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한의 코로나 팬데믹 대응

북한의 코로나 팬데믹 대응

강영아, 김진숙, 엄주현, 유경숙, 이재인, 임성미, 최성우 (지은이),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기획)
건강미디어협동조합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북한의 코로나 팬데믹 대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한의 코로나 팬데믹 대응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9118738741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5-03-25

책 소개

코로나 유행 시기 북한 대응 양상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게 해 줄 뿐만 아니라, 그 대응 너머로 펼쳐진 북한 정부의 작동 방식, 북한 주민의 삶의 현실도 볼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북한의 감염 대응 방식과 그 결과는 보건의료, 사회 기반이 부족한 상황에서 국가가 감염병 대유행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목차

추천사 평화와 건강을 꿈꾸는 이들의 보고서 _신영전 …8
들어가며 …14

1장 코로나19 발생 현황 _ 유경숙 ...16
1. 북한 발생 현황…19
2. 남한 발생 현황…25
3. 소결…27

2장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조직과 법 및 제도 _ 엄주현 …30

1. 북한 상황…31
2. 남한 상황…43
3. 소결…46

3장 코로나19 방역 _ 최성우 ...50
1. 소독…52
2. 위생선전…60
3. 검병 검진…67
4. 격리…72
5. 검사…78
6. 소결…82

4장 방역물자 연구 및 확보 _ 임성미 ...50
1. 북한 상황…87
2. 남한 상황…97
3. 소결…98

5장 해외 유입 물자와 사람에 대한 검역 및 봉쇄 _ 강영아 …100
1. 북한 상황…101
2. 남한 상황…110
3. 소결…111

6장 취약 집단 및 시설 관리 _ 이재인 …114
1. 북한 상황…115
2. 남한 상황…126
3. 소결…128

7장 진단과 치료 _ 이재인 ...130
1. 진단…134
2. 치료…142
3. 소결…158

8장 발생 집단 격리 및 재택 치료 _ 이재인 ...162
1. 북한 상황…163
2. 남한 상황…169
3. 소결…172

9장 예방 접종 _ 엄주현 ...174
1. 북한 상황…176
2. 남한의 백신 접종 현황…182
3. 소결…184

10장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의 교육 현황 _ 임성미 ...186
1. 북한 상황…187
2. 남한 상황…192
3. 소결…193

11장 민생 지원 현황 _ 엄주현 ...194
1. 북한 상황…197
2. 남한 상황…213
3. 소결…214

12장 국제사회의 대북지원 현황 _ 김진숙 ...218
13장 결론 ...224

부록 ...233
1. 북한 보도 기준 코로나 발생 현황 …234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비상방역법 …237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염병예방법 …258
4. 신형코로나비루스감염증 치료안내지도서-어른용 …272
5. 신형코로나비루스감염증 치료안내지도서-어린이용 …278
6. 신형코로나비루스감염증 치료안내지도서-임산모용 …284
7. 돌림감기와 신형코로나비루스혼합감염증 치료안내지도서 (어른용, 어린이 용, 임산모용) …291

저자소개

엄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약력] (사)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사무처장 북한학 박사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 석사 졸업 동국대학교 북한학 박사 졸업 2002년부터 평양 어린이영양관리연구소, 대동강구역병원, 철도성병원, 만경대어린이종합병원 등 대북 보건의료 협력사업 책임자로 50회 이상 북측 방문 [논문 및 저서] 북한 보건의료체계 구축 과정 연구 『김일성저작집』을 통해 본 북한의 보건의료 인식과 체계의 구축 『경제연구』 분석에 기초한 남북 협력 방안 연구 북한 의약품 생산체계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조선의 의학 학술지를 통해 본 북한의 보건의료 이해, 공동집필 한국 감옥의 현실 : 감옥 인권실태 조사보고서, 공동집필
펼치기
강영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예방의학 전문의. 국제보건, 건강 불평등 및 위기 의사 소통에 관심
펼치기
김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질병관리청 근무. 약사이며 북한사회학 박사. 북한의 국제 보건협력, 북한 보건복지(여성, 장애인 등) 관련 법에 관심
펼치기
유경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약사. 의약품 접근권 보장, 북한 의약품 생산 및 사용에 관
펼치기
이재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산의료원 응급의료센터 근무. 가정의학과 전문의.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회원. 공공의료에 관심
펼치기
임성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산백병원 근무. 응급의학과 전문의.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회원. 재난 의료, 국제 보건 및 북한 보건의료, 건강불평등에 관심
펼치기
최성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건강 불평등, 국제보건, 이주민 건강 및 북한 보건의료에 관심
펼치기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기획)    정보 더보기
1997년 6월, ‘고난의 행군’ 당시 어려움을 겪는 북녘 어린이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보건의료인과 시민들이 함께 설립한 남북 교류협력 민간단체임. 90여 차례에 걸쳐 160억여 원의 보건의료 관련 물자를 북송했고 2012년부터 「북한 보건의료 연차보고서」를 발간하면서 북한 보건의료 연구에도 집중함. 북한뿐 아니라 전 세계 어려운 어린이들 지원에도 관심이 커 이라크, 미얀마 난민촌, 아이티, 중국 조선족, 팔레스타인 등의 어린이들을 지원함. 차별 않는 건강권 확대에 기여하고자 애씀
펼치기

