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산 필사본 연구

다산 필사본 연구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사암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31,500원 -10% 0원
0원
3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산 필사본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산 필사본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87130802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19-07-25

책 소개

다산학계의 오랜 숙원이었던 37책의 <정본 여유당전서>가 출간된 지 7년이 되었다. 그리고 <정본>연구의 초석이 되었던 서지 연구 성과 가운데 15편의 귀중한 논문들을 모은 <다산 필사본 연구>가 발간되었다.

목차

책머리에┃ 이주행 005
다산 저술의 형성과 유전流傳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 ┃ 노경희
Ⅰ. 들어가며 013
Ⅱ. 조선 후기 다산 저술의 전승 ─ 필사본과 목판본 017
Ⅲ. 20세기 초 다산 저술의 전승 ─ 필사본과 신식활자본 041
Ⅳ. 마무리 084
부록: 다산 저술의 유전流傳 현황 086
다산茶山 저작 고본稿本의 제문제 ┃ 박철상
1. 서론 089
2. 다산 저작 고본稿本의 주요 전본현황 091
3. 다산 저작 고본의 제문제 096
4. 전사본轉寫本을 통한 『아언각비雅言覺非』 고본稿本의 탐색 107
5. 맺음말 117
《여유당집》 체재의 성립에 관한 고찰 ┃ 김보름
1. 들어가며 121
2. 필사본의 계열과 《여유당집》 권차 124
3. 세 가지 목록 131
4. 다산 저작의 추이 136
5. 《여유당집》의 성립 141
6. 결론 150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을 위한 필사본 연구
─ 경집經集을 중심으로 ┃ 장동우
1. 《여유당전서》 정본의 체재에 대하여 153
2. 규장각소장 《여유당집》과 《사암경집》
및 기타 경집 관련 필사본의 위상 164
3. 결론과 남는 문제 177
첨부자료 1: 필사본의 소장 현황과 소장처 181
첨부자료 2: 권수卷數가 표시된 저작 목록 재배치 자료 192
《여유당전서》 ‘경집經集’ 필사본에 관한 고찰
─ 규장각본과 아사미문고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 장동우
1. 머리말 ─ 필사본 연구 현황 201
2. 아사미문고본 경집經集 관련 필사본과
규장각 소장 이본異本과의 비교 204
3. 결론과 남는 문제 215
『주역사전周易四箋』의 텍스트 형성과정에 관한 고찰
─ 정고본定稿本 및 신조본新朝本의 저본底本을 찾기 위한 시론 ┃ 방인
1. 들어가는 말 217
2. 『주역사전』 텍스트의 형성과정 219
3. 이본의 대조연구 228
4. 『주역사전』의 정고본定稿本 찾기 245
5. 결론 250
단국대본 『주역사전周易四箋』 연구
─ 정고본 및 신조본의 저본을 찾기 위한 두 번째 시론 ┃ 방인
1. 논의의 실마리 255
2. 단국대본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 261
3. 맺는 말 288
정약용의 『상서尙書』 주석서 계열 고찰 ┃ 김문식
1. 머리말 291
2. 『매씨서평梅氏書平』의 필사본 293
3. 『상서고훈尙書古訓』의 필사본 312
4. 필사본의 계열 및 필사 시기 332
5. 맺음말 337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 필사본의 원문 비교 ┃ 김문식
1. 머리말 341
2. 『상서지원록』의 편찬 343
3. 『상서지원록』의 원문 비교 362
4. 맺음말 373
다산 예집禮集 저술의 필사본 전승사 연구 ┃ 박종천
1. 다산 저술의 필사본 전승사 연구 현황과 과제 377
2. 다산 필사본의 계열과 전승 381
3. 예집 필사본의 계열 분석과 전승 양상 396
4. 맺음말 420
신자료 『선암총서船菴叢書』의 발굴과
『목민심서牧民心書』 저술 과정의 검토 ┃ 박철상
1. 시작하는 말 427
2. 다산茶山 저작著作의 정고본定稿本 429
3. 『목민심서牧民心書』의 유통과 간행 433
4. 『선암총서船菴叢書』의 검토 438
5. 『목민심서』의 저술 과정 448
6. 맺음말 456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와 『대동수경大東水經』의
문헌학적 검토 ┃ 조성을
1. 서언 471
2. 『아방강역고』의 문헌학적 검토 476
3. 『대동수경』의 문헌학적 검토 497
4. 결어 506
『아언각비雅言覺非』의 이본異本과 유전流傳 ┃ 노경희
1. 『아언각비雅言覺非』에 대하여 509
2. 이본 대교와 편찬 과정 재구 514
3. 신식활자본의 간행과 유전流傳 527
4. 마무리 538
부록: 『아언각비』 이본 대조표 540
『이담속찬耳談續纂』의 이본異本 연구 ┃ 임미정
1. 서론 543
2. 이본의 서지적 검토 545
3. 이본의 대조와 분석 555
4. 결론 567
『민보의民堡議』 필사본에 대한 연구 ┃ 박종천
1. 머리말 571
2. 『민보의』 필사본의 현황과 체계 573
3. 「민보의목차」에 의한 필사본들의 계통 분류 580
4. 《여유당집》 계열 필사본들의 이본異本 비교 586
5. 맺음말 597
참고문헌 601

