와 총론(1:1-2) • 483
II. 이스라엘과 이웃 나라에 대한 심판(1:3-2:16) • 493
A. 열방에 대한 심판(1:3-2:3) • 499
B. 유다와 이스라엘에 대한 심판(2:4-16) • 521
III. 경고와 심판(3:1-6:14) • 541
A. 이스라엘에 임할 심판(3:1-4:3) • 544
B. 오염된 예배와 깨닫지 못하는 백성(4:4-13) • 570
C. 죽은 나라 이스라엘에 대한 애가(5:1-17) • 586
D. 심판 선언(5:18-6:14) • 603
IV. 종말에 대한 환상과 권면(7:1-9:15) • 627
A. 철회된 심판(7:1-6) • 629
B. 철회되지 않은 심판(7:7-9:10) • 636
C. 회복된 이스라엘의 축복된 미래(9:11-15) • 671
오바댜
오바댜 서론 • 678
I. 에돔을 멸하실 여호와의 계획(1:1-4) • 693
A. 표제(1:1a) • 694
B. 전쟁 부름(1:1b-c) • 695
C. 에돔의 추락(1:2-4) • 698
II. 여호와께서 에돔 파괴를 약속함(1:5-10) • 703
A. 에돔이 완전히 털림(1:5-6) • 704
B. 에돔이 동맹국에게 배반당함(1:7) • 706
C. 에돔의 지혜자가 사라짐(1:8) • 708
D. 에돔의 인구가 사라짐(1:9) • 709
E. 에돔이 영원히 망함(1:10) • 710
III. 에돔이 유다에게 저지른 잘못(1:11-14) • 713
A. 에돔이 유다의 멸망을 방관함(1:11) • 714
B. 에돔이 유다의 멸망을 즐거워함(1:12) • 715
C. 에돔이 신음하고 있는 유다를 약탈함(1:13) • 717
D. 에돔이 유다 사람을 노예로 팔아넘김(1:14) • 718
IV. 다가오는 여호와의 날(1:15-21) • 721
A. 열방에 임할 심판의 날(1:15-16) • 722
B. 야곱의 집에 임할 구원의 날(1:17-18) • 724
C. 이스라엘이 회복되는 날(1:19-21) • 725
요나
요나 서론 • 730
I. 요나가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함(1:1-16) • 761
A. 요나의 소명과 도주(1:1-3) • 762
B. 요나가 풍랑을 만남(1:4-6) • 770
C. 요나의 소명과 도주가 밝혀짐(1:7-10) • 776
D. 요나가 풍랑에 던져짐(1:11-16) • 781
II. 하나님이 요나를 구하심(1:17-2:10[2:1-11]) • 787
A. 요나가 구출됨(1:17-2:1) • 788
B. 요나의 감사 찬양(2:2-9) • 791
C. 요나가 땅 위를 걷게 됨(2:10) • 800
III. 요나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함(3:1-10) • 803
A. 하나님의 니느웨에 대한 명령(3:1-3) • 804
B. 요나의 말씀 선포와 니느웨의 반응(3:4-9) • 806
C. 하나님의 니느웨에 대한 대응(3:10) • 812
IV. 요나의 불만과 하나님의 반응(4:1-11) • 815
A. 선지자의 항의(4:1-4) • 816
B. 하나님의 실물교육(4:5-9) • 821
C. 하나님의 응답(4:10-11) • 826
저자소개
책속에서
호세아가 음란한 고멜과 결혼한 것은 개인적인 삶의 이야기로만 끝나지 않는다. 불행한 결혼은 여호와와 이스라엘의 관계를 상징한다. 하나님이 시내 산에서 이스라엘과 언약을 맺은 것은 곧 남편 여호와께서 아내 이스라엘을 맞이한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즉, 구약에서 결혼과 언약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호세아의 곤고한 부부관계는 위기에 처한 이스라엘과 하나님의 언약 관계를 잘 묘사하고 있다. 두 사람의 부부관계에 제삼자가 침범할 수 없듯이 이스라엘과 하나님의 관계에도 침입자가 있을 수 없다. - 「호세아 서론」중에서
아모스는 에돔에 임할 심판(1:11-12)과 이 나라에 대한 심판의 필요성을 강조하여(9:12) 에돔에 대한 심판을 중심 주제로 노래하는 오바댜를 기대하게 한다. 아모스서와 요엘서, 오바댜서는 여호와의 날이 위로와 회복의 날이 아니라 심판의 날이 될 것을 경고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욜 1:15; 암 5:18-20; 옵 1:15). 세 책 모두 주의 백성은 그동안 어떻게 살아왔든 상관없이 여호와의 날이 임하면 무조건 하나님의 축복과 위로를 받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던 이스라엘의 여호와의 날에 대한 전통적인 기대를 뒤집어놓은 책이다. - 「아모스 서론」중에서
요나서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그의 종 요나의 인간적 의지가 빚어내는 갈등을 잘 묘사하고 있다. 실제로 니느웨가 하나님의 구원을 받은 것보다 요나와 하나님 사이에 빚어진 갈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사실은 책이 48절로 형성된 반면에 요나가 실제로 니느웨에 전한 메시지의 분량은 고작 2분의 1절에 달한다는 것을 통해 잘 나타내고 있다(3:4). 하나님이 끝까지 니느웨로 가기를 싫어했던 요나의 강한 의지를 꺾으면서까지 사용하신 것을 통해 경우에 따라 하나님은 ‘준비되지 않은 종’도 하나님의 절대 주권으로 굴복시켜서 쓰실 수 있음을 강조한다.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는 결코 한 가지 방법으로 제한할 수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인간의 상상과 기대를 초월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신다. 요나서는 하나님을 온 우주를 창조하고 통치하는 창조주로 묘사한다. 그분은 국수주의를 싫어하는 분이며 그분의 은혜는 국경과 민족을 초월하기에 누구든지 마음을 다해 주님을 찾으면 하나님은 기쁘게 맞아들이는 분이다. - 「요나 서론」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