책속에서

코로나 팬데믹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고 북한과 같은 대표적인 폐쇄 국가도 피하지 못했다. 더욱이 보건의료 기반 자체가 허술하고 식량 부족으로 인해 주민의 면역력이 약하다는 소식이 계속 전해지는 상황에서 전대미문의 전염병에 대응했기에 상당한 위기 국면이었다고 짐작 가능하다. 하지만 북한 당국은 2022년 5월 오미크론 확진자 발표 전까지 한 사람의 코로나19 감염자가 없이 완벽하게 방어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오미크론 확진자 발생 이후에도 단 100일 만에 전파 차단에 완전하게 성공하였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하였다.
물론 전문가들은 북한 당국의 주장을 신뢰하지 않았다. 그 주장이 일반 상식과 너무 동떨어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정보의 부족으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북한 내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베일에 싸여 전혀 알지 못해 구체적인 평가는 불가능하였다.
북한은 2020년 1월 22일, 『로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에 코로나19 감염자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기사를 보도하면서 이에 대응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2023년 8월 26일 ‘국가비상방역사령부’가 코로나19 팬데믹 완화에 따른 방역 등급을 조정하고 해외에 체류하던 북한 주민들의 귀국 승인을 통보하면서 3년 8개월간의 비상방역 조치를 사실상 완료하였다. 그 4년여 동안 북한 당국은 ‘제로(ZERO) 코로나’ 정책을 추진하며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완전하게 차단하였다는 사실과 코로나19 방어에 성공하였다는 주장 외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코로나19에 대응했는지 여전히 의문으로 남는다.
이에 북한 당국이 코로나19 대응을 위하여 어떤 조치와 움직임, 정책을 펼쳤는지 남한에서 확보 가능한 북한의 당기관지 『로동신문』을 통하여 유추해 보았다. 『로동신문』은 주지하다시피 당국의 선전지 역할로 인해 현실과 괴리는 불가피하다. 하지만 코로나19는 북한 당국이 사활을 걸고 방어하는 대상이었고 북한 주민에게 관련 정보를 가장 빨리 제공하는 주요 매개로 『로동신문』을 활용하였기에, 코로나19와 관련한 다양한 주제 및 분야의 기사를 쏟아냈다. 이에 『로동신문』을 검토 및 분석하여 북한 코로나19 대응 현실에 조금이나마 다가서고자 한다
이 책은 2023년 8월에 공개된 질병관리청의 『2022 질병관리청 백서』를 참고하여 주제어를 선정하여 집필하였다. 또한 북한이 어떤 정책을 펼쳤는지 구체적 상황을 보여주기 위하여 의미를 갖는다고 판단한 북한 보도를 삽입하였다. 남북은 띄어쓰기와 맞춤법에 차이를 가지는데, 북한 상황의 생생함을 살리기 위해 북한의 기사를 그대로 인용하였다. 더불어 관련 사진을 첨부하여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그리고 2022년 5월 오미크론 확진자가 발생한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여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검토하였다. 더불어 북한과 대비하여 남한은 어떠한 정책을 펼쳤는지 각 분야의 상황을 간략하게 개괄하였다.
- 본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