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어우집 1

어우집 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유몽인 (지은이), 장유승 (옮긴이)
  |  
학자원
2016-12-30
  |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어우집 1

책 정보

· 제목 : 어우집 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87806134
· 쪽수 : 592쪽

목차

일러두기 ∙ 4
해제 《어우집(於于集)》 해제|김홍백 ∙  29

판부判付
어제 신설 판부 御製伸雪判付|정조 正祖 ∙ 87
어제 추증 판부 御製貤贈判付|정조 正祖 ∙ 89


어우집 제1권
시詩
관동록關東錄
양양 도중에 〈관동록〉 경인년 襄陽途中 關東錄 庚寅 ∙ 95
청간정 淸澗亭 ∙ 96

성사록星槎錄
삼하 주인의 벽 위에 쓰다 〈성사록〉 신묘년
題三河主人壁上 星槎錄 辛卯 ∙ 97
옥하관에서 삼월 삼짇날에 앞의 시에 차운하다. 윤 우신, 한 응인, 신 경진, 오 억령, 김 신원 과 함께 모여 연회를 열었다 4수 임진년
玉河館三月三日次前韻同尹 友新 韓 應寅 辛 慶晉 吳 億齡 金 信元 集燕 四首
壬辰 ∙ 98
먼저 돌아가는 진주사 한 응인 을 전송하며 送陳奏使韓 應寅 先歸 ∙ 102

남수록南繡錄
동궁의 명을 받들어 암행으로 보성을 지나다 진사 신여훈을 만나다 〈남수록〉
갑오년 奉東宮命暗行過寶城遇進士愼汝訓 南繡錄 甲午 ∙ 103
홍주에서 동궁을 모시고 있었는데 무더위를 만나 좁은 방에서 거처하며 황 사서 신 에게 편지를 쓰다
洪州奉東宮値苦熱處窄室作簡黃司書 愼 ∙ 104
우계 성 선생에게 공경히 회답하다 2수
敬復牛溪成先生 二首 ∙ 105
경주 기생 월선에게 주다 贈慶州妓月仙 ∙ 106

북수록北繡錄
포천 2수 〈북수록〉 정유년 抱川 二首 北繡錄 丁酉 ∙ 107
금성에서 金城 ∙ 109
회양에서 淮陽 ∙ 110
덕원 객사에 쓰다 題德源客舍 ∙ 111
문천 동헌에서 文川東軒 ∙ 112
영흥 시에 차운하다 次永興韻 ∙ 113
함흥에서 咸興 ∙ 114
길주에서 마운령을 경유하여 마천령을 넘다 吉州由磨雲嶺越磨天嶺 ∙ 115
마천령으로 향하는 이실지 춘영 에게 주다
贈李實之 春英 向磨天嶺 ∙ 116
칠보산 七寶山 ∙ 117
함경남도 별영에서 벽에 쓰인 박 민헌 의 시에 차운하다
咸慶南道別營次壁上朴 民獻 韻 ∙ 118
갑산 용추 2수 甲山龍湫 二首 ∙ 119
부령 현판 시에 차운하다 2수 次富寧懸板韻 二首 ∙ 120
경원 관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慶源館舍韻 ∙ 121
원수대에서 노닐다 취중에 윤 서기 홍, 최 독우 동식, 신 통판 성기 에게 올리니 곧은 바늘로 서옥을 낚기를 바라서이다
遊元帥臺醉中奉呈尹書記 宖 崔督郵 東式 辛通判 成己 欲以直釣取璜 ∙ 122
북관 유소사 팔영 北關有所思八詠 ∙ 123
정유년 겨울, 난을 피해 고원으로 갔을 때 어사 유경휴 인길 에게 주다
丁酉冬避亂高原贈御史柳景休 寅吉 ∙ 126

