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비스-러닝의 본질

서비스-러닝의 본질

(질문, 답, 그리고 깨달음)

Barbara Jacoby (지은이), 이현우, 장덕호, 김효선, 이원석, 이정민, 장석진 (옮긴이)
박영스토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540원
17,460원 >
18,000원 -0% 0원
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서비스-러닝의 본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비스-러닝의 본질 (질문, 답, 그리고 깨달음)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공학/수업설계
· ISBN : 9791188040445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8-02-28

책 소개

서비스-러닝에 대해 가장 자주 제기되는 도전적인 질문에 대해 답변하고, 추가적 정보를 위한 최선의 그리고 최신의 자원을 얻을 수 있는 'one- stop shop'의 역할을 하는 책이다. 질문에 대한 답변에 따르는 추가 정보 출처가 게시된 내용과 광범위한 참고 자료를 보완하였다.

목차

머리말 1
서 문 5
저자에 대하여 12
Campus Compact에 대하여 14

CHAPTER 1 서비스-러닝의 개요

1.1 서비스―러닝 정의: 서비스―러닝은 무엇인가? 23
1.2 서비스―러닝의 이론적 기초 28
1.3 서비스―러닝이 도움을 주지 못한다면, 우리는 서비스―러닝을 무엇이라고 불러야 할까? 32
1.4 서비스―러닝의 이점은 무엇인가? 33
1.5 서비스―러닝의 역사 36
1.6 서비스―러닝의 확장 40
1.7 서비스―러닝을 위해 각 기관들은 어떤 것들을 제공해야 하는가? 43
1.8 기관유형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러닝의 형태 46
결 론 47

CHAPTER 2 비판적 성찰을 이해하고 촉진하기

2.1 비판적 성찰이란 무엇인가? 51
2.2 성찰의 유형에는 무엇이 있을까? 54
2.3 비판적 성찰의 설계와 수행의 절차 56
2.4 어떻게 비판적 성찰을 통해 봉사를 넘어 시민/정치적 참여의 형태로 나아갈 수 있게
만드는가? 67
2.5 어떻게 학문적 영역에서 성찰을 적용할 수 있을까? 69
2.6 연계 비교과과정 서비스―러닝에서 성찰의 역할: 일회성 또는 단기 경험 중심으로 73
결 론 74

CHAPTER 3 서비스-러닝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 간 파트너십 개발 및 유지

3.1 서비스―러닝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 간 파트너십의 정의와 기본 원칙은 무엇인가? 80
3.2 서비스―러닝 파트너십의 다른 유형은 무엇인가? 84
3.3 서비스―러닝 파트너십을 개발하는 단계는 무엇인가? 86
3.4 서비스―러닝 파트너십과 관련된 실행상의 문제는 무엇인가? 91
3.5 파트너십을 개발하고 유지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 93
3.6 학교와 지역사회 간 파트너십을 개발하고 지속시키기 위해서 학교는 어떤 기본 체제가
준비되어 있어야 하는가? 96
3.7 학교와 지역사회 간 파트너십에는 기업 파트너가 포함되어야 하는가? 방법은? 99
3.8 서비스―러닝을 위한 국제적인 파트너십을 위한 주요 문제는 무엇인가? 101
3.9 서비스―러닝을 위한 소규모의 파트너십을 어떻게 더 넓고 깊은 조직의 참여로 유도할
수 있는가? 102
결 론 105

