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8786146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1-02-10
책 소개
목차
제1장 대한민국 국방시대 개막
1. 대한민국 국방의 문을 열다
2. 대한민국 첫 국방 기조, 연합국방(聯合國防)
3. 국방체제의 정비
4. 육·해·공군 3군 체제 확립
5. 대한민국 국군의 ‘자랑스런 군번’
6. 대한민국 국군과 무공훈장제도
7.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주한미군 철수
8. 강력한 반공 군대로 출범하다
9. ‘남침의 청신호’, 애치슨의 미 극동방위선
제2장 6·25전쟁과 한미연합군의 역할
1. 북한의 29일 승리계획 vs 한미 연합국방
2. 6·25전쟁 시 육·해·공군 및 해병대의 활약
3. 맥아더의 인천상륙작전과 대한민국의 ‘숨은 영웅들’
4. 대한민국 여군 출범과 변천
5. 대한민국 부사관들의 역할과 활동
6. 6·25전쟁 시 노무부대의 역할과 활동
7. 대한민국 태극무공훈장과 6·25전쟁 영웅들
제3장 국방 주요기관의 창설과 변천
1. 대한민국 국방부의 변천과 역할
2.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JCS) 창설과 변천
3. 대한민국 육군본부 창설과 변천
4. 대한민국 해군본부 창설과 변천
5. 대한민국 공군본부 창설과 변천
6.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 창설과 변천
7.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육군1·3군사령부와 지상작전사령부 출범
8. 대한민국 최고의 군사사 연구기관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제4장 대한민국 육해공군 및 해병대 장교 양성 기관
1. 대한민국 호국간성의 요람 ‘육군사관학교’와 졸업생들
2. 대한민국 정예간부의 요람 ‘육군3사관학교’와 졸업생들
3.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와 졸업생들
4.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와 졸업생들
5. 국군간호사관학교와 졸업생들
6. 대한민국 학생군사교육단과 ‘ROTC’ 장교들
제5장 한미상호방위조약과 한미동맹의 뿌리
1. 이승만 대통령과 한미상호방위조약
2. 대한민국 국군과 전시작전권
3. 국군과 함께 한 유엔군사령부UNC) 70년의 역사
4. 대한민국 국군 속의 미군, ‘주한미군사고문단(KMAG)’
5. 미군 속의 대한민국 국군 ‘카투사(KATUSA)’
6. 대한민국 국군의 안보동반자, 한미연합군사령부
7. 대한민국의 또 다른 군대, 주한미군
8. 한미동맹 최고의 가치 ‘백선엽 한미동맹상’
제6장 자주국방과 예비전력 확보
1. 국군의 방어계획과 주한미군 작전계획
2. 자주국방의 산실 국방과학연구소(ADD)
3. 자주국방의 서곡(序曲) ‘태극72계획과 무궁화회의’
4. 국군 전력증강사업인 ‘율곡(栗谷) 계획’의 설계자들
5. 대한민국 제2의 국군, 향토예비군
제7장 정전체제 하 국군과 전쟁 영웅 그리고 휴전선
1. 정전협정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대한민국 국군
2. 국군의 날을 맞아 그날의 의미를 되새기며
3. 국군 원로모임인 창군동우회의 모체, ‘군사영어학교’
4. 대한민국 국군과 국민의 안보전당, 전쟁기념관
5. 국립현충원의 호국영령과 순국선열 그리고 현충일
6. 베트남전과 태극무공훈장 영웅들
7. 대한민국 ‘국군의 경계 1번지’ 휴전선의 변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