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지/출판 > 출판/편집
· ISBN : 9791187490074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7-07-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토론참석자]
제1부 책과 책방의 미래를 이야기하는 끝장토론 첫날
불투명하기 그지없는 출판 유통을 타파할 열쇠는 어디에?!
첫날의 주제 ‘이상하고도 이상한 출판 유통’
베스트셀러는 취급하지 않는다
죽기 전에 내가 만든 책을 직접 팔아보고 싶었다
‘도한-닛판’이냐 ‘닛판-도한’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일본의 도서 유통 시스템은 이미 붕괴하고 있다!
전쟁 전?후처럼 완전히 다른 2000년 이전과 이후
예전엔 손님의 개별 주문이 싫었다
‘팩스 영업’ 문제
적당히 골라서 보내주는 ‘어림 배본’은 이제 그만!
서구에서 ‘사전주문제’가 가능한 이유는?
손님에게 성의 없이 책을 내던지는 느낌
출판사와 서점, 이토록 서로 다른 마음
배본이 아예 안 되서 도서상품권으로 다른 서점에서 샀다
도매 기능의 ‘애당초론(そもそも論)’
서지 데이터의 중요성을 깨닫다
‘곧 출간 예정인 책’을 예약할 수 있다면?
만들고 싶은 서가가 있어야 책도 직접 고를 수 있다
‘딱 좋은’ 출고와 반품 비율
도매상의 최대 지출비는 ‘배송료’
반품률 40%는 높은 것인가, 낮은 것인가
독일 서점의 이윤은 일본 서점의 4배
도매상의 자기 부담분을 없애려면 직거래가 해답
‘주문배송제’ 출판사끼리 협업
트랜스뷰가 없었다면 출판사를 하지 않았을 것
직거래 서점의 사무 대행사가 필요하다
도매상이 직거래 유통과 결제 대행을 하는 독일
효율성과 공공성의 갈림길에서
한 권 주문은 거절하는 도서유통 따위 필요 없다
서점이 원하는 정보란 무엇인가?
모든 책이 갖춰지지 않았다고 쩔쩔맬 필요는 없다
반품률이 내려가지 않는 것은 방법이 아니라 구조의 문제
매절 도서에 관한 결정적인 입장 차이
몸살 앓게 하는 별책 부록
정가를 두 배로 올리면 부수가 반으로 줄어도 이익
제2부 책과 책방의 미래를 이야기하는 끝장토론 둘째 날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로 거리에서 책방이 살아님기 위한 힌트를 찾다
숙취가 남은 이 아침, 책방이 사라져가는 이유를 생각하다
도매상은 에도 시대 말기의 막부 같아요
새로운 참여자가 없는 업계 따위 사라져 버려!
작은 책방도 이렇게 서로 의지한다!
마을에서 책방이 없어지면…
책과 함께하는 인생은 정말로 행복할까?
불순한 서점의 음모?
‘책’보다 ‘서점’이 더 좋았어요
단지 서점과 카페를 통합하는 것이라면
연하장 작성부터 마술까지 뭐든 한다
만물상 서점은 왜 나쁜가
‘셀렉트 서점’에 대한 불편한 생각
예상 손익계산서를 만들면 개업 판단이 쉽다
인터넷에는 안 나오는 개점 비용 이야기
‘중개 보증금’은 보통 두 달 치의 매출 예상 금액
너무나도 절실한 서점 물류
누가 책을 선택하는가?
질풍노도의 끝은 ‘1인 출판사’
스스로 재미있다고 느낀 기획인가?
배본이 없는 나라 독일의 책방은 모두 안녕합니다!
단골손님이 70%, 손님 당 구매 금액은 일본의 3배
중소 서점의 매입과 결제를 도매상이 관리
경쟁 상대는 다른 서점이 아니라 아마존!
혹독한 미래를 예상한 독일의 출판업계
출판업계를 다시 일으킬 열쇠, 동네 서점
출간 종수와 서점의 취급 종수 그리고 정가
베스트셀러는 큰 서점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고?
직거래로 할 수 있다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
정면 돌파! 도매상이라는 장애물
오래된 서점은 어떻게 되살아났나?
우리 지역에 ‘책방이 생긴다’는 것
책방, 마을 만들기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제3부 책방이 있는 마을을 늘려가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
고민을 가슴에 품고 우리는 책과 책방의 미래를 찾아가는 여행을 떠났다
트랜스뷰 대표 구도 히데유키 씨에게 묻다
지역에서도 책방이 살아남을 수 있는 새로운 출판 유통이란 어떤 것일까?
〈문화통신〉 편집장 호시노 와타루 씨에게 묻다
출판업계의 장애물을 넘어선 개혁이 독일에서는 어떻게 실현 가능했을까?
H.A.Bookstore 마쓰이 유스케 씨에게 묻다
도매상, 서점, 출판 모두를 경험한 마쓰이 씨가 봤을 때 지금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쓰바메 출판유통 대표 가와히토 야스유키 씨에게 묻다
오롯이 혼자서 ‘1인 도매상’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무엇이었나?
미시마샤 대표 미시마 구니히로 씨에게 묻다
동네 서점이 살아남기 위해 미시마 씨가 생각하는 동네 서점의 이상적인 미래상은 어떤 모습인가?
제4부 긴 여행의 마무리는 규슈의 젊은 서점인과 함께
책과 책방의 미래를 지역의 시선에서 생각하다
나가사키 서점 사장 나가사키 겐이치 씨에게 묻다
지방 서점의 경영에서 특별히 중요하게 여겨왔던 것, 그리고 미래를 향한 비전은?
[기고문] 책장 너머 저편의 푸른 하늘 -이와오 신사쿠(가모시카 서점)
[맺음말] 북쿠오카의 10년을 돌아보며 -오이 미노루(북쿠오카 실행위원장)
리뷰
책속에서
오랜 기간 이 일을 해서 매년 데이터를 보고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저도 모르게 전체적인 흐름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 부닥칠 것이라는 예상은 아마 약 15년 전부터 대부분 알고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결국 아무것도 못 하고 지금의 상황을 맞았죠. 이 상황을 한마디로 말하면 유통 시스템이 이미 붕괴해버렸다는 것입니다. “이제부터 이상해질 거야, 이제 붕괴할 것 같아”가 아니라 구조적으로 도서 유통 시스템이란 것은 이미 붕괴해버렸어요. 그러므로 다음에 벌어질 일을 생각해야만 합니다.
2013년에 ‘JPO(일본 출판 인프라센터)’라는 단체와 몇 군데 서점이 협력해서 문고의 매절(반품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평상시의 공급률보다 낮추어 일정 부수의 도서를 구매하는 것) 실험을 했습니다. 고단샤나 신쵸샤, 카도카와, 분게슌주 등 문고가 나오는 대형 출판사도 참여했습니다. 매달 나오는 문고 전체를 사전 발주하면 매절하여 판매한다는 계획으로 어느 정도 판매될지 헤아려보는 겁니다. 사전에 대형 서점 쪽과 함께 출판사를 방문해 협력을 타진했는데 방문을 마치고 동행했던 서점 쪽 사람이 “아니, 출판사와 서점이 이렇게 생각이 다르군요”라고 말씀하시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