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종교일반 > 종교철학
· ISBN : 9791187141440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9-06-1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서문
1. 신학 연구에서 철학의 기능
2. 신에 관한 논의가 신학과 철학의 관계에서가지는 중요한 의미
3. 하나님에 대한 사상에 상응하는 세계 개념 그리고 철학과
개별학문들 간의 긴장
1장 철학과 신학의 관계설정의 유형들
1. 철학과 대립적 관계에 있는 신학
2. 참된 철학으로서의 기독교
3. 자연 계시와 구분되는 “자연 이성”의 기능으로서의 철학
4. 이성적 보편성과 종교적 주관성
5. 종교적 표상이 철학 개념으로 지양됨
2장 플라톤주의의 기독교적 수용
1. 하나님에 대한 사상과 플라톤의 원리론
2. 신을 닮아감이라는 삶의 이상
3. 조명과 은혜
4. 기독교적 수정과 플라톤 이론의 변형
5. 플라톤 사상의 계속적인 영향과 시사성
3장 기독교 신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1. 플라톤과의 관계에서 본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심 사상
2. 교부신학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
3. 라틴 중세 기독교의 아리스토텔레스 수용과 그 문제점
4. 근대와 아리스토텔레스
4장 스토아 철학에 대한 기독교 사상의 관계
1. 스토아 학파 체계의 출발점과 근간
2. 기독교 신학과 스토아 철학
3. 근대의 탈(脫)기독교화에 미친 스토아의 영향
5장 철학의 주제 형성에 대한 기독교의 기여
1. 세계 및 모든 유한한 존재자의 우연성
2. 개별성에 대한 집중
3. 세계에 대한 역사적 이해
4. 무한자에 대한 긍정적 평가
5. 기독교 성육신 사상의 영향들
6장 기독교로부터 근대 문화의 해방
7장 근대 초기를 규정한 새로운 철학의 착안과 기독교적 의미
1. 르네 데카르트(1569~1650)에 의한 철학적 신학의 갱신과 후속 문제들
2. 존 로크와 경험론
2-1) 인식론
2-2) 하나님 인식과 자연 인식의 비교 그리고 기독교 계시의 신빙성
2-3) 로크와 이신론
2-4) 로크의 기타 영향들
책속에서
사랑은 오성의 분리를 무화시키는 극복이 아니라 그런 분리를 인정하는 극복, 즉 생명의 통일성이다. 그런 사랑은 사변적 개념에 관한 헤겔의 후기 사상의 단초가 되었다. 사랑과 마찬가지로 사변적 개념은 분리된 것의 통일이다. 이런 통일에서 개념의 모든 규정들은 타자 속에서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는 방식으로 다른 규정들과 관계한다.
인간이 “영원한 생명을 초월적인 총체적 정신으로 전제하고, ... 생명을 추구하며, 가장 내 밀하게 그 생명과 하나가 된다면, 그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이다.”(N 347)
화이트헤드의 철학은 신의 존재를 현대의 자연과학적 세계관에 부합할 수 있는 세계개념을 통해 생각할 수 있게 해준다. “과정신학”은 신개념과 세계개념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잘 알고 있으며, 경건한 경험주관주의는 세계의 현실성은 물론 신의 실재성도 놓칠 위험에 처해 있음을 잘 알고 있다. 그렇지만 화이트헤드의 신은 성서와 기독교 신앙에서 말하는 창조자로서의 하나님이 아니다. 화이트헤드의 신은 개개의 사건들의 창조자가 아니라 이 사건들이 자기 자신을 창조하도록 자극할 뿐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