CHAPTER 4 서비스-러닝을 교육과정에 통합하기

4.1 서비스―러닝이 교과과정에 적합한 교육이 될 때는 언제인가? 109
4.2 자신의 전공 분야에서 서비스―러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12
4.3 서비스―러닝은 학문적으로 엄정한가? 115
4.4 서비스―러닝을 교육과정에 통합시키는 다양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17
4.5 어떻게 서비스―러닝 과정 개발을 시작할 것인가? 128
4.6 서비스―러닝을 어떻게 평가하고 성적을 부여해야 하는가? 131
4.7 서비스―러닝 수업계획서의 독특한 요소는 무엇인가? 134
4.8 서비스―러닝 과목을 가르치는 데 관련된 실행 계획상의 문제는 무엇인가? 138
4.9 온라인 또는 블렌디드 수업에서 서비스―러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40
4.10 서비스―러닝 과목은 정식으로 지정되어야 하는가? 142
4.11 교수진이 서비스―러닝을 실천하도록 장려하고 지원하기 위한 조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144
4.12 교수 업적 평가, 진급, 종신 재직 보장 과정에서 서비스―러닝은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 146
4.13 어떻게 서비스―러닝이 전체 학과의 폭넓고 깊이 있는 참여를 이끌 수 있는가? 148
결 론 150

CHAPTER 5 연계 비교과과정 서비스-러닝의 설계 및 실행

5.1 연계 비교과과정 서비스―러닝이란 무엇인가? 153
5.2 서비스―러닝과 학생의 발달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156
5.3 연계 비교과 서비스―러닝의 다양한 형태로는 무엇이 있는가? 160
5.4 연계 비교과과정 서비스―러닝이 어떻게 다양한 학생들의 삶의 영역에 통합될 수
있는가? 169
5.5 서비스―러닝과 리더십 교육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72
5.6 연계 비교과과정 서비스―러닝 경험을 개발하는 단계는 무엇인가? 174
5.7 연계 비교과과정 서비스―러닝에서 학생들의 학습은 어떻게 사정될 수 있는가? 178
5.8 서비스―러닝 교육자는 학생들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서비스―러닝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가? 180
결 론 183

CHAPTER 6 서비스-러닝의 평가

6.1 서비스―러닝 평가는 무엇을 수반하는가? 187
6.2 서비스―러닝을 평가하기 위해 가능한 방법은 무엇인가? 191
6.3 평가 방법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안은 무엇인가? 194
6.4 서비스―러닝 학생 참여자의 평가는 무엇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 197
6.5 서비스―러닝은 지역사회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되어야 하는가? 199
6.6 서비스―러닝 파트너십은 어떻게 평가되어야 하는가? 203
6.7 서비스―러닝과 관련하여 교수(faculty) 평가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204
6.8 기관 수준에서 어떤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가? 207
6.9 서비스―러닝 평가의 도전 과제는 무엇인가? 이를 어떻게 다룰 수 있는가? 211
결 론 214

CHAPTER 7 서비스-러닝 행정

7.1 서비스―러닝은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218
7.2 서비스―러닝 센터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225
7.3 서비스―러닝 센터 직원들은 어떻게 편성해야 하는가? 227
7.4 조직적으로 서비스―러닝은 어디에 소속되어야 하는가? 228
7.5 서비스―러닝 센터를 제외한 어떤 제도적 인프라 요소들이 서비스―러닝 지원에
필요한가? 230
7.6 서비스―러닝 센터는 어떻게 예산지원을 받는가? 233
7.7 어떻게 서비스―러닝의 가치를 증명할 것인가? 239
7.8 서비스―러닝이 요구하는 실행 차원의 고려사항은 무엇인가? 241
7.9 어떤 책임과 위험관리 이슈들에 대한 처리가 필요한가? 245
7.10 국제 서비스―러닝과 관련한 행정적 이슈들은 무엇인가? 250
7.11 우수한 서비스―러닝 활동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253
결 론 257

CHAPTER 8 서비스-러닝의 복잡성과 딜레마 대하기

8.1 서비스―러닝은 모든 학생에게 어떻게 접근 가능하며 적절할 수 있는가? 262
8.2 서비스―러닝은 졸업을 위한 요건이 되어야 하는가? 265
8.3 서비스―러닝에 저항하는 학생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267
8.4 서비스―러닝 참여는 인종, 민족, 사회 경제적 지위의 차이, 권력과 특권, 조직적
억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공감을 어떻게 강화시킬 수 있는가? 269
8.5 비판적 서비스―러닝이 무엇인가? 왜 이것이 중요한가? 272
8.6 정치에 대한 서비스―러닝의 관계는 무엇인가? 276
8.7 서비스―러닝은 제도화되어야 하는가? 279
8.8 대학―지역사회 파트너십은 정말 동반자적 상호 관계가 될 수 있는가? 282
8.9 서비스―러닝의 초점은 지역적이어야 하는가 아니면 국제적이어야 하는가? 284
결 론 289