서수록西繡錄
평양에서 허봉의 시에 차운하여 사내옹 안 경창 에게 주다 3수 〈서수록〉
무술년 平壤次許篈韻贈四耐翁安 慶昌 三首 西繡錄 戊戌 ∙ 127
덕천 동헌에 걸린 시에 차운하다 次德川東軒韻 ∙ 130
개천에서 동헌에 걸린 시에 차운하다 价川次東軒韻 ∙ 131
맹산에서 차운하다 2수 孟山次韻 二首 ∙ 132
양덕 달각산 마을에 쓰다 題陽德達覺山村 ∙ 134
중앙원의 시를 차운하다 中央院次韻 ∙ 135
마흘령에 오르다 登麻訖嶺 ∙ 136
순희원 시에 차운하다 次醇煕院韻 ∙ 137
순희원에 쓰다 題醇煕院 ∙ 138
통인담 通引潭 ∙ 139
성천 강선루 시에 차운하다 3수 次成川降仙樓韻 三首 ∙ 140
다시 칠언배율 여섯 운에 차운하다 又次七言排律六韻 ∙ 143
온정원에 쓰다 題溫井院 ∙ 145
복어국을 보고 느낌이 있어 見鰒魚羹有感 ∙ 146
상원산 정자 시에 차운하다 次祥原山亭韻 ∙ 147
옛 삼등의 강촌에 쓰다 題古三登江村 ∙ 148
함종에서 차운하다 2수 咸從次韻 二首 ∙ 149
곽산 시에 차운하다 2수 次郭山韻 二首 ∙ 151
순안의 객사에서 順安旅舍 ∙ 153
설영 상인에게 주다 2수 贈雪英上人 二首 ∙ 154
길 위에서 路上 ∙ 156
성천을 떠나며 發成川 ∙ 157
양덕으로 가는 길에 陽德途中 ∙ 158
맹산에서 孟山卽事 ∙ 159
덕천에서 德川 ∙ 160
임천에서 동헌 시에 차운하다 煕川次東軒韻 ∙ 161
강계 신광원에서 차운하다 3수 江界神光院次韻 三首 ∙ 162
강계 동헌 시에 차운하다 次江界東軒韻 ∙ 164
강계 인풍루 시에 차운하다 2수 次江界仁風樓韻 二首 ∙ 165
위원으로 가는 길 위에서 渭原路上 ∙ 167
이산군에서 理山郡 ∙ 168
이산군에서 배를 타고 벽동으로 내려가며 3수
自理山乘船下碧潼 三首 ∙ 169
‘지’ 자를 얻어 시를 짓다 得遲字 ∙ 171
벽동의 객사 시에 차운하여 근심을 달래다 次碧潼客舍韻遣憫 ∙ 172
벽단으로 가는 도중에 碧團途中 ∙ 173
창주 객관에서 회포를 쓰다 昌洲館書懷 ∙ 174
창성 시를 차운하다 次韻昌城 ∙ 176
용천에서 북경으로 가는 윤 서장 휘 을 전별하며 2수
龍川別尹書狀 暉 赴京 二首 ∙ 177
신미당에서 주인 이덕언의 시에 차운하다 信美堂次主人李德言韻 ∙ 179
분사어사가 되어 빗속에 삭씨진을 건너다 分司御史雨渡朔氏津 ∙ 180

호서록湖西錄
학질 귀신을 꾸짖다 〈호서록〉 임인년 譴瘧鬼 湖西錄 壬寅 ∙ 181
승려 보은의 시축에 있는 고제봉(高霽峯)의 시에 차운하다
次僧寶訔詩軸高霽峯韻 ∙ 182
또 앞의 운을 써서 진사 정천석 몽열 에게 주다
又用前韻與鄭進士天錫 夢說 ∙ 183
양진, 호봉, 만취, 김수재 네 사람의 시에 차운하다 다섯 수
次養眞壺峯晩翠金秀才四賢韻 五首 ∙ 184
정천석의 시에 차운하다 次鄭天錫韻 ∙ 187
우연히 읊다 偶吟 ∙ 188
조협 군에게 부치다 3수 寄趙君浹 三首 ∙ 189
회포를 쓰다 寫懷 ∙ 191
남선초 복시 의 시권에 있는 최 립 의 시에 차운하다
次南善初 復始 詩卷崔 岦 韻 ∙ 192

옥당록玉堂錄
임학령의 딸에 대한 만사 〈옥당록〉 임인년 任鶴齡女子挽 玉堂錄 壬寅 ∙ 193
중국 사신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天使韻 二首 ∙ 194
최 영상 흥원 에 대한 만사 2수 崔領相 興源 輓章 二首 ∙ 195
옥당의 학첩 시에 차운하다 次玉堂鶴帖韻 ∙ 197
장연으로 부임하는 이일휴 성경 를 전송하다 送李日休 晟慶 赴長淵 ∙ 198
승려에게 주다 贈僧 ∙ 199
바다 건너 대마도로 들어가는 송운대사 유정 를 전송하다
送松雲大師 惟政 渡海入對馬島 ∙ 200
시축의 운에 차운하여 승려 경성에게 주다 次詩軸韻贈僧敬誠 ∙ 209

