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윤리학의 기초

윤리학의 기초

(철학적·신학적 관점)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지은이), 오성현 (옮긴이)
종문화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윤리학의 기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윤리학의 기초 (철학적·신학적 관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8714173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그리스도인이 추구하고 살아야 할 삶의 양식으로서의 기독교 윤리는 신학적 인간론을 바탕으로 하여 철학적 윤리의 논증 속에서 충분히 인륜적 보편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판넨베르크는 이 책에서 보여주고 있다.

목차

1장 현대 세속문화의 도덕과 윤리
1. 근대 사회의 인간학적 토대 그리고 교의학에 대한 윤리학의 우선성
2. 도덕적 규범의식의 해체
도덕적 정의주의(情意主義)
니체의 도덕 비판
기독교의 윤리적 시대와 그 종결
3. 도덕의 공적인 기능이 상실되었는가?
사회의 탈도덕화 현상
탈도덕적 사회에서도 여전히 요구되는 도덕성
법질서와 도덕
4. 삶의 영위에 있어서 도덕적 동기화와 윤리적 지향
삶의 영위와 윤리
상호 간의 승인

2장 윤리의 발생과 윤리적 정당화의 주요 방법들
1. 관습, 법률, 윤리
관습과 법률
윤리학의 발생
2. 선론적 윤리학
소크라테스의 선론
자연주의적 오류
주지주의적 왜곡?
행복주의
쾌락주의
선과 쾌락의 상관성
가치윤리학
선에 대한 추구의 왜곡과 아리스토텔레스
3. 선(善)에 대한 플라톤적 물음의 기독교적 변형
아우구스티누스의 선론
하나님과 최고선
초월적 지복의 현재적 선취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 체계와 계명
아퀴나스의 덕론
4. 의무론적 윤리학
신학적 계명윤리
스토아와 키케로의 의무론
암브로시우스의 의무론
5.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학
선의지
정언명령(定言命令)
칸트 의무윤리와 스토아 의무윤리

3장 윤리의 토대 - 주요 시도들에 대한 비판적 평가
공리주의
1. 칸트 윤리학의 형식주의
야코비와 슐라이어마허의 비판
헤겔의 비판
내용을 담고 있는 도덕적 원칙
2. 자연법과 기독교의 계명윤리
자연법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상호호혜성의 원리
결의론(決疑論)의 문제
십계명과 공동적 삶
공동적 삶의 규칙과 개인적 삶에서의 수용
3. 선론과 윤리학의 신학적 토대
개인의 선과 공동체의 선
슐라이어마허의 선론적 윤리
칸트와 슐라이어마허에게서 최고선의 이해
칸트와 슐라이어마허의 하나님 나라 이해
트뢸치의 하나님 나라 이해
렌토르프의 하나님 나라 이해
하나님 통치의 미래성과 윤리학

4장 하나님 나라와 윤리
1. 종말론적 메시지의 귀결로서 예수의 율법 해석
하나님의 통치의 미래성과 현재성
하나님의 사랑과 인간의 행위
사랑의 이중계명 -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 9
2. 사랑과 호의
라이프니츠의 호의
칸트의 비판
은혜와 사랑
성서적 이웃사랑과 보편적 호의
3. 인간의 피조성과 사랑의 계명
인간의 주어진 삶
렌트로프 윤리의 첫 번째 근본 요소 - 삶의 수용성
렌토르프 윤리의 두 번째 근본 요소 – 삶의 능동성
렌토르프 윤리의 세 번째 근본 요소 - 삶의 반성
기독교 윤리적 논증의 인간학적 기초와 종말론적 전망
새로운 인간 정체성과 타인에 대한 호의
4. 사랑과 법률
우정에서의 호의
지속적인 인간관계에서의 호의
계약적, 법률적 관계에서의 호의
법률과 사랑의 관계
5. 하나님의 사랑과 인간 공동체의 구축
하나님의 사랑의 대상으로서의 공동체
하나님의 계명과 인간 공동체의 형성
공동체의 토대로서의 신앙

