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관투자가의 의결권행사관련 법적 쟁점 1

기관투자가의 의결권행사관련 법적 쟁점 1

김승열 (지은이)
한송온라인리걸센터 주식회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기관투자가의 의결권행사관련 법적 쟁점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관투자가의 의결권행사관련 법적 쟁점 1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법과 생활 > 법률이야기/법조인이야기
· ISBN : 9791188533374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18-06-20

책 소개

기관투자가의 의결권행사와 관련하여 시사적인 현안에 대하여 그 개념을 설명하고, 나아가 그 요건 그리고 효과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서 외국의 법제도와 법원의 태도에 대하여도 상세하게 기술한 책이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제2장 기관투자자로서의 국민연금기금에 대한 개관
제1절 기관투자자
Ⅰ. 기관투자자의 의의
1. 기관투자자의 개념
2. 기업지배구조 등에 대한 외부 통제기관으로서의 기관투자자의 지위와 역할
가. 기업지배구조와 주주의 권한
(1) 기업지배구조 논쟁에 관한 단상
(2) 주주의 권한
나. 기관투자자의 등장과 역할 및 한계
(1) 기관투자자의 등장
(2) 기관투자자의 역할
(3) 한계
다. 국민연금의 일반 기관투자자와의 차별성
Ⅱ.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현황
1. 일반기관투자자(집합투자업자 등)
2. 국민연금기금
Ⅲ. 일반적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의 문제점
1. 의결권 행사 유인 부족
가. 단기투자성향
나. 의결권 행사에 따르는 비용 문제
다. 구조적인 문제
2. 의결권 행사 관련 규정의 문제점
3. 주주총회 관련 문제점
제2절 기관투자가로서의 국민연금기금의 지위와 역할
Ⅰ. 서설
Ⅱ. 국민연금기금의 성격
1. 신탁재산설
2. 신탁재산 및 국부기금설
3. 신탁재산 및 사회투자재산설
4. 소결
가. 신탁재산 및 국부기금설에 대한 검토
나. 신탁재산 및 사회투자자본설에 대한 검토
다. 소결
제3절 국민연금기금의 지배구조와 운용원칙
Ⅰ. 개관
1. 국민연금기금의 현황
2. 국민연금 관리체제
가. 국민연금기금 운용 절차
나. 국민연금기금 운용위원회
다. 기금운용실무 평가위원회
라. 의결권행사전문위원회
마. 기타
Ⅱ. 국민연금기금 지배구조의 현황
1. 국민연금기금 지배구조의 문제점
가. 독립성의 부족
나. 전문성 부족
다. 정치적 이용 가능성
2. 개선방향
가. 독립성의 확보
나. 전문성 확보
다. 투명성 확보
라.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 체제 개선
Ⅲ. 연금기금의 운용원칙
1. 기금운용자의 신인 의무(fiduciary duty)
2. 기금운용의 제 원칙
가. 안정성의 원칙
나. 수익성의 원칙
다. 공공성의 원칙
라. 유동성의 원칙
마. 운용 독립성의 원칙

제3장 국민연금기금의 사회책임투자
제1절 서설
제2절 사회책임투자의 의의
Ⅰ. 사회책임투자의 개념
1. 사회책임투자의 정의
2. 사회책임투자의 연혁
Ⅱ. 사회책임투자의 유형
1. 사회적 선별투자(Screening)
가. 의의
나. 소극적 선별(Negative Screening)
다. 적극적 선별(Positive Screening)
2. 주주행동주의 또는 주주관여
가. 의의
나. 이사 또는 사외이사의 추천 내지 선임
다. 주주제안
라. 기업과의 대화
마. 기타
1) 주주대표소송 등 소송제기
2) 투자배제
3. 사회적투자
제3절 국민연금기금의 사회책임투자에 대한 법적 검토
Ⅰ. 주주자본주의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1. 주주자본주의(주주중심주의)
2.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3. 검토
4. 국민연금기금의 주주로서의 이익추구 정도에 대한 검토
가. 주주이익극대화 개념에 대한 재검토
나. 적정한 이익의 추구
Ⅱ. 수탁자의무와 사회책임투자
1. 수탁자의 의무
가. 선관주의의무
나. 충실의무
2. 사회책임투자의 수탁자 의무 위반성에 대한 검토
가. 선별적 투자의 수탁자 의무 위반성 여부
나. 주주행동주의의 수탁자 의무 위반성여부
다. 사회적 투자의 수탁자 의무 위반성 여부
Ⅲ. 국민연금기금과 주주행동주의
1. 해외 기관투자자의 주주행동주의 현황
가. 영국
나. 미국
다. 프랑스
라. 네덜란드
마. 스웨덴
2. 국민연금기금과 주주행동주의
가. 국민연금기금의 주주행동 현황
나. Stewardship Code의 내용과 시사점
1) 제정배경
2) 적용대상
3) 적용방법
4) 내용
5) 시사점
제4절 소결