기전암행록畿甸暗行錄
양근 공산리에 있는 홍 만호의 은거지를 지나며 〈기전암행록〉 계묘년
過楊根空山里洪萬戶幽居 畿甸暗行錄 癸卯 ∙ 210
가평에 있는 이일민의 초가 정자에 묵다 宿加平李逸民茅亭 ∙ 211
영평 永平 ∙ 212
길에서 사람을 만나다 途中遇人 ∙ 213
보개산의 고승 조순에게 부치다 寄寶蓋山高僧祖純 ∙ 214
길에서 남자안 이공 에게 부치다 途中寄南子安 以恭 ∙ 215
남자안을 방문하다 訪南子安 ∙ 216
남양을 지나는 도중에 南陽途中 ∙ 217
영종포 永宗浦 ∙ 218
항해 航海 ∙ 219
청계산 승려 희안이 채소를 보내주다 靑溪僧希顔惠菜 ∙ 220
마음대로 말하다 放言 ∙ 221

은대록銀臺錄
만흥 3수 〈은대록〉 갑진년 漫興 三首 銀臺錄 甲辰 ∙ 222
점심 먹은 집의 모시책에 쓰다 題晝點家毛詩冊 ∙ 224
대궐에서 숙직하며 2수 禁直 二首 ∙ 225
승정원에서 밤에 숙직하며 2수 銀臺夜直 二首 ∙ 226
병들어 읊다 2수 病吟 二首 ∙ 227
윤이술 계선 에 대한 만사 輓尹而述 繼善 ∙ 229
북경으로 가는 민 정언 덕남 을 전송하다 送閔正言 德男 赴京 ∙ 230
구 이상 사맹 에 대한 만사 輓具二相 思孟 ∙ 232
이 서장관 명준 에게 장난삼아 주다 戱贈李書狀 命俊 ∙ 234
이강중 철 영공을 곡하다 哭李剛仲 鐵 令公 ∙ 235
신 동지 중엄 에 대한 만사 輓申同知 仲淹 ∙ 237
추월정팔영 秋月亭八詠 ∙ 239
조카 혁 를 위해 기봉팔흥을 읊다 爲侄 湙 詠騏峯八興 ∙ 244
규오 유 승지 인길 의 낙화시에 차운하다
次葵塢柳承旨 寅吉 落花韻 ∙ 247
규오 영공이 나의 만흥시에 차운하고 장난삼아 효금체라 하기에 내가 다시 화답하였다
葵塢令公次余謾興韻戱曰效今體余復酬和之 ∙ 248
성회숙 호지 형을 애도하다 挽成晦叔 虎智 年兄 ∙ 249
이이립 상신 의 시에 차운하다 次李而立 尙信 韻 ∙ 250
비인으로 가는 유 선원 경종 을 전송하며 送庇仁柳善元 慶宗 ∙ 251
중국 사신의 시에 차운하여 종사관을 전송하다 次天使韻送從事官 ∙ 252
규오의 〈옛적 금강산을 유람하던 일을 회상하다〉에 차운하다
次葵塢憶金剛舊遊 ∙ 253
해주로 가는 윤 정춘 휘 을 전송하며 2수 送尹靜春 暉 海州 二首 ∙ 254
규오의 〈회포를 쓰다〉에 차운하다 次葵塢書懷韻 ∙ 256
남선초가 예전에 낭천으로 부임하며 이별시를 구하였으나 바삐 떠나느라 미처 부응하지 못하여 장난삼아 뒤늦게 읊다
南善初初赴狼川索別章行忙未及副追賦以戱 ∙ 257
휘세에게 부치다 寄輝世 ∙ 258

기성록騎省錄
성주의 휘세에게 보내다 〈기성록〉 을사년 簡星州輝世 騎省錄 乙巳 ∙ 259
두봉(斗峯)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斗峯韻 二首 ∙ 261
좌부승지의 시에 차운하다 次左令公韻 ∙ 263
용인에게 주다 2수 贈龍仁 二首 ∙ 264
해미의 임소로 가는 조카 숙 에게 주다 2수
別侄 潚 赴海美任所 二首 ∙ 266
해미의 시에 차운하다 次海美韻 ∙ 268
윤이술의 시에 차운하여 해미와 작별하다 2수
次尹而述韻別海美 二首 ∙ 269
홍덕공 경신 의 시에 차운하다 次洪德公 慶臣 韻 ∙ 271
전라도 관찰사로 부임하는 장호고 만 에게 주다 2수
贈張好古 晩 赴湖南爲方伯 二首 ∙ 272
규오의 〈대궐에서 비를 읊다〉에 차운하다 次葵塢禁中詠雨 ∙ 274
차운하여 조카 호숙 혁 에게 답하다 2수 次韻答姪浩叔 湙 二首 ∙ 275
관악산 승려의 시권에 쓰다 2수 題冠嶽僧詩卷 二首 ∙ 277
새해에 대궐에서 숙직하며 죽은 아내를 애도하는 마음을 쓰다 병오년
新年禁直悼亡書懷 丙午 ∙ 278
죽은 아내를 애도하다 悼亡 ∙ 279
남아서 임 사서와 작별하다 留別任司書 ∙ 280

