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공학/수업설계
· ISBN : 9791188040445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8-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서 문 5
저자에 대하여 12
Campus Compact에 대하여 14
CHAPTER 1 서비스-러닝의 개요
1.1 서비스―러닝 정의: 서비스―러닝은 무엇인가? 23
1.2 서비스―러닝의 이론적 기초 28
1.3 서비스―러닝이 도움을 주지 못한다면, 우리는 서비스―러닝을 무엇이라고 불러야 할까? 32
1.4 서비스―러닝의 이점은 무엇인가? 33
1.5 서비스―러닝의 역사 36
1.6 서비스―러닝의 확장 40
1.7 서비스―러닝을 위해 각 기관들은 어떤 것들을 제공해야 하는가? 43
1.8 기관유형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러닝의 형태 46
결 론 47
CHAPTER 2 비판적 성찰을 이해하고 촉진하기
2.1 비판적 성찰이란 무엇인가? 51
2.2 성찰의 유형에는 무엇이 있을까? 54
2.3 비판적 성찰의 설계와 수행의 절차 56
2.4 어떻게 비판적 성찰을 통해 봉사를 넘어 시민/정치적 참여의 형태로 나아갈 수 있게
만드는가? 67
2.5 어떻게 학문적 영역에서 성찰을 적용할 수 있을까? 69
2.6 연계 비교과과정 서비스―러닝에서 성찰의 역할: 일회성 또는 단기 경험 중심으로 73
결 론 74
CHAPTER 3 서비스-러닝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 간 파트너십 개발 및 유지
3.1 서비스―러닝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 간 파트너십의 정의와 기본 원칙은 무엇인가? 80
3.2 서비스―러닝 파트너십의 다른 유형은 무엇인가? 84
3.3 서비스―러닝 파트너십을 개발하는 단계는 무엇인가? 86
3.4 서비스―러닝 파트너십과 관련된 실행상의 문제는 무엇인가? 91
3.5 파트너십을 개발하고 유지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 93
3.6 학교와 지역사회 간 파트너십을 개발하고 지속시키기 위해서 학교는 어떤 기본 체제가
준비되어 있어야 하는가? 96
3.7 학교와 지역사회 간 파트너십에는 기업 파트너가 포함되어야 하는가? 방법은? 99
3.8 서비스―러닝을 위한 국제적인 파트너십을 위한 주요 문제는 무엇인가? 101
3.9 서비스―러닝을 위한 소규모의 파트너십을 어떻게 더 넓고 깊은 조직의 참여로 유도할
수 있는가? 102
결 론 105
CHAPTER 4 서비스-러닝을 교육과정에 통합하기
4.1 서비스―러닝이 교과과정에 적합한 교육이 될 때는 언제인가? 109
4.2 자신의 전공 분야에서 서비스―러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12
4.3 서비스―러닝은 학문적으로 엄정한가? 115
4.4 서비스―러닝을 교육과정에 통합시키는 다양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17
4.5 어떻게 서비스―러닝 과정 개발을 시작할 것인가? 128
4.6 서비스―러닝을 어떻게 평가하고 성적을 부여해야 하는가? 131
4.7 서비스―러닝 수업계획서의 독특한 요소는 무엇인가? 134
4.8 서비스―러닝 과목을 가르치는 데 관련된 실행 계획상의 문제는 무엇인가? 138
4.9 온라인 또는 블렌디드 수업에서 서비스―러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40
4.10 서비스―러닝 과목은 정식으로 지정되어야 하는가? 142
4.11 교수진이 서비스―러닝을 실천하도록 장려하고 지원하기 위한 조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144
4.12 교수 업적 평가, 진급, 종신 재직 보장 과정에서 서비스―러닝은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 146
4.13 어떻게 서비스―러닝이 전체 학과의 폭넓고 깊이 있는 참여를 이끌 수 있는가? 148
결 론 150
CHAPTER 5 연계 비교과과정 서비스-러닝의 설계 및 실행
5.1 연계 비교과과정 서비스―러닝이란 무엇인가? 153
5.2 서비스―러닝과 학생의 발달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156
5.3 연계 비교과 서비스―러닝의 다양한 형태로는 무엇이 있는가? 160
5.4 연계 비교과과정 서비스―러닝이 어떻게 다양한 학생들의 삶의 영역에 통합될 수
있는가? 169
5.5 서비스―러닝과 리더십 교육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72
5.6 연계 비교과과정 서비스―러닝 경험을 개발하는 단계는 무엇인가? 174
5.7 연계 비교과과정 서비스―러닝에서 학생들의 학습은 어떻게 사정될 수 있는가? 178
