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회쟁론.세마론.육십송여리론.칠십공성론

회쟁론.세마론.육십송여리론.칠십공성론

용수 (지은이), 신상환 (옮긴이)
비(도서출판b)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25,2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회쟁론.세마론.육십송여리론.칠십공성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회쟁론.세마론.육십송여리론.칠십공성론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91187036524
· 쪽수 : 415쪽
· 출판일 : 2018-05-25

책 소개

세계 최초로 개인이 완역한 [중관이취육론]의 두 번째 권. ≪회쟁론≫ ≪세마론≫ ≪육십송여리론≫ ≪칠십공성론≫은 ‘대승불교의 아버지’, ‘제2의 붓다’라 불리는 용수의 저작들로, 용수의 6대 저작을 모은 ≪중관이취육론≫에 수록되어 있다.

목차

【예경문】 89
【본문】 89
【인식 수단과 인식 대상의 독자적인 성립에 대한 논파】 _92
【논박자의 비유 1】 _100
【논박자의 비유 1에 대한 논파】 _101
【논박자의 비유 2와 논파】 _104
【논박자의 비유 3과 논파】 _107
【7번의 예인 등불과 어둠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논파】 _110
【시간의 문제를 통한 논파: 논박자의 인정】 _113
【논박자의 반론】 _116
【용수의 반론 도입부】 _118
【용수의 재반론 1】 _119
【용수의 재반론 1의 결론】 _121
【용수의 재반론 2】 _123
【현량(現量) 등의 성립에 대한 논박자의 새로운 주장】 _126
【용수의 반론 도입부】 _127
【용수의 논박 1: 인식 수단이 존재해도 그 인식 대상의 존재성의 문제】 _127
【용수의 논박 2: 인식 대상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인식 수단의 불성립에 대한 지적 1】 _130
【용수의 논박 3: 니야야 학파의 주장에 대한 논파】 _132
【용수의 의심에 대한 논파】 _134
【논박자의 의심의 성립에 대한 주장】 _134
【논박자의 의심에 대한 정의와 이에 대한 논파 도입부】 _135
【의심에 대한 논파 1】 _136
【논박자의 의심에 대한 자띠(jāti) 논법을 통한 주장】 _137
【논파 도입부】 _139
【의심에 대한 논파 2】 _139
【(행위의) 목적에 대한 논파】 _144
【실례에 대한 논파】 _146
【논박자의 주장에 대한 인용】 _146
【용수의 실례에 대한 논파 1】 _147
【용수의 실례에 대한 논파 2】 _148
【논박자의 주장과 용수의 실례의 유사성에 대한 논파】 _149
【용수의 실례의 상이성에 대한 논파】 _151
【용수의 실례의 조그만 유사성[=소유사성]에 대한 논파】 _152
【용수의 실례의 부분적인 유사성[반(半)유사성]과 부분적인 상이성[반(半)상이성]에 대한 논파】 _154
【용수의 정설에 대한 논파】 _156
【용수의 오분작법의 논증 요소에 대한 논파】 _157
【용수의 오분작법의 논증 요소라는 부분과 논증이라는 전체에 대한 논파 1】 _157
【용수의 오분작법의 논증 요소라는 부분들이 모인 것과 논증이라는 전체에 대한 논파 2】 _160
【용수의 오분작법의 논증이라는 전체가 하나의 개념자가 되는 경우에 대한 논파】 _161
【용수의 오분작법의 논증이라는 전체가 삼시(三時)에 성립하는 경우에 대한 논파】 _162
【논박자의 전체는 부분들이 모인 것이라는 오분작법의 실례에 대한 주장】 _164
【용수의 전체는 부분들이 모인 것이라는 오분작법에 대한 일반적인 논파 – 실례에 대한 논파】 _165
【용수의 전체는 부분들이 모인 것이라는 오분작법의 구체적인 논파 1 – 실례에 대한 일반적인 논파 1】 _167
【용수의 전체는 부분들이 모인 것이라는 오분작법에 대한 구체적인 논파 2 – 주장에 대한 논파】 _169
【용수의 전체는 부분들이 모인 것이라는 오분작법에 대한 구체적인 논파 3 - 이유에 대한 논파 1】 _171
【용수의 전체는 부분들이 모인 것이라는 오분작법에 대한 구체적인 논파 4 - 이유에 대한 논파 2】 _174
【용수의 전체는 부분들이 모인 것이라는 오분작법에 대한 구체적인 논파 5 - 적용과 결론에 대한 논파】 _175
【용수의 전체는 부분들이 모인 것이라는 오분작법에 대한 구체적인 논파 6 - 이유와 나머지들과의 관계에 대한 논파】 _176
【용수의 전체는 부분들이 모인 것이라는 오분작법에 대한 구체적인 논파 7 - 이유가 성립할 경우 실례 등의 무의미함에 관한 논파】 _177
【용수의 전체는 부분들이 모인 것이라는 오분작법에 대한 구체적인 논파 8 - 실례가 성립할 경우 이유의 무의미함에 관한 논파】 _179
【용수의 전체는 부분들이 모인 것이라는 오분작법에 대한 또 다른 논파 1 - 항상하는 아(我)의 이유와 실례에 대한 논파】 _180
【용수의 전체는 부분들이 모인 것이라는 오분작법에 대한 또 다른 논파 2 –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논파】 _181
【용수의 전체는 부분들이 모인 것이라는 오분작법에 대한 또 다른 논파 3 – 음절 자체도 또한 의미가 없다】 _183
【용수의 귀류논증에 대한 논파】 _185
【용수의 확정에 대한 논파】 _187
【용수의 논의에 대한 논파】 _191
【논의라는 행위와 논의의 대상이 존재하지 않음을 통한 논파】 _192
【용수의 논의가 세속어라는 주장에 대한 논파】 _195
【용수의 논의에 사용되는 이름의 다양성을 근거로 한 논파 1】 _199
【용수의 논의에 사용되는 이름의 다양성을 근거로 한 논파 2】 _200
【용수의 논의라는 행위[言名]와 논의의 대상의 관계에서 일자성(一者性)과 타자성(他者性)의 문제를 통한 논파】 _206
【용수의 논쟁과 파괴적인 논박에 대한 논파】 _207
【용수의 그릇된 이유에 대한 논파】 _208
【용수의 그릇된 이유에 대한 유사성과 상이성을 통한 논파】 _208
【용수의 그릇된 이유의 착란에 대한 논파】 _213
【논박자의 착란과 결합된 이유가 존재한다는 주장】 _216
【용수의 논박자의 착란과 결합된 이유의 예에 대한 논파】 _217
【용수의 시간의 찰나성을 통한 논박자의 착란과 결합된 이유에 대한 논파】 _221
【논박자의 착란과 결합한 이유가 존재한다는 주장】 _222
【용수의 주장과 이유 간의 순차성을 통한 착란과 결합한 이유가 존재한다는 논박자의 주장에 대한 논파】 _224
【용수의 삼시(三時)의 불성립을 통한 착란과 결합한 이유가 존재한다는 논박자의 주장에 대한 논파】 _226
【용수의 다양한 언어의 시제(時制)로 인한 동일한 개념자 적용의 불가능성을 통한 논박자의 주장에 대한 논파】 _229
【용수의 과거의 시간과 이유가 성립하지 않음을 통한 논박자의 주장에 대한 논파】 _231
【용수의 궤변에 대한 논파】 _233
【용수의 무용한 답변[jāti]에 대한 논파】 _235
【용수의 패배의 근거에 대한 논파】 _238
【용수의 반복되는 언급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통한 패배의 근거에 대한 논파】 _238
【용수의 ‘무용한 답변(jāti)’과 같은 이유로 패배의 근거에 대한 논파】 _241
【용수의 ‘노끈은 자신을 묶을 수 없다’는 예를 통한 패배의 근거에 대한 논파】 _242
【결문】 244