서빈록西儐錄
연서역에 묵다 〈서빈록〉 병오년 宿延曙驛 西儐錄 丙午 ∙ 282
벽제역 碧蹄驛 ∙ 283
임진 臨津 ∙ 284
개성부 開城府 ∙ 285
송도에서 심 참판 우승 의 여종 연향의 시축을 보고 서경(西坰)의 시에
차운하다 松京見沈參判 友勝 婢蓮香詩軸次西坰韻 ∙ 286
평산 가는 길에 平山途中 ∙ 287
총수산 葱秀山 ∙ 288
봉산에서 읊다 鳳山口占 ∙ 289
봉산에서 옛일을 생각하다 鳳山感舊 ∙ 290
패강에서 옛 친구를 만나다 2수 浿江逢故人 二首 ∙ 291
숙녕에서 회포를 쓰다 肅寧書懷 ∙ 293
군영에서 장난삼아 읊다 柳營戱吟 ∙ 294
인호대 引灝臺 ∙ 295
향산의 상원암에 쓰다 題香山上院庵 ∙ 296
내원암에 노닐다 遊內院庵 ∙ 297
이 서장관 척 을 전송하며 送李書狀 惕 ∙ 298
원접사 서경의 시에 차운하다 次遠接使西坰韻 ∙ 299
대동강의 배에서 노래하는 기녀 향란에게 주다
大同江舟中贈歌妓香蘭 ∙ 300
봉산 동선으로 가는 도중에 읊어 참판 오만취에게 드리다
鳳山洞仙途中口占奉呈吳參判晩翠 ∙ 301

상대록霜臺錄
한양으로 가는 유선원(柳善元)을 전송하다 2수 〈상대록〉 병오년
送柳善元赴京 二首 霜臺錄 丙午 ∙ 302
천마산 승려의 시권에 차운하다 次天摩僧詩卷韻 ∙ 304

해영록海營錄
해주 신광사의 승려 지희에게 주다 〈해영록〉 병오년
贈海州神光寺僧志煕 海營錄 丙午 ∙ 305
우봉을 지나다 過牛峯 ∙ 306
구월산을 유람하며 승려의 시권에 쓰다 遊九月山題僧卷 ∙ 307
구월산을 유람하러 가는 성민 상인을 전송하다
送性敏上人遊九月山 ∙ 308
수양산성, 장 승지 운익 의 시에 차운하다
首陽山城次張承旨 雲翼 韻 ∙ 309
차운하여 정 학관에게 보이다 次韻示丁學官 ∙ 310
허공에 쓰다 書空 ∙ 311
포월정에 쓰다 題抱月亭 ∙ 312
금사사 金沙寺 ∙ 313
차운하여 아달산 승려의 시축에 주다 2수 次韻贈阿達山僧詩軸 二首 ∙ 314
취하여 광석계의 바위에 쓰다 醉題廣石溪石上 ∙ 316
구월산, 경순에게 주다 九月山贈敬淳 ∙ 317
차운하여 구월산 승려에게 주다 次韻贈九月山僧 ∙ 318
승려의 시권에 있는 시에 차운하다 3수 次僧詩卷韻 三首 ∙ 319
해영의 남산에서 유사정 동립 을 전별하며 정 학관 경란 의 시에 차운하다
海營南山餞別柳士挺 東立 次丁學官 景蘭 韻 ∙ 321
정 학관의 시에 차운하다 3수 次丁學官韻 三首 ∙ 322
정 학관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丁學官韻 二首 ∙ 323
파주에서 돌아오는 길에 연경으로 가는 천추사 이양원(李養源)을 만나다
坡州歸路遇千秋使李養源赴燕京 ∙ 324



종남록終南錄
문수사 승려 행순의 시권에 쓰다 〈종남록〉 정미년
題文殊寺僧行淳詩卷 終南錄 丁未 ∙ 325
심 상국 희수 이 내가 《대가문회》를 빌려준 일로 시를 보내 감사를 표하기에 삼가 그 시에 차운하다
沈相國 喜壽 以余假大家文會惠詩爲謝敬次其韻 ∙ 326
전 장계부원군 황 지천 정욱 에 대한 만사
前長溪府院君黃芝川 廷彧 輓章 ∙ 328
이 전랑의 회문체에 차운하다 次李銓郞回文體 ∙ 330
순화군에 대한 만사 順和君輓詞 ∙ 331
조천별곡을 평안도 관찰사 한익지 준겸 에게 드리다
朝天別曲奉呈西伯韓益之 浚謙 ∙ 333
동이에 핀 연꽃 盆荷 ∙ 334
연꽃에 비가 내리다 雨荷 ∙ 335
비가 지나가다 雨過 ∙ 336

