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87942832
· 쪽수 : 170쪽
· 출판일 : 2023-06-14
책 소개
목차
약어 7
추천의 글 7
머리글 11
제1부: 서론
(1) 골로새 교회 15
(2) 거짓 가르침(“골로새 이단”이라고 불리기도 했던) 17
(3) 골로새서 원저자 문제 20
(4) 골로새서의 집필 장소 및 시기 27
(5) 바울의 가장 독특한 주제: 우주적 그리스도의 우월하심 30
제2부: 본문 및 주석
1. 서문(1:1-14) 35
(1) 소개와 인사(1:1-2) 35
(2) 바울이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이유들(1:3-8) 40
(3) 그리스도를 통한 중보: 그는 우리를 어둠에서 구하신다(1:9-14). 46
2. 교리: 보편적 주되심과 그리스도의 전적 충분하심(1:15-2:23) 51
(1) 예수 그리스도의 우월하심과 충분하심(1:15-23) 51
(2) 하나님이 행하시는 화해의 일에서 우리의 몫: 바울의 사역(1:24-2:5) 72
1) 바울의 이방인 사역(1:24-25) 73
2) 바울의 메시지(1:26-29) 78
3) 골로새에 있는 교회를 향한 바울의 요청(2:1-5) 81
(3) 대적자들과의 대립: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힘(2:6-15) 85
(4) 유대인의 율법으로부터 너희의 자유, 곧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지키라(2:16-23) 98
1) 음식, 절기와 관련한 자유(2:16-17) 98
2) 금욕, 천사숭배와 관련한 자유(2:18-19) 100
3) 자유는 그리스도와 함께 죽음을 의미한다(2:20-23) 103
3. 실천: 일상생활에서 실천해야 하는 그리스도의 규율(3:1-4:6) 107
(1) 새로운 부활의 삶: 옛 행실을 버림(3:1-11) 107
1) 여러분은 그리스도와 함께 살려 주심을 받았습니다(3:1-4) 108
2) 옛 행위를 버리라(3:5-11) 114
(2) 그리스도인의 구별되는 특징(3:12-17) 124
(3) 기독교의 영향 안에 있는 가정의 삶(3:18-4:1) 129
(4) 마지막 권면들: 기도, 선교, 그리고 외부인들과의 접촉(4:2-6) 140
4. 신상 기록: 바울의 서신을 전달하는 이들과 동료들, 그리고 끝인사(4:7-18) 147
참고 문헌 157
색인: 인명/주제/성경 및 기타 문헌 163
책속에서
자기가 직접 세우지 않은 교회에 편지를 써 보내야 했을 만큼 바울이 염려했던 것은 무엇일까? 아더 새뮤얼 피크(A. S. Peake)는 이렇게 말한다. “최근에 그들[골로새 성도들]은 어떤 거짓 가르침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 성도들이 아직까지는 가르침을 받은 교리에 충성하고 있었지만(1:4; 2:5), 바울이 이 편지를 꼭 써야 할 만큼 사태가 심각해지고 있었다.”
이러한 철학 및 그것이 요구하는 실천(praxis)과 대비하여, 바울은 우리의 완전한 구원을 위한 예수 그리스도의 전적 충분하심을 강조한다. 그리스도가 골로새 성도들에게 필요한 전부이다. 거짓 가르침이 사상 체계의 수준에까지 도달했다고 가정할 필요는 없다. 아마도 이 거짓 가르침은 원시 영지주의(proto-Gnosticism)와 어쩌면 신비 종교들에서 여러 요소를 가져와 뒤섞어 놓은 수준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의 우월하심과 전적으로 충분하심에 환호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통치권과 권위를 주장하는 그 어떤 경쟁자보다도, 그것이 천사든 신화적 세력이든 로마 제국의 권위이든, 앞서 계시고 위에 계신다. 그리스도는 또한 구원하시기에 전적으로 충분하시다. 이는 골로새 교회 안에서 주장되고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반대자들의 사상 체계와 대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