저자소개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정보 더보기
다산학술문화재단은 정약용의 학문과 사상에 관한 연구를 진흥하고 보급하기 위해 설립한 공익 재단법인이다. 다산학 연구를 진흥해 사회 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1998년 12월 29일에 나주 정씨(羅州丁氏) 월헌공파ㆍ충정공파ㆍ교리공파의 종회가 기금을 출연해서 설립되었다. 재단에서는 주로 다산학 발전을 위한 연구 사업, 학술 활동 및 출판 지원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다산학술문화재단은 여러 학술 사업과 활동을 통해 다산학 연구의 중심 기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동안 《여유당전서》의 정본화 사업, <다산학사전> 편찬사업, 번역총서 연구지원 및 출판사업 등 미래 다산학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학술 사업에 매진해 왔다. 다산학 전문 학술지 <다산학>은 기획특집을 통하여 다산학 연구의 수준을 높이고 실학 및 관련 분야 연구를 활성화하였다. 또한 정기적인 국제학술회의, 우수 논문의 영문ㆍ중문 번역 사업은 국내외 다산학 연구자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다산학을 세계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초대 이사장은 정해창(丁海昌)이다. 2000년 5월 학술지 <다산학>을 창간하여 현재까지 33호(2018년 12월 기준)를 발행했다. <다산학>은 연2회(6월, 12월) 발행되며 한국연구재단의 등재지로 선정되어 다산학 연구를 선도하는 전문 학술지로 자리매김 했다. 또한 지금까지 총26회(2018년 12월 기준)에 이르는 국내외 학술회의를 개최하여 학술 교류의 장을 마련했다. 특히 정기적인 국제학술회의를 통해 우수한 해외 연구자를 발굴하여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2000년 ‘다산학술상’을 제정한 이래 매년 다산학 및 관련 연구 분야 발전에 기여한 학자나 단체를 선정하여 ‘학술대상’ 혹은 ‘공로상’을, 신진 연구자의 우수한 박사논문을 선정하여 ‘우수연구상’을 시상하고 있다. 다산학술문화재단은 다산 탄신 250주년을 기념하여 2012년~2013년에 걸쳐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으로 기념식, 국제학술회의, 음악회, 전시회, 영문 동영상 제작 등 다양한 기념사업을 추진했다. 특히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협력하여 2012년 12월말 《정본 여유당전서》 37책 및 <여유당전서 미수록 간찰집>을 출간했다. 이어서 한국번역연구원과 협력하여 정본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2016년 1월부터 온라인 검색 서비스를 시작했다. 또한 2009년부터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2014년 6월 <다산학사전>의 편찬 연구를 완료했다. 다산 서거 18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2015년부터 나주 정씨 동원공파종중의 지원에 힘입어 수정 및 보완 연구에 착수했으며 2019년 3월에 <다산학사전>을 공식 출간하였다. 또한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진흥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2017년 다산의 대표시 영역 사업을 완료했고 해외 출판을 준비 중이다. 이와 더불어 매년 우수 논문에 대한 중국어ㆍ영어ㆍ베트남어 번역을 지원하여 <다산학> 및 국제학술회의를 통해 소개함으로써 다산학의 세계화에 힘쓰고 있다. <다산학> 창간호에 게재된 ‘다산 및 다산학 관련 저술목록’을 시작으로 정기적인 보완 작업을 거쳐 2012년, 2017년 <다산 및 다산학 관련 저술목록』을 제작 배포했다. 다산학술재단은 2006년부터 《정본 여유당전서》의 완역을 목표로 역주 번역 독회를 지원했고, 독회의 성과를 모아 2008년 <시경강의』(실시학사), 2016년 <대학공의ㆍ대학강의』(이광호 외)를 ‘번역총서’로 출간했다. 또한 재번역 지원을 통해 <논어고금주』(이지형, 2010)를 출간했다. 2017년에는 흠흠신서 독회의 성과를 모아 <흠흠신서 - 전발무사』편이 출판되었으며, 2019년 <다산 필사본 연구>를 출판할 예정이다. 앞으로 <맹자요의』 및 <중용자잠ㆍ중용강의보』 등의 재번역서를 출간할 계획이며 또한 <춘추고징>ㆍ<역학서언>ㆍ<상례사전> 등 미번역 저술의 역주 번역을 지원해 단계적으로 출판할 예정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