종남산한록終南散閑錄
성칙행(成則行)의 시에 차운하다 〈종남산한록〉 무신년
次成則行韻 終南散閑錄 戊申 ∙ 337
천사행 遄死行 ∙ 338
선종 대행대왕에 대한 만사 宣宗大行大王輓詞 ∙ 339
고시 15수 古詩 十五首 ∙ 343
홍노직을 곡하다 哭洪魯直 ∙ 354
북쪽으로 가는 부체찰사 이양구 시발 를 전송하다
送副軆察使李養久 時發 赴北 ∙ 355

초재를 지내기 위해 임시로 지내는 집에서 저자의 길 가는 사람을 보고
느낌이 있어 읊다 2수 醮齋僑寓街廛閱行路人感而賦 二首 ∙ 356
청련(靑蓮)의 시체를 본떠 짓다 效靑蓮軆 ∙ 357
백발 白髮 ∙ 358


어우집 제2권
시詩
조천록朝天錄
황강 벽 위의 시에 차운하다 〈조천록〉 기유년
次黃岡壁上韻 朝天錄 己酉 ∙ 361
곽산의 무너진 벽에서 선배의 시에 차운하다 次郭山陷壁前輩韻 ∙ 362
선천에서 연숙의 시에 차운하다 宣川次淵叔韻 ∙ 363
선천에서 서경(西坰), 오봉(五峯)의 〈제방 쌓기〉 시에 차운하다
宣川次西坰五峯築堤韻 ∙ 364
의주의 민상인에게 차운하여 주다 次贈龍灣敏上人 ∙ 365
강가의 이별 2수 臨江別 二首 ∙ 366
압록강을 건너며 渡鴨綠 ∙ 367
두 번째 其二 ∙ 367
서회사 西會寺 ∙ 370
팔각루 八角樓 ∙ 371
우가장 가는 길에 입으로 읊다 牛家莊途中口占 ∙ 372
우가장 牛家莊 ∙ 373
요동 벌판에서 느낌이 있어 遼野有感 ∙ 374
길에서 떠도는 협객을 만나다 路上逢遊俠子 ∙ 376
능하소년행 陵河少年行 ∙ 377
방언탄 方言歎 ∙ 379
조장관 가는 길에 曹莊關途中 ∙ 382
산해관 6수 山海關 六首 ∙ 383
만류장에 쓰다 題萬柳莊 ∙ 387
무제 3수 無題 三首 ∙ 389
병주소년행 幷州少年行 ∙ 390
관왕묘 關王廟 ∙ 392
시장 巿 ∙ 393
버들 柳 ∙ 394
독락사에 시주한 시 6수 獨樂寺施詩 六首 ∙ 395
참으로 괴로워 良苦 ∙ 399
어양 漁陽 ∙ 400
삼하 가는 길에 三河途中 ∙ 401
주인의 벽에 쓰다 題主人壁上 ∙ 403
통주강에서 천추사와 함께 배를 띄우다 3수
通州江與千秋使同泛 三首 ∙ 404
천추사에게 바치다 呈千秋使 ∙ 406
동악묘 東嶽廟 ∙ 407
중추의 달 2수 中秋月 二首 ∙ 411
융단 狨氊 ∙ 412
양각등 羊角燈 ∙ 413
유리잔 玻瓈杯 ∙ 414
북풍 北風 ∙ 415
구르는 쑥대 轉蓬 ∙ 416
유주와 병주 幽幷 ∙ 417
말 위에서 馬上 ∙ 418

남귀록南歸錄
고흥으로 돌아갔다가 은혜를 입고 제수되어 우선 대방(帶方)으로 향하며 감회가 있어 짓다 〈남귀록〉 신해년
大歸高興承恩拜姑向帶方感懷作 南歸錄 辛亥 ∙ 419
명함지 끝에 적어 월사 헌하에게 남기다 題名銜紙端留月沙軒下 ∙ 420
남쪽으로 돌아가려다 칙행(則行)의 집에서 연릉 이오봉을 만나 차운하
다 2수 將南歸遇延陵李五峯于則行家次韻 二首 ∙ 421
남쪽으로 돌아가며 느낌이 있어 南歸感興 ∙ 422
동산의 서재에 쓰다 題東山書齋 ∙ 423
한음의 시에 차운하여 승려 계정의 시권에 쓰다
次漢陰韻題僧戒靜詩卷 ∙ 424