5장 기독교 윤리와 인간 보편적 윤리성
1. ‘특별하게 기독교적인’ 윤리가 존재하는가?
기독교 윤리와 철학적 윤리의 내용적 일치
종교개혁적 윤리학
슐라이어마허 윤리학
슐라이어마허에 대한 평가
바르트의 그리스도론적 윤리학
트뢸치의 기독교 사회윤리학
사회윤리의 기독교적 뿌리
기독교 윤리의 인도주의적 보편타당성
2. 신학적 분과로서 윤리학이 교의학과 가지는 관계성
교의학의 기반 위에 있는 윤리학
인간학적 · 창조신학적 근거
교의학에 대한 윤리학의 상대적 자립성
3. 기독교 윤리의 인간학적 전제
하나님과의 공동체성과 인간의 개인적 차원
하나님과의 공동체성과 인간의 사회적 차원
인간의 죄성

6장 세속화된 사회적 상황에서의 기독교 윤리의 원칙
기독교 윤리의 대조성
그리스도인의 개인적 삶과 공동적 삶의 윤리적 근본 관점들
1. 자기실현과 봉사
인격권과 자유권
자유권의 제약
보편적 봉사와 특정 직무의 봉사
루터의 소명론
봉사의 차별성과 우선성
2. 자기 통제
현대적 인간 이해와 기독교적 인간 이해
이기적인 욕구의 제어
자기 절제와 그 목적
죄에 대한 지배와 덕론
공동체적 삶의 형태
3. 부부와 가족
가족결속과 가족관계
가족과 사회화
부부의 우선성과 해체불가성
인간의 사회성과 부부
부부관계에 대한 윤리적 고찰
부부와 성(性)
부부관계와 하나님과의 공동체성
부부와 가족
4. 세속적 국가에서의 기독교적 행위
국가 질서와 인간의 본성
창조질서 혹은 보존질서
국가와 종교
국가와 교회
근대의 세속적 국가와 기독교
민주주의와 자유사상
민주주의와 인간존엄성
국민 주권
국민 선거
민주주의 입헌제에서 기독교의 역할
국가 질서의 종교적 기반 혹은 이데올로기적 기반
국가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역할
현대적 인간 이해와 기독교적 인간 이해
이기적인 욕구의 제어
자기 절제와 그 목적
죄에 대한 지배와 덕론
공동체적 삶의 형태
색인