제4장 국민연금기금의 의결권 행사와 법적 제 문제
제1절 서설
제2절 연금기금의 적극적 의결권 행사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각
Ⅰ. 긍정적 시각
Ⅱ. 부정적 시각
Ⅲ. 검토
제3절 해외 주요 연기금의 의결권 행사 현황과 시사점
Ⅰ. CalPERS
1. 지배구조
2. 의결권 행사지침
가. 기본원칙
나. 목적
다. 기업지배지침의 내용
1) 의결권 행사의 핵심내용
2) 국내 의결권 행사기준
가) 이사회의 독립성과 리더십
나) 이사회, 이사, CEO평가
다) 임원과 이사의 보수
라) 회계보고의 무결성
마) 위험감시
바) 기업의 책임
사) 주주의 권리
3) 해외투자 기업지배구조 원칙
3. 의결권 행사현황
Ⅱ. CPPIB
1. 지배구조
2. 의결권 행사지침
가. 의결권 행사의 기본원칙
나. 주주의 의결권 보장
다. 이사회
라. 보상
마. 회계감사 기능
바. 기타
3. 의결권 행사 현황
Ⅲ. GIPF
1. 지배구조
2. 의결권 행사 현황
제4절 적정한 의결권행사를 위한 제도적 장치
Ⅰ. 국민연금 지배구조 개편
1. 독립성
2. 전문성
Ⅱ. 의결권행사의 기본방향 설정
1. 국민연금기금 의결권 행사지침에 대한 검토
2. 개선방향
가. 의결권 행사 지침
1)총칙
2) 행사기준
3) 행사방법
4) 행사절차
5) 세부기준(국내)
가) 재무제표 승인
나) 정관변경
라) 이사 및 감사의 보상
마)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바) 합병 및 영업양수도 등
나. 세부기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Ⅲ. 공시의무
1. 현행 공시제도에 대한 평가
2. 공시제도 보완을 위한 법제 정비
Ⅳ. 의결권행사 전문 자문기관
1. 의결권행사 전문자문기관 현황
2. 의결권행사 전문자문기관 활용과 관련된 문제점
가. 겸영업무로 인한 이익상충
나. 의안분석 대상방법 상의 문제
다. 독점적 지위로 인한 문제
3. 의결권 자문과 대량보유보고 의무
4. 제언
V. 언론 등을 통한 사회적인 통제
1. 충실의무의 의의 및 내용
가. 의의
나. 내용
2. 주주의 충실의무의 인정여부 및 인정근거
가. 주주의 충실의무 인정여부
1) 충실의무의 확장
2) 주주의 충실의무 인정여부
가) 미국
나) 독일
다) 국내법
나. 주주의 충실의무의 법적 기초
3. 연금기금의 의결권 행사와 주주의 충실의무
제5절 소결

제5장 결론

저자소개

김승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School of Law(LL.M.with honours) 미국 UC, Berkeley School of Law Visiting Scholar 미국 Boston University School of Law (LL.M. in Banking Law)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JSD Candidate [경력] 제24회 사법시험합격(사법연수원 제14기), 미국 뉴욕주 변호사 미국 뉴욕 소재 로펌 Paul, Weiss, Rifkind, Warton & Garrison 변호사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단 중재인, 국제 중재인 재무부 금융산업발전심의회 OECD전문위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대외경제전문가 풀 의 전문위원 통상산업부 통상무역정책자문위원회 위원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시립대, 홍익대의 각 강사, 숙명여자대학교 법과대학 겸임교수 경남은행, 스타리스㈜, 푸른2상호저축은행의 각 사외이사 학교법인 단국대학교 정이사 대학구조조정정책 Project 연구위원(교과부) OECD보험위원회 국가대표참석(공정거래위원회) 통신위원회 법령ㆍ약관심사위원회위원 공무원 급여심의위원회위원 금융감독위원회 자체규제 심사위원 기획재정부 공기업 경영평가위원, 공공기관장 경영계획서 이행실적평가위원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폐지실질심사위원회의 위원장 대법원 산하 사법연수원 외래교수(민사변호사실무) 환경부, 교육과학기술부, 방송통신위원회, 보건복지부 각 고문변호사 지식경제부 에너지정책전문위원회 위원 법무부 국제거래법 문제유형 연구위원, 사법시험 제3차시험면접위원, 이민정책자문위원, 사법시험관리위원 한국금융연수원에서 “지식재산금융과 법제도”강의(2014) 대한변호사협회 이사 KAIST 지식재산대학원 겸직교수 FORTUNE KOREA, 서울신문, 머니투데이, 신동아, 서울경제, 이코노미 조선 등 객원칼럼니스트 감사원 행정심판위원 금융위FIU 자금세탁방지 정책위원회 위원 대통령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 한국예탹결제원 청렴 옴부즈만 대통령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지식재산활용전문위원회의 위원장 법무부 사법시험 관리위원회 위원 대한변호사협회 부협회장 경향신문사 사외이사 [저서 & 논문] 주가수준미달에 의한 상장폐지에 대한 소고, 성균법학(2007) 김현종& 김승열, 무역형태가 한국기업들이 합병, 인수에 미친 영향, 국제법률경영(1993, 가을) 미국의 투자회사법 제36조에 의한 사적제소, 국제법률경영(1994, 가을) 은행산업의 경쟁력제고방안(공정거래위원회) 코스닥시장에서의 상장폐지에 관한 연구, 국민법학(2010) [표창] 지식경제부 장관표창(대한 상사중재원: 중재활동) [도서] 한국의 논점 2014 김승열 외 공저 동아일보사 법률의 눈으로 바라본 사회와 경제 김승열 온라인리걸센터 출판부 지식재산금융과 법제도 김승열 한송 온라인리걸센터 주식회사 기업법률분쟁과 조정.분쟁 김승열 한송 온라인리걸센터 주식회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