두류록頭流錄
재간당의 시에 차운하다 〈두류록〉 신해년 次在澗堂韻 頭流錄 辛亥 ∙ 425
세 번째로 앞의 운을 뒤집어쓰다 三疊體倒前韻 ∙ 426
수용암 水舂巖 ∙ 427
수레에서 내려 개울가에서 쉬다 下車憩溪上 ∙ 428
백장사에 들어가다 入百丈寺 ∙ 429
황계 가는 길 黃溪途中 ∙ 430
흑담 2수 黑潭 二首 ∙ 431
내원 內院 ∙ 432
정룡암에 묵다 宿頂龍菴 ∙ 433
대암에서 읊다 臺巖口占 ∙ 434
와곡 臥谷 ∙ 435
영원암으로 향하다 向靈源庵 ∙ 436
영원사에 투숙하다 2수 投靈源寺 二首 ∙ 437
원정동 圓正洞 ∙ 438
두류암 頭流菴 ∙ 439
밤에 읊다 夜吟 ∙ 440
천왕봉으로 향하다 向天王峯 ∙ 441
소년대에 오르다 登少年臺 ∙ 442
절구 絶句 ∙ 443
천왕봉에 오르다 登天王峯 ∙ 444
향적암 香積菴 ∙ 445
의신암 義神菴 ∙ 446
홍류동에서 성상인의 시에 차운하다 紅流洞次性上人韻 ∙ 447
화개동 花開洞 ∙ 448
쌍계사 雙溪寺 ∙ 449
청학동 靑鶴洞 ∙ 450
동구를 나서다 出洞 ∙ 451
감회 感懷 ∙ 452
산목행 山木行 ∙ 453

영주록瀛州錄
두원을 지나며 〈영주록〉 임자년 過斗原 瀛州錄 壬子 ∙ 457
여관진의 고기 女觀津魚 ∙ 458
성학안(成學顔)의 시에 차운하다 次成學顔韻 ∙ 459
지리산인 보운에게 주다 贈智異山人寶雲 ∙ 460
길에서 途中 ∙ 461
좌참찬 송홍원(宋渾元) 집의 분매에 붉고 흰 꽃이 한 가지에 이어졌다. 삼가 여러분의 시에 차운하다
宋三宰渾元家盆梅紅白連枝敬次諸賢韻 ∙ 462

천관록天官錄
장악원 첨정 자리를 구하는 황숙정(黃叔正)에게 답하다 〈천관록〉 을묘년
答黃叔正求掌樂僉正 天官錄 乙卯 ∙ 463
양주 군수 자리를 구하는 유정유(柳正由)에게 화답하다
酬柳正由求楊州韻 ∙ 464
김 안악 계종 에 대한 만사 挽金安嶽 繼宗 ∙ 465
이 부장의 여식에 대한 만사 李部將女息輓詞 ∙ 466

경조록京兆錄
한성부의 관아에 앉아 〈경조록〉 정사년 漢城府坐衙 京兆錄 丁巳 ∙ 467
정 고주 운희 에게 주다 贈丁孤舟 運煕 ∙ 468
남산에서 은개의 가사를 듣고 추국청으로 가다
南麓聽銀介歌辭仍赴推鞫廳 ∙ 469
새봄에 느낌이 있어 新春有感 ∙ 470