CHAPTER 9 고등교육에서 서비스-러닝의 미래를 확보하기

9.1 서비스―러닝을 교수법과 실습으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어떤 평가와 연구가 필요한가? 294
9.2 서비스―러닝 제도화는 어떻게 서비스―러닝의 미래를 안정화 할 수 있는가? 300
9.3 교수 보상체계 내에서 서비스―러닝, 지역사회 기반 연구, 참여형 학문 등을 충분히
인정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302
9.4 서비스―러닝에 대한 해외 모델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306
9.5 미래의 서비스―러닝 파트너십은 무엇인가? 307
9.6 학생들이 지역 내 서비스―러닝을 통해 글로벌한 관점을 기를 수 있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 312
9.7 국내외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서비스―러닝의 역할은 무엇인가? 314
9.8 온라인 환경에서 서비스―러닝의 미래는 어떠한가? 318
9.9 서비스―러닝은 초?중등 교육과정 내 고등교육의 참여를 어떻게 강화할 수 있는가? 319
9.10 서비스―러닝의 미래와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관계는 무엇인가? 322
결 론 325

찾아보기 329

저자소개

이현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졸업 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h.D.(Instructional Systems 전공) 현재: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주요경력: (현) 한국교육공학회?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한국인력개발학회 이사(전) 삼성물산 인재개발연구소 저서: 교육공학용어해설(학지사), 교수의 으뜸원리(학지사), 서비스러닝(박영story), 교육공학(문음사), 교수설계 지식기반(학지사), 교육공학: 통합적 접근과 학제적 관점(교육과학사) 이메일: hwl@smu.ac.kr
펼치기
장덕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교육부 공무원, 대통령실 행정관을 거쳐 대학에서 교육행정과 교육정책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교육복지론>(공저)이 있고, 논문으로 “대학입학사정관제 제도화 과정 분석 연구: 신제도주의 동형화 이론의 적용”(2009), “Framing “world class” differently: international and Korean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world class university project”(2011) 등이 있다. 주로 신제도주의 조직이론을 기반으로 한 교육조직 연구 및 교육정책 분석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효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인적자원개발과 직업교육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동 대학교 겸임교수와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메디컬센터 HR specialist, 서울대학교 한국인적자원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부 국제사무학과 초빙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평생교육/HRD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상명대학교 청소년행복교육연구소 소장 등을 담당하고 있다. 관심 연구 분야는 경력개발, 조직문화, 성인학습, 데이터 기반 HR 등이다. 이메일: hyosunk@smu.ac.kr
펼치기
이원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대학원 Ph.D. (Program Evaluation 전공) 저서: 교육평가?이해와 적용(공저, 교육과학사, 2007) 교육평가(공저, 문음사, 2011) 세부영역: 교육평가, 프로그램 평가, 혼합연구방법론, 사례연구 현재: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e-mail: wlee@smu.ac.kr
펼치기
이정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퍼듀대학교(Purdue University) 대학원 Ph.D. (Curriculum Studies 전공) 저서: Global issues in education: Pedagogy, policy, practices and the minority experience (공저, Rowman & Littlefield Education, 2009) Minority students in East Asia: Government policies, school practices, and teacher responses(공저, Routledge, 2011) 세부영역: 교육과정, 다문화교육 현재: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e-mail: leejungmin@smu.ac.kr
펼치기
장석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Ph.D. (교육상담/상담심리 전공) 역서: 유능한 상담자의 심리치료(공역, 학지사, 2009) 셀프 슈퍼비전(공역, 학지사, 2012) 세부영역: 교육상담, 상담심리, 청소년 상담 현재: 상명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e-mail: schang@smu.ac.kr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