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육은 어떻게 사회를 지배하는가

교육은 어떻게 사회를 지배하는가

(교육중심사회의 탄생과 미래)

데이비드 베이커 (지은이), 장덕호, 최승복, 변수용, 전하람, 김혜림 (옮긴이)
박영스토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200원
19,800원 >
20,000원 -0% 0원
0원
2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육은 어떻게 사회를 지배하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육은 어떻게 사회를 지배하는가 (교육중심사회의 탄생과 미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8040339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18-08-10

책 소개

저자는 교육혁명이 이루어져 왔고, 지금도 전개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앞으로 교육혁명으로 인해 다가올 사회적 격변을 신제도주의적 관점, 역사사회학적 관점, 그리고 실증주의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목차

PART 1 교육중심사회의 탄생과 그 양상
CHAPTER 1 교육형명에서 교육중심사회로
CHAPTER 2 교육 문화의 형성 - 학문적 지능, 사회적 지위, 그리고 인권
CHAPTER 3 서구 대학의 놀라운 지속성
CHAPTER 4 대중 교육과 슈퍼 연구중심대학
CHAPTER 5 현실의 구성 - 아이스크림, 여성학, 그리고 MBA

PART 2 교육혁명의 사회적 결과
CHAPTER 6 교육에 의한 직업의 변화
CHAPTER 7 교육중심사회에서 졸업장 주기
CHAPTER 8 지식과 진리 주장의 변화
CHAPTER 9 자아의 실패, 회복, 그리고 형성
CHAPTER 10 교육받은 정체(Polity) - 보편적 해결책과 정치적 역설
CHAPTER 11 교육받은 신도들 - 교육과 종교에 관한 패러독스

저자소개

데이비드 베이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교육정책학과 교수이다. 미시건주 앨비온 대학에서 심리학(학사)을, 보스톤 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연구(석사)를, 존스홉킨스 대학에서 사회학(박사)을 공부했다. 1980년대 초반 베를린 막스-플랑크연구소(Max-Planck Institute for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연구원과 1984년부터 1997년까지 워싱턴 D.C. 소재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조교수, 부교수를 거쳐, 1997년부터 펜스테이트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동료인 LeTendre 교수와 함께 쓴 “National Differences, Global Similarities: World Culture and the Future of Schooling”(2005)(국내에 “세계문화와 학교교육의 미래”로 번역됨)가 있고, 논문으로는 “Minds, Politics, and Gods in the Schooled Society: Consequences of the Education Revolution”(2014), 부인이자 동료인 Mimi Schaub 교수와 함께 쓴 “Conservative ideologies and the world educational culture”(2013) 등 현재까지 약 150여 편의 저술들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장덕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육부 공무원, 대통령실 행정관을 거쳐 대학에서 교육행정과 교육정책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교육복지론>(공저)이 있고, 논문으로 “대학입학사정관제 제도화 과정 분석 연구: 신제도주의 동형화 이론의 적용”(2009), “Framing “world class” differently: international and Korean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world class university project”(2011) 등이 있다. 주로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을 기반으로 한 교육조직 연구 및 교육정책 분석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최승복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교육부 공무원으로 28년째 재직하고 있다. 자신이 받았던 중고등학교 교육과 대학교육이 뭔가 잘못되었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면서부터 교육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첫 직장을 그만두고 교육행정 분야에서 새로운 진로를 찾았다. 교육부 사무관을 시작으로 교육부, 국립대학교, 서울시교육청 등에서 일해왔다. 두 딸을 키우면서 완전히 새로운 사고방식과 태도를 지닌 세대를 만나 고군분투했다. 그 과정에서 아이들을 바꾸는 것보다 부모가 바뀌는 게 더 쉽고 낫다는 점을 깨달았다. 또한, 변화하는 시대와 달라진 한국사회, 그리고 아이들에 맞게 학교와 교육이 바뀌어야 한다는 점을 깊이 인식했다. 아이들을 여러 도시의 다양한 학교 - 공립학교, 사립학교, 대안학교, 미국학교 등 - 에 보내면서 대한민국의 학교와 교육제도를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경험과 통찰을 얻었다. 학생들이 즐거운 학교, 부모 마음이 평안한 교육 만들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저서로는 진로교육의 중요성과 시대적 필요성을 역설한 《교육을 교육답게 우리교육 다시 세우기》, 완전히 달라진 후기산업사회의 지식정보환경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교운영 체제의 혁신을 주장한 《포노사피엔스 학교의 탄생》이 있다.
펼치기
변수용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교육정책학과 교수이다. 미네소타 주립대학교에서 비교국제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교육 결과: 한국에서 교육불평등은 심화되었는가?』(공저)와 『교육 프리미엄: 한국에서 대학교육의 노동시장 가치는 하락했는가?』(공저)를 출간했으며,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Comparative Education Review, Sociology of Education 등의 학술지에 학술논문을 게재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교육사회학, 교육 정책 효과 분석, 비교국제교육이다.
펼치기
전하람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사회통합교육연구소 연구교수로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에서 교육정책 및 비교국제교육을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학부와 대학원에서 교육사회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대표 논문으로는 “Non-linear education gradient across the nutrition transition: Mothers’ overweight and the population education transition”(2015),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직업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2016), “The population education transition curve: Education gradients across population exposure to new health risks”(2017)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혜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에서 교육이론 및 정책을 공부 중으로, 그 전에는 대한민국 교육부와 유네스코 아태본부에서 근무하였다. 교육정책 입안 과정과 정책 효과 연구에 주로 관심이 있으며, “The Growth of Higher Education and Science Production in South Korea since 1945”, “Reformer’s Dream or Nightmare- Cultural Contradiction and Symbiosis in the Schooled Society” 등의 집필에 참여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