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87430933
· 쪽수 : 462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목차
차례
감사의 말 … 9
옮긴이 글 … 11
1장 서론
1.1 괴테의 《행운의 돌》
1.2 여행 텍스트 분석에 대한 모빌리티 접근법
1.3 책의 구조
1부 출발점
2장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 (기원전 약 750~700)
2.1 서론
2.2 《오디세이아》의 시작
2.3 집에 대한 문화적 기억
2.4 아테네, 페넬로페, 고정-문화의 회복
2.5 모빌리티와 신들
2.6 이타케로의 이상적 귀환?
2.7 《오디세이아》 너머: 하이데거의 호메로스적 이상주의의 문제점
2.8 고대적 토대의 붕괴
2부 모빌리티 문화의 등장
3장 안장시대(1770~1830)
3.1 서론
3.2 이론적 접근법
3.3 문화적 맥락과 안장시대의 작가들
3.4 여행문학 분석: 안장시대의 여정
3.4.1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 《나의 1769년 여행의 기록》(1846)
3.4.2 게오르크 포르스터, 《세계 일주》(1777)
3.4.3 프리드리히 니콜라이, 《1781년 독일과 스위스 여행의 기록》(1788)
3.4.4 카를 필리프 모리츠, 《안톤 라이저》(1785-1786)
3.4.5 요한 볼프강 괴테,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1795~1796)
3.4.6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편지: 1793. 3. 1~1801. 4》(1848)7
3.4.7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페터 슐레밀의 놀라운 이야기》(1814)
3.4.8 요제프 폰 아이헨도르프, 《무용지물의 삶》(1826)
3.5 결론
3부 새로운 모빌리티의 현대
4장 전환점(1985~1995)
4.1 서론
4.2 안장시대에서 현대로의 이동
4.3. 개념틀
4.4 역사적 맥락
4.5 여행문학 분석: 전환점 서사
4.5.1 에리히 뢰스트, 《양파꽃 문양》
4.5.2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델리우스, 《로스토크에서 시라쿠사로의 산책》(1995)
4.5.3 안드레이 우지카, 《현재를 벗어나》(1995)
5장 귀환불능점과의 담판(1995~2010)
5.1 서론
5.2 분석의 개요
5.3 ‘전환‘-이후: 전 지구적 위기 및 작가와 영화감독의 역할 변화
5.4 여행문학 분석: 현대의 오디세이
5.4.1 《오디세이아》와의 결별: 이타케에서 사라예보로
5.4.2 영화, 시선, 도착
5.4.3 자기형성의 종말?
5.4.4 현대 청중에게 대면시키기
5.4.5 공간적 단절, 시간적 통일
5.4.6 사회주의여 안녕 - 완전한 종말?
5.4.7 (역사의) 종말 너머?
5.5 여행 텍스트 분석: 귀향 너머
5.5.1 여정은 계속된다
5.5.2 내가 돌아올 때…
5.6 최종성의 공포
6장 결론: 우리는 너무 멀리 갔는가?
6.1 서론
6.2 《귀향》과 관계된 주요 주제들
6.2.1 베른하르트 슐링크, 《귀향》(2006)
6.2.2 긴 시간에 걸친 《오디세이아》의 중요성
6.2.3 강렬한 모빌리티에 대한 반응
6.2.4 귀향의 가능성
6.3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
■ 참고문헌
책속에서
독일 바이마르에 있는 요한 폰 괴테의 정원 딸린 주택의 조용한 한 구석에는 '행운의 돌Stein des Glucks'이라는 이름의 사암 조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