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생물과 생명
· ISBN : 9791188215294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19-08-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_ 야생 동물을 만나고 싶은 친구들에게
1부 새 _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면
• 둥지와 알
• 생활사(한살이)
• 날개
① 황조롱이, 도시 하늘의 맹금류
-바위 절벽 대신 고층 건물에 둥지를
-먹이는 작은 동물과 곤충
-멋진 사냥 장면을 보고 싶으면 강변으로
*동물과 함께 생각해 _유리창이 새를 죽인다고?
② 참새, 유연성과 개방성이 도시 적응의 비결
-참새는 나를 관찰하는 중
-참새들의 짧아진 안전거리
-‘새대가리’라는 누명
③ 까치, 눈썰미 좋은 도시의 싸움꾼
-현명한 사나움
-우리는 까치를 구별 못 해도 까치는 우리를 구별해
-까치의 행동
*동물과 함께 생각해 _사람의 기준으로 동물을 판단하는 게 옳을까?
④ 직박구리, 시끌벅적한 도시의 열매 탐식가
-직박구리가 열매의 맛을 아는 방법
-새를 더 잘 알기 위한 실험
-열매야 널리널리 퍼져라
*동물과 함께 생각해 _야생 동물에게 먹이를 주어도 괜찮을까?
⑤ 멧비둘기, 도시에 하산한 재래종 산비둘기
-도시의 사랑꾼 멧비둘기
-둥지와 멧비둘기 가족
-도시에서 언제나 발견되는 어린 멧비둘기
*동물과 함께 생각해 _비둘기는 유해 동물일까?
⑥ 흰뺨검둥오리, 이제는 흔해진 도시의 물새
-물새의 특징
-텃새가 된 오리들
-도시 흰뺨검둥오리 가족이 습지를 찾아가는 머나먼 길
-하천의 풀숲에 집을 짓고 싶어
*동물과 함께 생각해 _새끼 새를 발견했다면?
2부 젖먹이 동물 _ 관심을 가지면 보이기 시작하는
• 우리와 가까운 젖먹이 동물(포유류)
• 동물의 흔적을 찾아서
• 도시의 젖먹이 동물
① 쥐, 쥐가 많은 숲이 건강하다
-쥐, 잘 알지만 잘 모르는 야생 동물
-쥐 밀도는 생태계의 지표
_도심 녹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설치류
*동물과 함께 생각해 _청설모가 정말 다람쥐를 잡아먹을까?
② 족제비, 날렵한 최고의 사냥꾼
-도시에 적응한 사냥꾼
-먹이, 성격, 흔적
-세상에서 가장 작은 육식 동물, 쇠족제비
*동물과 함께 생각해 _반려동물의 사냥, 인간의 잘못일까? 동물의 잘못일까?
③ 너구리,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야생 개과 동물
-가리는 음식 없이 뭐든지 잘 먹어
-너구리 화장실은 소식통
-새끼 곰을 발견했어요?
*동물과 함께 생각해 _놀이와 패션을 위해 동물에게 고통을 주어도 괜찮을까?
④ 고라니, 국제적 멸종 위기종인 천덕꾸러기
-우리가 잘 몰랐던 의외의 모습
-우리나라와 중국에만 사는 송곳니 사슴
-어쩌면 침입자는 사람일지도 몰라
*동물과 함께 생각해 _새끼 동물을 발견했다면?
⑤ 산양, 서울에 돌아온 암벽 생활자
-험준한 바위 지대가 산양의 안락한 삶터
-암벽 생활자의 지속 가능한 식탁
-끊어진 산줄기, 고립된 산양
-서울에 돌아온 산양
*동물과 함께 생각해 _도로에서 다친 동물을 만난다면?
⑥ 수달, 도심 하천에 돌아온 강 생태계 최고 포식자
-수달은 어떤 동물일까?
-하천 개발로 멸종 위기에 처한 수달
-도시를 계속 넓혀야 할까?
-강물이 자유롭게 흐르면 일어날 일들
*부록 _ 우리나라 야생동물구조센터
책속에서

이곳을 걸으면서 황조롱이가 어디에 있을지 눈과 귀를 열고 찾아보자. 황조롱이는 전망이 좋은 높은 곳에 앉아 있다가 사냥할 기회를 노리고 있거나 날고 있겠지. 도시 환경은 건축물이 많아서 높은 곳에 올라도 먹잇감을 보기가 어렵지만 황조롱이는 탁월한 시력과 비행 기술이 있어서 작은 먹잇감도 잘 잡을 수 있어. 도시에서 여전히 황조롱이를 볼 수 있어서 얼마나 다행인지!
세계적으로 소수만 살았던 집비둘기를 사람들이 길렀고, 다양한 국제 행사와 공연 등에서 아주 많은 집비둘기를 날려 보냈지. 아무도 행사 뒤에 비둘기가 어떻게 되는지는 관심이 없었어. 우리나라에서도 1988년 서울올림픽을 시작으로 2001년도까지 많은 집비둘기를 날려 보냈고, 도시 환경에 적응하면서 급격히 늘어났어. 집비둘기를 도시에 데려온 건 바로 사람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