저자소개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8년 10월 2일 독일 슈테틴(현재 폴란드의 슈테친)에서 세무 공무원의 아들로 태어나 루터교에서 유아세례를 받았지만, 유년기에는 기독교에 적대적인 부모로 인해 신앙생활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18세 무렵 강한 종교적 체험을 하게 되었는데, 후에 그는 이 체험을 “빛 체험”이라 불렀다. 그는 이런 체험을 학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철학자들과 종교 사상가들의 다양한 책을 읽었다. 고등학교 때에는 문학 교사의 권유로 기독교를 깊이 탐구하여 “지성적 회심”에 이르렀으며, 그 결과 기독교가 최선의 종교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는 어린 시절 클래식 음악에 심취하여 피아니스트나 혹은 카라얀(Herbert von Karajan)과 같은 지휘자가 되고 싶었다. 그는 15세 때 도서관에서 니체의 『음악의 정신으로부터 비극의 탄생』을 읽고 큰 감동을 받았다. 그리고 청소년기에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큰 전쟁을 경험하였을 뿐만 아니라 군인으로 전쟁의 끝에 가담하게 되면서 결국 전쟁포로로 1945년 여름을 맞았다. 포로 생활 이후 헤어진 가족들을 만나 1946년 다시 학교를 다니게 되었다. 이후 1947년 베를린대학교에 입학하여 신학과 철학을 공부했다. 베를린대학교에서 3학년을 마치고 1950년 여름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계속 공부하였다. 그는 교의학과 관련된 많은 신학서적들을 읽었으며, 성서 해석에도 큰 관심을 가졌다. 뿐만 아니라 철학에 더 많은 관심을 두었다. 그는 1953년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둔스 스코투스의 예정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리고 1958년 부퍼탈대학교 조직신학 교수(1958~1961)로 3년 뒤에는 마인츠대학교(1961~1968)로 옮겨 교의학을 강의했다. 1963년 시카고대학에 초빙되어 교환교수로만 한 학기를 머물렀다. 그리고 1968년 뮌헨대학교 교수(1968-1994)로 초빙되어 은퇴할 때까지 강의했다. 판넨베르크의 계시 사상은 K. 바르트와 역사를 정신과 자유가 계시되는 과정이라고 보는 헤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는 역사가 하나님의 자기계시라는 헤겔의 역사관을 그대로 수용하는 한편, 그리스도의 부활은 예기적(proleptic) 사건이며 역사는 그 예기적 사건이 전개되는 과정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이런 견해는 강한 바르트적 경향에도 불구하고 신정통주의 신학자들은 물론 불트만을 지지하는 자유주의 신학자들로부터도 강한 비판을 받았다. 헤겔좌파, 마르크스와 에른스트 블로흐에게 철학적 뿌리를 가지는 몰트만도 은연중에 판텐베르크를 비판했다. 저서로서는 『역사로서의 계시』(1961), 『예수, 신과 인간> (1964), 『신학과 하나님의 나라』 (1969), 『신학적 관점에서의 인간론』 (1983), 『조직신학』 1-3권(1988-1993), 『신학과 철학』(1996), 『유비와 계시』 (2007)
펼치기
오성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및 동대학원(서양철학 전공)을 졸업하고,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한 후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신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부교수(기독교윤리학)로 재직 중이다. 옮긴 책으로 헤르만 피셔의 『슐라이어마허의 생애와 사상』, 미하엘 벨커의 『하나님의 계시 – 그리스도론』, 라인홀드 니버의 『빛의 자녀들과 어둠의 자녀들』, 판넨베르크의 『윤리학의 기초 –증보판-』, 『신학과 철학 Ⅰ』 공역으로 『칼 바르트의 신학묵상』이 있다. 그리고 독일에서 단행본으로 출판된 박사학위논문(Barth und Schleiermacher 1909-1930)이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출판연구지원으로 『바르트와 슐라이어마허』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논문으로는 「루터의 신앙의 윤리」, 「슐라이어마허 기독교윤리학의 철학적ㆍ신학적 입지와 그 특징」, 「바르트의 신학적 윤리학: 복음과 율법을 중심으로」, 「현대 한국 복음주의와 윤리운동」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종교를 도덕으로 환원시키는 것에 반대하면서, 독일에서 슐라이어마허(Schleiermacher)는 종교적 주제는 형이상학의 이론적 지식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도덕과 윤리에 대해서도 자립성을 띤다는 주장을 성공적으로 주창했다. 그렇지만 슐라이어마허도 계속해서 윤리학을 토대학문으로 인정했으며, 그 토대 위에 역시 신학이 서있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경건한 공동체라는 개념은 윤리학의 사회이론에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1902년 에른스트 트뢸치(Ernst Troeltsch)는 “윤리학의 근본 문제”에 대한 자신의 논문에서, “윤리학이 상위의 학문이며 가장 원리적인 학문으로서 이 학문의 틀 안으로 종교학이 편입된다”는 입장이 근대적 발전의 특징적인 결과라고 주장했다. 트뢸치를 이어서 트루츠 렌토르프(Trutz Rendtorff)도 근대를 “기독교의 윤리적 시대”라고 명명했다. 이것은 기독교를 교의학으로부터 파악하려는 입장과 대비되는데, 기독교를 교의학으로부터 파악하는 입장은 오로지 전근대적 역사에서만 타당성을 가진다고 렌토르프는 주장한다. 또한 그는 근대에는 교의학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마저도 교의학이 윤리학을 위해서 가지는 기능으로부터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이런 시각은 18세기와 19세기의 기독교 전개과정과 확실히 여러 모로 들어맞는다. 물론 이에 반대하는 흐름들도 항상 있었다. 예를 들어 20세기에 칼 바르트(Karl Barth)의 신학이 그렇다. 기독교에서 본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이웃 사랑이라고 하는 주장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광범위하게 퍼져있으며, 그 속에는 의심의 여지없이 종교를 윤리로 환원시키려는 경향성이 표현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이런 경향성은 다른 한 경향성과 마주치면서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었는데, 그것은 곧 도덕적 규범이 가지는 구속력(拘束力)의 퇴락이었다. 이것은 곧 도덕적 규범이 가지는 구속력(拘束力)의 퇴락이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