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역심법

정역심법

(한대와 송대를 잇는 역학)

마의도자, 진단 (지은이), 이봉호, 이대승 (옮긴이)
파라아카데미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300원 -10% 0원
1,350원
22,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역심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역심법 (한대와 송대를 잇는 역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91188509676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3-03-15

책 소개

『정역심법』은 오대 시기 마의도자의 경문을 진단이 주석한 것이다. 전해오는 자료에 따르면, 마의도자는 세속을 떠나 은거하던 승려로서 방술과 역술에 뛰어났으며 유불도 삼교융합을 꾀한 인물이었다.

목차

옮긴이의 말
일러두기

1부. 『정역심법』

정역괘획
『마의도자정역심법』
제1장. 복희씨의 역도(易道)
제2장. 여섯 효(爻)의 설정
제3장. 괘상(卦象)을 보임
제4장. 역(易)의 도(道)가 전해지지 않음
제5장. 64괘의 오묘한 뜻
제6장. 괘의 소식(消息)
제7장. 괘의 맥(脈)
제8장. 경괘(經卦)와 중괘(重卦)
제9장. 건곤괘(乾坤卦)의 깨짐
제10장. 건곤(乾坤)과 음양(陰陽)
제11장. 여섯 괘[六卦]
제12장. 괘상(卦象)의 뜻
제13장. 감괘(坎卦)와 태괘(兌卦)는 수(水)
제14장. 사람의 감리괘(坎離卦)와 천지의 감리괘(坎離卦)
제15장. 사람과 만물이 갖춘 8괘(八卦)
제16장. 반대괘(反對卦)와 대대괘(待對卦)
제17장. 취상(取象)과 괘명(卦名)
제18장. 괘명(卦名)과 그 뜻
제19장. 괘의 정(正)과 복(伏), 호(互)와 참(參)
제20장. 건곤괘는 참된 체[眞體]
제21장. 육자 중괘(六子重卦)
제22장. 괘의 변(變)과 복(伏)
제23장. 잘못 전해진 괘
제24장. 괘를 그어 상을 취함
제25장. 중효(中爻)의 뜻
제26장. 괘와 납갑(納甲)
제27장. 괘와 방위(方位)
제28장. 건곤괘(乾坤卦)와 육자괘(六子卦)
제29장. 384효와 역법(曆法)
제30장. 24효와 윤달[閏月]의 수
제31장. 1년 날 수와 효(爻)
제32장. 태음(太陰), 태양(太陽), 소음(少陰), 소양(少陽)
제33장. 만물의 수(數)
제34장. 천(天)의 수와 지(地)의 수
제35장. 대연(大衍)의 수
제36장. 책수(策數)
제37장. 오행(五行)의 수
제38장. 생수(生數)와 성수(成數)
제39장. 괘효(卦爻)의 변화
제40장. 역(易)은 음양(陰陽)
제41장. 역(易)의 활법(活法)
제42장. 역도(易道)의 본질(本質)

2부. 『정역심법』 관련 자료 - 서문과 발문, 후서 등

1. 이잠(李潛)의 『마의도자정역심법』 서문
2. 정준(程準)의 『마의도자정역심법』 서문
3. 대사유의 발문
4. 장식의 발문
5. 주희의 『마의심역』 후서
6. 주희의 『마의역설』 재발문
7. 진단의 「용도」 서문

3부. 『정역심법』 해제

1. 『정역심법』 해제 - 이대승
2. 진단에서 소옹으로 이어진 역학 - 이봉호

참고문헌

부록. 원서자료

『정역심법(正易心法)』
「용도서(龍圖序)」

저자소개

마의도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대 말 북송 초에 세속을 떠나 은거하던 승려로서 ‘마의도인’, ‘마의도사’, ‘마의화상’, ‘백각도자(白閣道者)’ 등으로 불렸다. 여러 사료에 따르면, 그는 방술과 역학에 뛰어나고 유불도 삼교융합의 사유를 지닌 인물로 추정된다.
펼치기
마의도자의 다른 책 >
진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대 송초 시기의 저명한 도사이다. 자는 도남(圖南), 호는 부요자(扶搖子)이며, 백운선생(白雲先生), 희이선생(希夷先生) 등으로 불린다. 송대 성리학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선천도」, 「하도」·「낙서」, 「태극도」 등 도서역학이 진단에게서 유래했다고 알려졌다. 대표적인 도교 수양론 저술로 『지현편(指玄篇)』, 역학 저술로 『역용도(易龍圖)』, 『마의도자정역심법주(麻衣道者正易心法註)』 등이 있다.
펼치기
이봉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를 했다. 서울대, 성균관대 등에서 강의를 했고, 덕성여대, 인천대 등에서 초빙교수와 학술교수를 지냈다. 지금은 경기대학교 교수로 있다. 『정조의 스승, 서명응의 철학』(2014년 대한민국학술원상), 『최초의 철학자들』, 『주역의 탄생』을 썼고, 『도교사』, 『도교백과』(2019년 세종도서), 『도교사전』, 『중화집』, 『정역심법』(공역) 등을 번역했다.
펼치기
이대승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지곡서당)에서 한문을 배웠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철학전공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중이다. 』, 『동서양의 인간 이해』를 공동 집필하고, 『종려전도집』, 『도교사전』을 공동 변역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