5.8 서비스―러닝 교육자는 학생들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서비스―러닝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가? 180
결 론 183
CHAPTER 6 서비스-러닝의 평가
6.1 서비스―러닝 평가는 무엇을 수반하는가? 187
6.2 서비스―러닝을 평가하기 위해 가능한 방법은 무엇인가? 191
6.3 평가 방법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안은 무엇인가? 194
6.4 서비스―러닝 학생 참여자의 평가는 무엇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 197
6.5 서비스―러닝은 지역사회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되어야 하는가? 199
6.6 서비스―러닝 파트너십은 어떻게 평가되어야 하는가? 203
6.7 서비스―러닝과 관련하여 교수(faculty) 평가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204
6.8 기관 수준에서 어떤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가? 207
6.9 서비스―러닝 평가의 도전 과제는 무엇인가? 이를 어떻게 다룰 수 있는가? 211
결 론 214
CHAPTER 7 서비스-러닝 행정
7.1 서비스―러닝은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218
7.2 서비스―러닝 센터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225
7.3 서비스―러닝 센터 직원들은 어떻게 편성해야 하는가? 227
7.4 조직적으로 서비스―러닝은 어디에 소속되어야 하는가? 228
7.5 서비스―러닝 센터를 제외한 어떤 제도적 인프라 요소들이 서비스―러닝 지원에
필요한가? 230
7.6 서비스―러닝 센터는 어떻게 예산지원을 받는가? 233
7.7 어떻게 서비스―러닝의 가치를 증명할 것인가? 239
7.8 서비스―러닝이 요구하는 실행 차원의 고려사항은 무엇인가? 241
7.9 어떤 책임과 위험관리 이슈들에 대한 처리가 필요한가? 245
7.10 국제 서비스―러닝과 관련한 행정적 이슈들은 무엇인가? 250
7.11 우수한 서비스―러닝 활동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253
결 론 257
CHAPTER 8 서비스-러닝의 복잡성과 딜레마 대하기
8.1 서비스―러닝은 모든 학생에게 어떻게 접근 가능하며 적절할 수 있는가? 262
8.2 서비스―러닝은 졸업을 위한 요건이 되어야 하는가? 265
8.3 서비스―러닝에 저항하는 학생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267
8.4 서비스―러닝 참여는 인종, 민족, 사회 경제적 지위의 차이, 권력과 특권, 조직적
억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공감을 어떻게 강화시킬 수 있는가? 269
8.5 비판적 서비스―러닝이 무엇인가? 왜 이것이 중요한가? 272
8.6 정치에 대한 서비스―러닝의 관계는 무엇인가? 276
8.7 서비스―러닝은 제도화되어야 하는가? 279
8.8 대학―지역사회 파트너십은 정말 동반자적 상호 관계가 될 수 있는가? 282
8.9 서비스―러닝의 초점은 지역적이어야 하는가 아니면 국제적이어야 하는가? 284
결 론 289
CHAPTER 9 고등교육에서 서비스-러닝의 미래를 확보하기
9.1 서비스―러닝을 교수법과 실습으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어떤 평가와 연구가 필요한가? 294
9.2 서비스―러닝 제도화는 어떻게 서비스―러닝의 미래를 안정화 할 수 있는가? 300
9.3 교수 보상체계 내에서 서비스―러닝, 지역사회 기반 연구, 참여형 학문 등을 충분히
인정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302
9.4 서비스―러닝에 대한 해외 모델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306
9.5 미래의 서비스―러닝 파트너십은 무엇인가? 307
9.6 학생들이 지역 내 서비스―러닝을 통해 글로벌한 관점을 기를 수 있도록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 312
9.7 국내외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서비스―러닝의 역할은 무엇인가? 314
9.8 온라인 환경에서 서비스―러닝의 미래는 어떠한가? 318
9.9 서비스―러닝은 초?중등 교육과정 내 고등교육의 참여를 어떻게 강화할 수 있는가? 319
9.10 서비스―러닝의 미래와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관계는 무엇인가? 322
결 론 325
찾아보기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