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91187425472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7-09-27
책 소개
목차
<제1부> 개화기
제1장 [임하필기]에 나타난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Ⅰ. [임하필기]의 가치와 중요성
Ⅱ.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고찰
Ⅲ. 세시풍속과 민속놀이에 대한 종합적 평가
제2장 개화기 서양인이 본 한국의 의례
Ⅰ. 서양인들이 남긴 개화기 한국에 관한 기록물
Ⅱ. 개화기 서양인이 본 한국 의례
Ⅲ. 서양 중심적 사고와 편향된 평가
제3장 개화기 서양인들과의 민속 관련 민간문화교류 -평가와 제안
Ⅰ. 개화기 서양인들과의 민간문화교류
Ⅱ. 민속 관련 자료 및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
Ⅲ. 민속 분야의 연구 성과 의의 - 제안을 겸하여
<제2부> 일제강점기
제1장 일제강점기 전통주의 위축과 변모
Ⅰ. 일제강점기 전통주에 대한 민속학적 시각
Ⅱ. 일제강점기 전통주의 위축과 변모
Ⅲ. 일제강점기 전통주에 대한 종합적 평가
제2장 일제강점기 향토오락 진흥정책과 민속놀이의 전개 양상
Ⅰ. 향토오락을 둘러싼 일제의 문화정책의 추이
Ⅱ. 일제강점기 健體 프로젝트와 오락 담론
Ⅲ. 일제의 농촌진흥운동과 농촌오락 진흥운동
Ⅳ. 조선 향토오락 진흥의 방향
Ⅴ. 근대 시기 민속놀이의 전개 양상
Ⅵ. 민속놀이 전승 방식의 근대적 변모 양상
제3장 일제강점기 가신신앙
Ⅰ. 가신신앙에 대한 논의
Ⅱ. 가신신앙 자료들에 대한 문제점과 성과 검토
Ⅲ. 가신신앙의 유형별 분석
Ⅳ. 가신신앙 관련 자료의 수집 및 보존
<제3부>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
제1장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관.혼.상.제례의 지속과 변용
Ⅰ. 전통문화와 외래문화의 충돌
Ⅱ.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관.혼.상.제례의 지속과 변용
Ⅲ. 관.혼.상.제례의 지속과 변용의 결과
제2장 민속놀이와 의식주를 통해 바라본 “조선의 근대” 연구에 대한 의의
Ⅰ. 의식주와 민속놀이를 통해 바라본 조선의 근대에 대한 논의
Ⅱ. 의식주를 통해 바라본 조선의 근대
Ⅲ. 조선의 근대와 민속놀이의 변화 양상
Ⅳ. 조선의 근대와 외래문화로 인한 문화전통의 변용
<부록>
1. 번역자료 2. 번역자료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