서호록西湖錄
농담 〈서호록〉 무오년 弄談 西湖錄 戊午 ∙ 471
문장 文章 ∙ 472
동명의 〈추사〉 시에 차운하다 次東溟秋思韻 ∙ 474
호숫가 4수 湖上 四首 ∙ 475
〈고시십구수〉를 의작하다 擬古詩十九首體 ∙ 478
〈가고 또 가니〉를 의작하다 擬行行重行行 ∙ 478
〈푸르른 강가의 풀〉을 의작하다 擬靑靑河畔草 ∙ 479
〈푸르른 언덕 위의 잣나무〉를 의작하다 擬靑靑陵上柏 ∙ 479
〈오늘의 좋은 연회〉를 의작하다 擬今日良宴會 ∙ 480
〈서북에 높은 누각 있네〉를 의작하다 擬西北有高樓 ∙ 481
〈강을 건너며 연꽃을 따다〉를 의작하다 擬涉江采芙蓉 ∙ 482
〈밝은 달이 밤에 빛나네〉를 의작하다 擬明月皎夜光 ∙ 483
〈하늘거리는 외로이 자란 대나무〉를 의작하다 擬冉冉孤生竹 ∙ 483
〈뜰에 기이한 나무 있어〉를 의작하다 擬庭中有奇樹 ∙ 484
〈아득히 먼 견우성〉을 의작하다 擬迢迢牽牛星 ∙ 484
〈수레 돌려 멀리 떠나네〉를 의작하다 擬回車駕言邁 ∙ 485
〈동쪽 성은 높고도 길구나〉를 의작하다 擬東城高且長 ∙ 486
〈수레를 몰아 동문을 오르다〉를 의작하다 擬驅車上東門 ∙ 487
〈떠난 이는 날로 멀어지네〉를 의작하다 擬去者日以疏 ∙ 488
〈인생은 백년도 채우지 못하네〉를 의작하다 擬生年不滿百 ∙ 488
〈싸늘히 한 해가 저무네〉를 의작하다 擬凛凛歲云暮 ∙ 489
〈초겨울에 한기가 이르네〉를 의작하다 擬孟冬寒氣至 ∙ 490
〈손님이 먼 곳에서 오다〉를 의작하다 擬客從遠方來 ∙ 491
〈밝은 달은 어찌 그리 환한가〉를 의작하다 擬明月何皎皎 ∙ 491
이백의 〈고시오십구수〉를 의작하다 擬李白古詩五十九首 ∙ 493
두 번째 其二 ∙ 495
세 번째 其三 ∙ 496
네 번째 其四 ∙ 497
다섯 번째 其五 ∙ 498
여섯 번째 其六 ∙ 499
일곱 번째 其七 ∙ 500
여덟 번째 其八 ∙ 501
아홉 번째 其九 ∙ 502
열 번째 其十 ∙ 502
열한 번째 其十一 ∙ 503
열두 번째 其十二 ∙ 504
열세 번째 其十三 ∙ 505
열네 번째 其十四 ∙ 506
열다섯 번째 其十五 ∙ 507
열여섯 번째 其十六 ∙ 508
열일곱 번째 其十七 ∙ 508
열여덟 번째 其十八 ∙ 509
열아홉 번째 其十九 ∙ 511
스무 번째 其二十 ∙ 512
스물한 번째 其二十一 ∙ 514
스물두 번째 其二十二 ∙ 514
스물세 번째 其二十三 ∙ 515
스물네 번째 其二十四 ∙ 515
스물다섯 번째 其二十五 ∙ 516
스물여섯 번째 其二十六 ∙ 517
스물일곱 번째 其二十七 ∙ 518
스물여덟 번째 其二十八 ∙ 519
스물아홉 번째 其二十九 ∙ 519
서른 번째 其三十 ∙ 520
서른한 번째 其三十一 ∙ 521
서른두 번째 其三十二 ∙ 522
서른세 번째 其三十三 ∙ 522
서른네 번째 其三十四 ∙ 523
서른다섯 번째 其三十五 ∙ 525
서른여섯 번째 其三十六 ∙ 526
서른일곱 번째 其三十七 ∙ 527
서른여덟 번째 其三十八 ∙ 528
서른아홉 번째 其三十九 ∙ 528
마흔 번째 其四十 ∙ 529
마흔한 번째 其四十一 ∙ 529
마흔두 번째 其四十二 ∙ 530
마흔세 번째 其四十三 ∙ 531
마흔네 번째 其四十四 ∙ 532
마흔다섯 번째 其四十五 ∙ 532
마흔여섯 번째 其四十六 ∙ 532
마흔일곱 번째 其四十七 ∙ 533
마흔여덟 번째 其四十八 ∙ 534
마흔아홉 번째 其四十九 ∙ 534
쉰 번째 其五十 ∙ 535
쉰한 번째 其五十一 ∙ 535
쉰두 번째 其五十二 ∙ 536
쉰세 번째 其五十三 ∙ 537
쉰네 번째 其五十四 ∙ 538
쉰다섯 번째 其五十五 ∙ 538
쉰여섯 번째 其五十六 ∙ 539
쉰일곱 번째 其五十七 ∙ 540
쉰여덟 번째 其五十八 ∙ 540
쉰아홉 번째 其五十九 ∙ 541

습유록拾遺錄
빗을 읊다 〈습유록〉 詠梳 拾遺錄 ∙ 543
책을 읽다가 책벌레가 낭자한 모습을 보다 閱書帙見蠧魚狼藉 ∙ 544
풍산역에 쓰다 題豐山驛 ∙ 545
공북당 시에 차운하다 次拱北堂韻 ∙ 546
차운하여 성은의 시권에 쓰다 次韻題性誾詩卷 ∙ 547
밀창부원군(密昌府院君)이 관아에 돌아와 보내준 시에 사례하여 그 운을
쓰다 謝密昌還衙惠詩用其韻 ∙ 548
허 판서 성 의 십초정 시에 차운하다 次許判書 筬 十貂亭韻 ∙ 549