[육십송여리론六十訟如理論]

【예경문】 251
【한문 예경문】 252
【글을 지은 목적】 253
【본문】 253
【결문】 334
【한문 결문】 _336


[칠십공성론七十空性論]

【예경문】 343
【본문】 343
【결문】 403

찾아보기 407

저자소개

용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남인도 출생. 대승불교의 기틀인 공사상을 연구, 중관사상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그로 인해 제2의 붓다, 8종(八宗)의 조사(祖師), 대승불교의 아버지라고 일컫는다. <중론>, <회쟁론> 등의 중관사상이 담긴 주요 저서들과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보행왕정론> 등 도덕률을 강조하는 저서들이 대승불교권에 전해져 온다.
펼치기
신상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8년 전남 광양에서 태어나 아주대학교 환경공학과를 졸업했다. 1980년대 학생 운동 후 인도로 떠나 타고르대학으로 알려진 비스바바라띠대학에서 티벳어, 산스끄리뜨어 등의 언어를 공부하였고, 캘커타대학에서 용수의 중관 사상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비스바바라띠대학의 인도-티벳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티벳 스님 등에게 중관사상을 가르쳤다. 현재 곡성 지산재에서 중관학당을 열어 중관사상 선양을 위한 역경과 강의 등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용수 보살의 중관사상에 대한 <용수의 사유>, 인도 20년 생활과 여행의 기록인 <인도수업>, 대표적인 역서로는 용수 보살의 6대 저작인 <중론>, <회쟁론> 등의 모음인 <중관이취육론>이 있다.理聚六論』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