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88701711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25-08-01
책 소개
목차
1. 최제우
2. 대구의병과 국권회복운동
▵문석봉 ▵우재룡 ▵임용상 ▵장윤덕 ▵허위 ▵이상룡 ▵우현서루 ▵김광제 · 서상돈 ▵순종 ▵구찬회
3. 조선국권회복단과 대한광복회
▵윤상태 ▵이시영 ▵김진만·진우 형제 ▵서상일 ▵광복회
4. 대구의 3·1운동
▵1919년 3월 8일∼10일 대구의 만세운동 ▵남산교회의 3·1운동 ▵계성학교의 3·1운동 ▵동화사 지방학림의 3·1운동 ▵미대동의 3·1운동 ▵서건수
5. 1920년대 대구의 독립운동
▵이종암 ▵이경희 ▵손양윤 ▵조기홍 ▵박희광 ▵송두환 ▵이현수 3부자 ▵ᄀ당 ▵최종응 ▵양도일 ▵진우연맹 ▵윤우열 ▵이상화와 이상정 ▵장진홍 ▵대구고보 동맹휴학
6. 1930년대 대구의 독립운동
▵이육사 ▵정학이 ▵대구사범학교 학생투쟁
7. 1940년대 대구의 독립운동
▵서보인 ▵이윤재 ▵대구상업학교 태극단 투쟁
8. 현진건학교 회원 글
▵현진건 장편소설 ‘적도’ 일부 영역문, 중역문 등
저자소개
책속에서
최제우 순도비 : 대구 반월당 현대백화점 앞 인도에 ‘동학 교조 수운 최제우 순도비’가 있다. 처형 장소인 관덕당 터에 건립하려 했지만 성사되지 못하고 그 인근에 2017년 자리를 잡았다. 순도비 뒤 아미산 언덕 위에 있는 관덕정은 최제우와 아무런 관계가 없다. 관덕정은 천주교 측이 1991년 건립한 ‘순교 기념관’이다.
문석봉 생가터 : 달성군 현풍 성하리 313번지에 있다. 문석봉은 “일제의 을미사변(명성황후 시해 사건) 이후 전국 최초로 거의하여(의병을 일으켜) 의병 활동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폭제 역할을 한 것으로 의병사에 큰 의미를 갖는(국가보훈부 독립유공자 공훈록)” 인물이다. 하지만 현장에 가보면 안내판 하나 없다.
우현서루 : 구한말은 총칼을 들고 일제에 맞선 의병 항쟁의 시기이면서 동시에 계몽운동이 활발했던 구국운동의 시기였다. 1905년 문을 열어 우리나라 최초 사립 도서관으로 평가받는 우현서루가 대구 중구 수창동 101-11(현 대구은행 북성로지점)에 있었다. 1924년 일본 왕궁에 폭탄을 던지는 김지섭 지사 등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해내는 우현서루를 일제가 가만히 놔둘 리 없었다. 결국 우현서루는 1911년 강제로 폐쇄되었다. 우현서루는 학교 기능도 수행했는데 그때는 시무학당이라 불렀다. 우현서루는 광문사와 더불어 국채보상운동의 양대 축을 담당했던 대구광학회의 사무실로도 쓰였다. 대구광학회를 이끈 이일우는 이상화의 큰아버지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