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87809210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8-04-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사람중심 경영이 기업을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이끈다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이사 회장)
서문: 왜 지금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인가
제1장 성장 한계에 맞닥트린 한국경제
1. 한국경제와 기업가정신
2. 3만 달러 덫에 걸린 한국경제
타성에 젖은 한국경제 / 성장 한계의 문턱, 어떻게 넘을 것인가
3. 혁신 없는 투자
투자만 있고 혁신은 없다 / 혁신 생태계도 혁신 인프라도 없다
4. 사람이 빠진 국가경쟁력
사람가동율이 낮은 나라 / 사업중심 혁신모델의 한계
제2장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 기업가정신
1. 기업가정신의 이해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 기업가정신의 핵심요소
2. 왜 기업가정신인가?
변화하는 세상, 새로운 기회 / 기업 경쟁력의 원천
3. 한국의 기업가정신
기업가정신 활성화 요인 / 쇠퇴하는 기업가정신 / 높은 생계형 창업, 낮은 혁신 활동
4. 기업가정신과 일자리 창출
일거리와 일자리 / 기업가정신과 일자리 창출
제3장 왜 지금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에 주목하는가
1.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왜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인가 /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이란 /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의 특징 /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의 이론적 틀
2.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모형
국가 수준의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모형 / 기업 수준의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모형
3.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의 세계적 경향
사람중심 기업가정신과 UN 중소기업의 날 / 양질의 일자리 창출 /
‘사람을 중시하는 경영학회’ 모델
4.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지수 개발
5.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국제비교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지수 조사 결과 /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지수에 따른 국가 분류
제4장 사람중심 기업가정신과 사람중심 기업
1. 사람중심 기업가정신과 사람중심 기업
스타트업은 기업가가, 스케일업은 직원이 / 사람중심 기업과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
사람중심 기업이 정말 뛰어난 성과를 보일까?
2. 사람중심 기업, 사람자본, 그리고 경제 성장
선진국일수록 사람자본에 대한 관심이 높다 / 경제 성장의 엔진은 힘(HIM)이다 /
생계형 창업에 치우친 한국 / 임금과 복지 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의 성장도 높다
3.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이 기업생태계와 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은 경제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까? / 균형 잡힌 기업가정신
제5장 신중간소득함정 국가의 특성과 한국의 과제
1. 경제 성장 지체와 신중간소득함정
신중간소득함정의 발견 / 신중간소득함정에 빠지는 이유 /
현재의 저주에서 벗어나는 방법 / 신중간소득함정의 숨은 뜻
2. 신중간소득함정 국가의 특성
신중간소득함정 국가의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지수 / 신중간소득함정 국가의 특성
3. 글로벌 사례 조사(PIGS 국가 중심으로)
신중간소득함정 국가의 기업 생태계 / 신중간소득함정 국가별 기업생태계 /
기업가정신의 눈으로 바라본 신중간소득함정 국가
제6장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실천방안
1. 한국경제의 신중간소득함정 극복 방안
사람에 투자하라 /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으로 진화하라 / 사람과 사업의 균형을 취하라
2. 한국경제의 혁신성장 과제
사람을 바탕으로 한 성장 / 전통 산업에서 창조적 산업으로의 변화
3. 4차 산업혁명과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화 / 디지털 전환이 가져온 기업 생태계 변화 /
4차 산업혁명의 중심은 사람이다
4.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행동방안
업무 성과를 올리기 위한 공식 / 위임하고, 공감하고, 개발하라
제7장 사람중심 기업가정신이 이끌어 갈 혁신 성장
1. 사명, 사업, 사람의 세 바퀴로 발전하는 미래 기업
사명, 사업, 사람 / 사람중심 경제의 선순환
2. 미래 50년의 새로운 경제모델
2가지 핵심자원의 활용 / 사람중심 기업가형 경제로 도약하자
3. 사람중심 기업가정신과 기업전략
기업전략상 시사점 /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적용을 위한 지침
4. 기업 수준에서의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강화 방안
어떻게 10E를 강화할 것인가
5. 사람중심 기업가정신 촉진을 위한 정부 정책
정부 정책에 주는 시사점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금까지 한국경제는 위기 때마다 기업가정신으로 돌파구를 찾아 위기를 극복해 왔다. 문제는 위기 상황에서도 우리 기업들이 여전히 과거의 성공 방식, 과거의 기업가정신에 안주하고 있다는 것이다. 과거 한국경제를 이끌었던 제1세대, 제2세대의 기업가정신이 아니라 새로운 기업가정신 모델을 찾아야 한다. 게다가 제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무한경쟁의 경제 환경은 우리 기업들에게 창의성과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새로운 기업가정신이 절실한 이유다.
-제1장 성장 한계에 맞닥트린 한국경제
우리나라는 연구개발비를 많이 투자함에도 시장성과가 나타나지 않는 R&D(연구개발) 패러독스에 빠져 있다. R&D 패러독스를 극복하려면 창조성과 실행력이 필요한데, 한국기업은 둘 다 부족하다. 그러므로 혁신의 원천을 돈(투자)에서 사람으로 바꾸어야 한다. 혁신의 원천은 구성원의 창의성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아직 우리나라 기업은 사람 경쟁력보다는 장비 경쟁력에 의존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다수 기업이 직원을 비용요소로 취급한다. 그래서 위기가 닥치면 구조조정을 먼저 생각한다. 이런 분위기에서는 직원이 주인의식을 갖기 어렵다.
-제1장 성장 한계에 맞닥트린 한국경제
기업이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혁신과 기업가정신이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혁신과 기업가정신은 경쟁의 도구이자 성장의 열쇠이다.
여기서 말하는 혁신은 말로만 하는 혁신이 아니라 파괴적이고 급진적인 혁신을 말한다. 기업가정신 역시 기존 사업을 잘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서 파는 것을 말한다.
-제2장 경제 성장의 핵심-기업가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