송천록松泉錄
송천정사 〈송천록〉 기미년 松泉精舍 松泉錄 己未 ∙ 550
묘봉삼폭 2수 妙峯三瀑 二首 ∙ 551
정사에서 밤에 읊다 精舍夜吟 ∙ 553
송천십절 松泉十絶 ∙ 554
발택유 4수 拔宅遊 四首 ∙ 557
연산군의 옛 궁터 바위 위에 쓰다 題燕山舊宮墟石上 ∙ 559
시를 지어 가마를 멘 승려에게 사례하다 詩謝藍輿僧 ∙ 560
송천의 재실에서 객승 인영의 시권에 쓰다. 오봉의 시에 차운하다
題松泉齋宮客僧印永詩卷次五峯韻 ∙ 561
산장 山莊 ∙ 562
금강산 승려 언기의 시권에 쓰다 題金剛山僧彦機詩卷 ∙ 563
지리산 승려의 시축에 쓰다 題智異山僧詩軸 ∙ 564
성민에게 주다 贈性敏 ∙ 565
지리산인 보운에게 주다 題智異山人寶雲 ∙ 566
동쪽 개울에서 쓰다 東澗中題 ∙ 567
완사계 가에서 쌍폭포를 유람하다 浣紗溪上遊雙瀑 ∙ 568
한식에 성묘한 뒤 친족들과 송천정사에 들어가다
寒食掃墓後與親族入松泉精舍 ∙ 569
남쪽으로 두류산을 유람하러 가는 함경도 승려 성천에게 주다
贈北道僧性天南遊頭流山 ∙ 570
사하리 완사계를 유람하다 遊沙河里浣紗溪 ∙ 571
회포를 풀다 遣懷 ∙ 572
풍계를 지나다 過楓溪 ∙ 573
고양의 길에서 어릴 적 벗 이 귀 옥여를 만나다
高陽途中遇幼時友李 貴 玉汝 ∙ 574

금강록金剛錄
소양정에서 작별하고 풍악으로 들어가다 〈금강록〉 임술년
昭陽亭留別入楓嶽 金剛錄 壬戌 ∙ 575
청평사에서 연숙 조카 숙 과 작별하고 금강산으로 들어가다 2수
淸平寺留別淵叔 侄潚 入金剛山 二首 ∙ 576
청평사에서 쌍간 조카 활 의 시에 차운하다 3수
淸平寺次雙磵 侄活 韻 三首 ∙ 578
학곡의 시에 차운하다 次鶴谷韻 ∙ 580
수종사 승려에게 주다. 한음의 시에 차운하다 贈水鍾寺僧次漢陰韻 ∙ 581
관동의 가을 생각 東關秋思 ∙ 582
신묵의 시축에 차운하여 쓰다 題信默軸次韻 ∙ 583
혜인 선사는 예전에 송천에 놀러온 적이 있어 구면인데, 지금 금강산에서 만났기에 이 시를 써서 주다 2수
慧仁師昔遊松泉有舊今遇諸金剛書此以贈 二首 ∙ 584
운을 바꾸다 改韻 ∙ 585
앞의 운을 쓰다 前韻 ∙ 586
회포를 읊어 《어우야담》에 쓰다 詠懷題於于野譚 ∙ 587
별지 석 장을 혜인 선사에게 주다 別紙三張贈慧仁師 ∙ 588
흥취를 풀다 遣興 ∙ 589
병든 뒤 승려에게 주다 2수 病後贈僧 二首 ∙ 591
보개산 사찰의 벽에 쓰다 계해년 題寶蓋山寺璧 癸亥 ∙ 592

저자소개

유몽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조 중기의 문장가. 자는 응문應文이고 호는 어우於于, 간암艮庵, 묵호자默好子이다. 1589년(선조 22)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간.이조참판 등을 지냈다. 인조반정 때 역적으로 몰려 아들 '약' 과 함께 처형당했다가 1794년(정조 18년) 신원되었다. 시호는 의정義貞. 그의 문장은 제재와 구상이 독창적이고, 의경이 참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집으로 <어우집>이 있으며, 야담집 <어우야담>은 수필문학의 백미로 손꼽힌다.
펼치기
장유승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일일공부》,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 《조선잡사》(공저), 《하루한시》(공저), 《동아시아의 문헌교류》(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서경시화 : 평양의 시와 인물들》, 《동국세시기》, 《한국산문선》(공역) 등이 있다.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으로 한국출판문화상 편집상, 《동아시아의 문헌교류》로 한국출판학술상 우수상을 받았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