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 일반
· ISBN : 9791187481379
· 쪽수 : 856쪽
· 출판일 : 2018-04-13
책 소개
목차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저자 서문_새로운 세대의 독자들을 맞이하며
역자 서문_보수주의의 뿌리
Ⅰ 보수주의의 핵심 기둥
Ⅱ 보수주의의 시조: 에드먼드 버크
1. 버크의 정치 역정
2. 버크가 맞서 싸운 혁신 이론들
3. 신의 섭리와 존숭
4. 선입견과 규범
5 사회적 인간의 권리와 자연권
6. 귀족정치는 불가능한가
7. 질서는 인간이 선택한 권리다
Ⅲ 미국 보수주의의 창시자: 존 애덤스
1. 연방주의자와 공화주의자
2. 중앙 집권을 강조한 해밀턴
3. 에임스의 비관적 예언
4. 존 애덤스의 인간론과 국가론
5. 귀족정치는 신의 뜻이다
6. 견제와 균형의 조화: 미국의 헌법
7. 마셜과 연방주의의 변신
Ⅳ 벤담에 맞선 낭만주의자들
1. 공리주의에 가슴으로 답한 스코트
2. 캐닝의 계몽된 보수주의
3. 콜리지의 철학적 보수주의
4. 추상의 승리
Ⅴ 미국 남부의 보수주의: 랜돌프와 칼훈
1. 남부의 정서
2. 실정법 제정의 위험을 지적한 랜돌프
3. 소수의 권리를 옹호한 칼훈
4. 남부의 용기
Ⅵ 민주주의의 함정: 맥컬리, 쿠퍼, 토크빌의 우려
1. 자유주의에 미친 버크의 영향
2. 맥컬리의 민주주의 불가론
3. 쿠퍼와 신사도의 미국
4. 토크빌의 민주적 독재론
5. 사려 깊은 민주주의
Ⅶ 과도기적 보수주의: 뉴잉글랜드 소묘
1. 보수적 질서를 무너뜨린 산업주의
2. 존 퀸시 애덤스: 그의 열망과 좌절
3. 초월주의자 애머슨의 착각
4. 가톨릭의 보수적 동력에 주목한 브라운슨
5. 호손: 사회와 원죄
Ⅷ 보수주의와 상상력: 디즈데일리와 뉴먼
1. 마르크스의 유물론: 자유주의의 결실
2. 디즈데일리의 국민 공동체론
3. 뉴먼: 지식의 근원과 교육의 이상
4. 배젓: 토론의 시대
Ⅸ 법률적이고 역사적인 보수주의: 불길한 예감의 시대
1. 자유주의와 집산주의: 존 스튜어트 밀, 콩트, 그리고 실증주의
2. 삶과 정치의 목적을 논한 스티븐
3. 메인: 지위와 계약
4. 렉키: 반자유주의적 민주주의
Ⅹ 좌절한 보수주의: 미국(1865~1918)
1. 도금 시대
2. 제임스 러셀 로웰의 혼란
3. 민주적 견해를 보는 고드킨의 시각
4. 민주주의적 신조의 퇴락과 헨리 애덤스
5. 브룩스 애덤스와 가공할 에너지의 세계
ⅩⅠ 방황하는 영국의 보수주의: 20세기
1. 귀족주의 정치의 종말: 1906년
2. 기싱과 지옥
3. 아서 밸푸어의 보수주의와 사회주의의 물결
4. 멀록의 과학적 보수주의
5. 세계대전 시기의 음산한 보수주의
ⅩⅡ 비판적 보수주의: 배빗, 모어, 산타야나
1. 실용주의: 미국의 헛발질
2. 고매한 의리를 요구한 배빗의 인문주의
3. 폴 엘머 모어, 정의와 신앙을 말하다
4, 자유주의를 격파한 산타야나
ⅩⅢ 보수주의자들의 약속
1. 급진주의의 폐해
2. 새로운 선도자
3. 지식인이란 누구인가
4. 보수주의와 시인
부록_보수의 10대 원칙
리뷰
책속에서
보수주의자들은 광신적 이념의 독단이 아니라 정치의 일반적 규칙을 신뢰한다. 이런 원칙들은 대개 전통과 폭넓은 합의에서 도출됐으며 오랜 경험으로 검증됐다. 그러나 인류를 둘러싼 환경이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다 다르기 때문에 이런 원칙들은 신중하고 가변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보수주의자들은 종교를 대신해 이상향을 건설하겠다는 정치적 신념을 거부한다.
급작스런 개혁은 진보를 리는 횃불이기보다는 모든 것을 삼켜버리는 대화재일지도 모른다. 물론 사회는 변화해야 한다. 신중한 변화야말로 사회를 보존하는 수단이다. 그러나 지도자들은 신의 섭리를 고려해야 한다. 플라톤(Plato)과 버크에 따르면 지도자의 주요 덕목은 신중함이다.
인간에게 제한 없는 권력을 맡길 수 없는 이유는 인간의 사악함이 아니라 나약함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