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성경/찬송가 > 찬송가
· ISBN : 9791187942306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8-11-22
책 소개
목차
머리글 9
들어가며 13
1부 성경과 교회사에서의 찬송
1장 성경에 나타난 찬송
1. 인생의 목적으로서의 찬송 23
2. 구약에 나타난 찬송 25
3. 신약에 나타난 찬송 42
4. 성경으로 돌아가야 56
2장 교회사에 나타난 찬송
1. 찬송과 교회사 61
2. 찬송의 역사가 인도하는 찬송의 회복 102
2부 찬송 해설
<고대의 찬송>
성부 성자와 성령 109
참 목자 우리 주 116
찬란한 주의 영광은 121
<중세의 찬송>
하나님 아버지 어둔 밤이 지나 131
즐겁도다 이 날 140
왕 되신 우리 주께 148
내 맘의 주여 소망 되소서 158
예루살렘 금성아 165
오 거룩하신 주님 174
<종교개혁시대의 찬송>
내 주는 강한 성이요 185
날 구속하신 196
다 나와 찬송 부르세 203
만복의 근원 하나님 213
다 함께 주를 경배하세 220
<근대 이후의 찬송>
저 높고 푸른 하늘과 227
기쁘다 구주 오셨네 237
만 입이 내게 있으면 248
피난처 있으니 259
시온성과 같은 교회 268
그 누가 나의 괴롬 알며 278
나 같은 죄인 살리신 289
마귀들과 싸울지라 299
주의 음성을 내가 들으니 310
<예식 찬송>
정한 물로 우리 죄를 323
오 나의 주님 친히 뵈오니 332
나 가진 모든 것 342
우리 다시 만날 때까지 349
저자소개
책속에서
“하나님께서는 어떤 찬송을 좋아하실까?” 이 질문이 찬송에 관한 질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교회는 이 질문을 진지하게 하지 않는다. 어떤 딸이 어머니의 생일에 어머니께서 생선을 좋아하신다고 해서 고등어를 준비했는데, 어머니께서는 다른 생선은 다 좋아 하시지만 고등어는 진저리를 내신다고 하면 어떻게 되겠는가? 아무리 딸이 정성스럽게 생일상을 준비했다 하더라도 그것은 어머니를 기쁘게 하지 못할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께 드리는 찬송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노래가 힘을 발휘한다. 노래는 산문과 달리 짧고 함축적이다. 모세는 출애굽기 14장까지 홍해 이야기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그리고 노래로 그 사건을 마무리한다. 출애굽기에서 가장 처음 등장하는 이러한 양식은 하나의 문학 장르로서, 이로써 출애굽기가 단순한 역사책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만약 출애굽기가 역사적 사실만 나열하는 책이었다면 모세의 긴 시를 그대로 싣지는 않았을 것이다. 똑같은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노래는 산문에 비해 부르는 사람으로 하여금 쉽게 암기하게 하는 힘이 있다. 이스라엘은 출애굽 사건을 노래로 부르면서 하나님의 구원역사를 대대로 자녀들에게 전달하였을 것이다.
동일한 찬송이라 하더라도 누가 부르는가에 따라서 내용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환란과 핍박 중에도>라는 찬송을 한번 살펴보자.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노래를 지은 사람이 신앙 때문에 불신자들에게 핍박을 받았다고 추측할 것이다. 하지만 이 노래를 지은 사람은 가톨릭 신부인 프레데릭 페이버Frederick William Faber, 1824~1863년로서 영국 종교개혁 당시에 가톨릭 순교자를 추모하기 위해서 이 찬송을 지었다. 이와 같은 역사적 사실을 안다면, <환란과 핍박 중에도>라는 노래를 개신교인들이 아무런 부담 없이 부를 수는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