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88342006
· 쪽수 : 362쪽
· 출판일 : 2017-05-2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2
1장. 우리 앞의 현실
1. 자본주의와 개인소유 사상 ……… 14
자본주의 / 블라인드 스팟 / 개인소유 사상
2. 개인소유 사상의 사회문화 ……… 22
생존과 투쟁, 공동체의 역사 / 한국의 공동체 해체 /
혼자가 될 때까지 / 경영과 노동 / 기업 조직 문화 / 교육 / 자녀 양육 /
국가 정치/ 경제 제도 / 학문과 문화 / 성 역할 갈등 / 이성 교제 / 행복
3. 지속가능한 삶의 위기 - 개인편 ……… 59
경제 능력의 상실 / 직업의 귀천 / 실직과 사회 안전망 /
결혼, 출산, 경력단절 / 산업 구조의 변화 / 주거 불안정 / 자녀 교육 /
질병, 사고, 장애 / 다시 일어설 기회가 없는 사회
4. 지속가능한 삶의 위기 - 사회편 ……… 84
빈부 격차, 소득 격차 / 청년 빈곤 / 저출산, 노령화 / 산업 성장의 정체 /
미래 인재의 부재 - 교육과 기업문화 / 필연적 불황과 전쟁
2장. 선택의 시간
5. 순환, 지속가능한 삶의 가능성 ……… 114
개인의 위기, 사회의 위기 / 순환의 부재 / 기업 내 개인의 순환 /
기업 스스로의 순환 / 기업 밖에서의 개인의 순환 / 자본의 순환 /
직업 분배의 모순 / 직업의 가치, 개인의 가치, 사회적 효용 / 순환이 있는 사회
6. 공유경제와 한계비용 제로사회 ……… 154
공유경제의 역사 / 공유지의 희극, 인터넷 /
인터넷 + 자본주의 = 한계비용 제로사회 /
에너지 인터넷, 운송 인터넷 / 공유경제의 현재와 미래
7. 제4차 산업혁명과 위기의 미래 ……… 173
제4차 산업혁명 / 이제 기업과 노동자는 어떻게 돈을 벌지? /
현대판 러다이트 운동 / 창의적 직업으로의 전환, 가능할까?
3장. 미래를 여는 열쇠
8. 공유경제 시대의 사상들 ……… 188
협력적 공유주의자의 시대 / 망중립성, 오픈소스 운동가들 /
공유가 소유를 앞서 나가는 시대 /
공유가 가진 힘의 원천 / 공유경제 시대의 동반자들
9. 지속가능한 삶을 향한 의식적 연대 ……… 204
대안적 삶을 추구하는 이들의 연대 협력의 필요성 /
기술의 진보, 연대의 가능성 /
중앙 집중화된 권력에서 분산된 권력으로 / 연대 협력의 장애물들
10. 개인소유 사상의 그림자 ……… 216
미래를 결정하는 것 / 자기포장, 위선, 성장 절대주의 /
배려와 공감이 없는 자기중심 사고 / 불신 / 물질만능주의와 소유욕
11. 개인에서 공동체로 ……… 241
내려놓기 / 보다 영속적인 가치 / 관심, 인정, 배려 /
공동체 의식의 확장
4장. 우리가 꿈꾸는 세상
14. 우리가 꿈꾸는 세상 ……… 308
소유자, 생산자, 소비자가 하나 된 공유기업 /
생의 지속가능성이 보장되는 사회 안전망 /
최소 지원(복지)의 기준 : 주거, 교육, 질병 /
개인의 성장과 사회적 기여에 특화된 직업 /
변화된 교육이 바꾸어갈 세상 / 제약적 가족 관계에서의 해방 /
여성에 대한 관념의 변화 / 여성, 남성이 아니라 개인으로 대접받는 사회 /
지속가능한 삶이 있는 사회
15. 우리를 넘어 세계를 향해 ……… 343
페이비언 사회주의, 칼 폴라니, 제3의 길 /
서양과 동양의 문화적 차이 / 언어의 힘, 한민족의 정신문화
에필로그 ……… 355
저자소개
책속에서
몇 해 전 뉴스에, 배추가 풍년인지라 유통시키면 오히려 적자이니 밭을 갈아엎어 버린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세상 어디에는 배추가 없어 굶주려 죽어 가는데, 세상 어디는 저 배추를 파는데 돈이 안 되니 갈아엎다니요. 자본주의와 개인소유의 논리로 체계화된 이 사회에서는 남아도는 자원이라 할지라도 누군가 필요한 사람에게 선뜻 줄 수가 없습니다. 유통 비용의 문제, 시장 질서의 왜곡 등 혜택받는 사람을 제외한 반대급부의 또 다른 피해자가 생기는 복잡한 상황들이 얽혀있기 때문입니다. 곰곰이 생각하면 맞는 이야기지만 단순히 생각하면 이상하기 그지없는 상황입니다.
- <프롤로그> 중에서
자본주의의 개인소유 사상은 사람들의 행복에도 강력한 영향을 주었습니다. 개인이 무엇을 소유함에 행복을 느끼고 소유하지 못함은 불행을 맛보게 하였습니다. 모든 것을 상품화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겉으로 드러나는 물질적, 피상적 대상에 가치를 부여합니다. 우리 사회는 어떤 사람을 평가할 때 멋지고 귀하고 비싼 물건들을 가지는가, 얼마나 유명한 곳에 몸을 담고 어떤 지위를 가지는가를 살펴봅니다. 고급 승용차를 타고, 전망 좋은 넓은 아파트에 살며, 명품 옷과 가방을 메고, 유명한 회사에 높은 직책을 가진 사람을 우수하다 생각하고 부러워합니다.
- <1, 우리 앞의 현실> 중에서
우리나라의 20대는 정말 가난합니다. 물질적인 돈이 없는 것뿐만 아니라 마음마저도 빈곤합니다. 어딘가 모르게 마음 한쪽이 비어있고, 메말라 있는 느낌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경쟁은 치열하고 사회는 각박해서 희망이 보이질 않으니, 제정신이 바르고 꼿꼿한 것이 더 이상할 정도입니다.
출신 성분에 따른 빈부격차와 교육의 부재, 돈 있는 집안에서만 가능한 좋은 대학과 직업에 대한 도전들은 처음부터 출발선이 다른 삶을 자조하게 만듭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바꿀 수 없는 결과와 이미 정해져 있는 답 앞에서 청년들은 희망을 포기하고 삶의 의지를 잃어버립니다. 일본의 장기불황 속에 나타난 ‘사토리 세대’가 이제 다른 나라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5포, 6포 세대를 넘어 N포 세대라는 단어까지 등장하고 있으니까요.
- <1. 우리 앞의 현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