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9034016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18-05-2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새로운 교육의 꿈을 위한 행진곡
1장 진보와 보수를 넘어, 다시 교육_ 결론은 교육이다 11 · 교육개혁과 교육법 23 · 진보교육감들에게 바란다 33 · 진보교육운동의 독점시장 해체를 보며 40 · 문용린 교육감을 보내며 46 · ‘노조로 보지 않음’의 의미 51 · 교육혁신은 연수제도 개혁부터 55 · 이름만 교육지원청 59 · 신종 줄 세우기 63 · ‘학교생활기록부 종합전형’을 위한 변명 66 · ‘진보적’ 교육감, ‘진보의’ 교육감, ‘진보교육’감, ‘교육 진보’감? 72 · 진보 명망가들의 교육 맨스플레인 79 · 진보교육과 실력 83 · 교육 다양성의 의미 94 · 인성교육에 인성이 없다 105 · 노동이 사라진 교육 119 · 국수주의와 사대주의 사이 130 · 시행령으로 움직이는 교육 134 · 학교와 마을 143 · 민주시민은 책을 읽는다 147 · 교육부 잔혹사 20년 153 · 교사 증원에 대한 우려 169 · 교육의 길 173
2장 학교의 의미, 교사의 자리_ 교사의 죽음을 가볍게 생각하는 사회 179 · 학교 안전 문제의 이면 184 · 혁신학교의 참된 길 188 · 특목고와 자사고가 폐지되면 일반고가 살아날까? 192 · 9시 등교 설전 유감 196 · 공문, 그리고 교육지원청 200 · 등교지도를 폐지하자 212 · 교육부의 청소년 안전 걱정 216 · 2000년대에 부활한 교육계엄령 219 · 혁신학교를 생각하다 223 · 교권과 인권은 제로섬이 아니다 228 · 국정교과서를 이기는 길 233 · 아동학대범죄 방지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 238 · 교사는 계급이 없다 243 · 세월호와 민주시민 교육 247 · 민주적인 학교문화를 위한 제언 252 · 학교를 좀먹는 다홍치마 268 · 교사 문해력 논란에 부쳐 273 · 사교육비 경감의 유혹 276 · ‘샘’이라는 말 282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288 · 교장의 역할 298 · 인성교육과 공부의 상관관계 309 · 공교육에 대한 자학과 자만 318 · 입시교육과 권력의 그림자 322 · 중학교 교사의 정체성 326 · 3월엔 잡지 말자 337 · 가르치는 일의 존엄함 340 · 교육개혁의 출발 344 · 고작 다섯 명 차이 347
에필로그 : 학교 없는 세상을 꿈꾸며 350
저자소개
책속에서
교육 불평등을 해소한다는 것은 다양한 분야, 다양한 수준의 교육을 획일적으로 균등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신분과 재산이 아닌 오직 자신의 재능과 성취에 따라 다양한 교육을 받을 기회를 주고, 사회에 진출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사회 구성원들 간의 개성이 만발한 사회는 종 다양성이 풍부한 생물의 종과 같다. 그런 사회는 환경이 어떻게 달라지더라도 거기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구성원들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성원들의 능력을 교육을 통해 사회 전체가 공유하고 후손에게 전수함으로써 사회가 발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 구성원들이 어떤 하나의 견해, 하나의 관점으로 통일되어 있는 사회는 취약하다. 가능하면 서로 다른, 심지어 상충되는 견해와 관점이 공존하고 경쟁하는 사회가 건강하다. 그리고 이런 사회는 자라나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다양하고 상충되는 견해와 관점 들을 꽃피우는 경험을 함으로써 가능하다. 교육의 다양성은 학생들의 행복의 조건이자 우리 사회의 발전과 존속의 조건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