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87130802
· 쪽수 : 624쪽
· 출판일 : 2019-07-2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이주행 005
다산 저술의 형성과 유전流傳에 대한 서지학적 연구 ┃ 노경희
Ⅰ. 들어가며 013
Ⅱ. 조선 후기 다산 저술의 전승 ─ 필사본과 목판본 017
Ⅲ. 20세기 초 다산 저술의 전승 ─ 필사본과 신식활자본 041
Ⅳ. 마무리 084
부록: 다산 저술의 유전流傳 현황 086
다산茶山 저작 고본稿本의 제문제 ┃ 박철상
1. 서론 089
2. 다산 저작 고본稿本의 주요 전본현황 091
3. 다산 저작 고본의 제문제 096
4. 전사본轉寫本을 통한 『아언각비雅言覺非』 고본稿本의 탐색 107
5. 맺음말 117
《여유당집》 체재의 성립에 관한 고찰 ┃ 김보름
1. 들어가며 121
2. 필사본의 계열과 《여유당집》 권차 124
3. 세 가지 목록 131
4. 다산 저작의 추이 136
5. 《여유당집》의 성립 141
6. 결론 150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을 위한 필사본 연구
─ 경집經集을 중심으로 ┃ 장동우
1. 《여유당전서》 정본의 체재에 대하여 153
2. 규장각소장 《여유당집》과 《사암경집》
및 기타 경집 관련 필사본의 위상 164
3. 결론과 남는 문제 177
첨부자료 1: 필사본의 소장 현황과 소장처 181
첨부자료 2: 권수卷數가 표시된 저작 목록 재배치 자료 192
《여유당전서》 ‘경집經集’ 필사본에 관한 고찰
─ 규장각본과 아사미문고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 장동우
1. 머리말 ─ 필사본 연구 현황 201
2. 아사미문고본 경집經集 관련 필사본과
규장각 소장 이본異本과의 비교 204
3. 결론과 남는 문제 215
『주역사전周易四箋』의 텍스트 형성과정에 관한 고찰
─ 정고본定稿本 및 신조본新朝本의 저본底本을 찾기 위한 시론 ┃ 방인
1. 들어가는 말 217
2. 『주역사전』 텍스트의 형성과정 219
3. 이본의 대조연구 228
4. 『주역사전』의 정고본定稿本 찾기 245
5. 결론 250
단국대본 『주역사전周易四箋』 연구
─ 정고본 및 신조본의 저본을 찾기 위한 두 번째 시론 ┃ 방인
1. 논의의 실마리 255
2. 단국대본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 261
3. 맺는 말 288
정약용의 『상서尙書』 주석서 계열 고찰 ┃ 김문식
1. 머리말 291
2. 『매씨서평梅氏書平』의 필사본 293
3. 『상서고훈尙書古訓』의 필사본 312
4. 필사본의 계열 및 필사 시기 332
5. 맺음말 337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 필사본의 원문 비교 ┃ 김문식
1. 머리말 341
2. 『상서지원록』의 편찬 343
3. 『상서지원록』의 원문 비교 362
4. 맺음말 373
다산 예집禮集 저술의 필사본 전승사 연구 ┃ 박종천
1. 다산 저술의 필사본 전승사 연구 현황과 과제 377
2. 다산 필사본의 계열과 전승 381
3. 예집 필사본의 계열 분석과 전승 양상 396
4. 맺음말 420
신자료 『선암총서船菴叢書』의 발굴과
『목민심서牧民心書』 저술 과정의 검토 ┃ 박철상
1. 시작하는 말 427
2. 다산茶山 저작著作의 정고본定稿本 429
3. 『목민심서牧民心書』의 유통과 간행 433
4. 『선암총서船菴叢書』의 검토 438
5. 『목민심서』의 저술 과정 448
6. 맺음말 456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와 『대동수경大東水經』의
문헌학적 검토 ┃ 조성을
1. 서언 471
2. 『아방강역고』의 문헌학적 검토 476
3. 『대동수경』의 문헌학적 검토 497
4. 결어 506
『아언각비雅言覺非』의 이본異本과 유전流傳 ┃ 노경희
1. 『아언각비雅言覺非』에 대하여 509
2. 이본 대교와 편찬 과정 재구 514
3. 신식활자본의 간행과 유전流傳 527
4. 마무리 538
부록: 『아언각비』 이본 대조표 540
『이담속찬耳談續纂』의 이본異本 연구 ┃ 임미정
1. 서론 543
2. 이본의 서지적 검토 545
3. 이본의 대조와 분석 555
4. 결론 567
『민보의民堡議』 필사본에 대한 연구 ┃ 박종천
1. 머리말 571
2. 『민보의』 필사본의 현황과 체계 573
3. 「민보의목차」에 의한 필사본들의 계통 분류 580
4. 《여유당집》 계열 필사본들의 이본異本 비교 586
5. 맺음말 597
참고문헌 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