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87373407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8-08-0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연표
첫 번째 마당:
체육관 대통령 취임 전에 이미
반유신 투쟁은 시작됐다
두 번째 마당:
박정희의 지시나 묵인 없이
김대중을 납치할 수 있었을까?
세 번째 마당:
공작 목표,
김대중 살해였나 단순 납치였나
네 번째 마당:
진상 조사 막고 자작극설 유포
국내 언론, 일제히 일본 언론 공격
다섯 번째 마당:
박정희-다나카, 4억 엔 검은 거래?
진상 규명 방해한 일본 정부와 만주 인맥
여섯 번째 마당:
개헌 운동에 맞서 긴급 조치 발동,
폭압의 민낯 드러낸 박정희
일곱 번째 마당:
프락치 출신 박정희는 어떻게
민청학련에 공산주의 낙인을 찍었나
여덟 번째 마당:
박정희는 왜 ‘사법 살인’ 수사를
굳이 직접 챙겼을까
아홉 번째 마당:
앞줄 사형, 다음 줄 무기
공판 조서까지 조작해 중형 선고
열 번째 마당:
지 주교도 구속하고 변호사도 구속하고
박정희의 오기와 착각
열한 번째 마당:
묘한 시점에 터진 8·15 저격 사건
미궁에 빠진 숱한 의혹들
열두 번째 마당:
박정희의 집요한 일본 책임론과 반일 운동
왜 일본·미국은 문세광 사건에 비협조적이었나
열세 번째 마당:
‘반쪽짜리 들러리 정당’ 신민당
‘선명 야당’ 내세운 김영삼 등장
열네 번째 마당:
광고로 언론 탄압한 박정희 정권,
격려 광고로 받아친 민주 시민들
열다섯 번째 마당:
부정으로 얼룩진 “국민 투표 독재”,
박정희 “신은 나에게 또다시 중책을”
열여섯 번째 마당:
한 대학 상대로 긴급 조치 7호 발동,
병영 국가에 죽음으로 항거한 김상진
열일곱 번째 마당:
대법 판결 하루도 안 돼 8명 학살
사법 살인에 시신까지 강탈한 유신 권력
나가는 말
책속에서
“천년 철옹성처럼 보이던 유신 체제가 그렇게 빨리 무너진 데에는 그것이 일제 군국주의 영향을 받은, 군국주의 잔영殘影 또는 잔재로 볼 수 있는 1인 권력 체제로 시대에 아주 뒤떨어진, 퇴행적인 한국형 파시즘 체제였다는 것이 기본적으로 작용했다. 한국인들은 그 이전에 이미 민주주의를 맛봤는데도 박정희 1인 독재 체제를 만들어서 그걸 수호하겠다고 했으니 무리수를 계속 둘 수밖에 없었고, 그러다보니 국민적 저항이 더 커질 수밖에 없었다. 유신 체제가 부마항쟁이라는, 1960년 4월혁명 이후 최대의 학생·시민 항쟁에 부딪혀 사실상 무너지게 됐다는 것도 유신 체제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유신 체제 7년이라는 것 때문에 한국인들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엄청난 비용을 치러야 했다. 그러한 비용 부담이 1979년 10·26으로 끝난 것도 아니다. 그 후 유신 체제의 서자 격인 전두환 체제로 이어지면서 또다시 큰 비용을 치르게 된다. 그뿐 아니라 나중에 박정희 신드롬이라는 형태로 다시 한 번 어려움을 겪게 되지 않나. 박정희 신드롬은 이명박·박근혜 정권을 출현하게 하는 등 민주주의 진전에 암적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단순히 민주주의에 대한 저해 요인으로만 작용한 게 아니다. 한국인의 정신과 생활 모든 면에 치유하기 힘든 어려움, 이건 남북 관계나 정치, 경제에서 특히 잘 나타나는데, 그런 어려움을 계속해서 주는 것을 볼 수 있다.”
“긴급 조치는 그 본뜻대로라면 경제적으로 굉장한 위기에 놓였거나 사회적으로 큰 혼란이 발생해 사태가 걷잡을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거나 국가 안보가 중대한 위기에 처했거나 할 때 발동돼야 하는 것일 텐데, 실제로는 그게 전혀 아니었다. ‘현행 헌법에 문제가 있다. 고쳐달라’고 청원하는, 유신 헌법을 비판하고 반대하는 여론을 철저히 금압하기 위해 긴급 조치를 내렸다. 박정희 유신 체제만 위기였을 뿐이었고, 박정희 1인의 권력을 수호하기 위한 조치였을 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