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물
· ISBN : 9791189171421
· 쪽수 : 151쪽
· 출판일 : 2022-08-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그대가 이 나라의 왕족이라고?
2. 말조심하여라. 새가 듣고 쥐가 들을라
3. 겨울이 지나야 봄이 온다더라
4. 내가 가는 길이 왕도로다
소설 흥선 대원군 해설
흥선 대원군 연보
소설 흥선 대원군을 전후한 한국사 연표
저자소개
책속에서
흥선군(興宣君) 이하응(李昰應).
그는 당시 신분으로서는 가장 높은 왕손, 더구나 정통파에 속하는 위풍당당한 지체였다. 하지만 세상살이가 억울하고 서글프다 못해 한 맺힌 사람 중의 하나였다. 여차하면 임금이 될 수 있는 고귀한 신분이었으나 웬일인지 그는 비렁뱅이처럼 행색이 초라했고 장안에서는 이미 주정뱅이요 망나니, 게다가 돈 떼먹기 잘하는 노름꾼으로 소문나 있었다. 더구나 술이라도 한잔 걸치면 문중인 이(李)씨 가문에 똥칠을 하기 일쑤여서 친척들 간에도 웬만한 이들은 그를 가까이하려 하지 않았다..
조선은 엄연한 왕국이다. 왕국에서 흥선군으로 봉군되었으니 이하응은 주위로부터 대감이라 불리기에 마땅했다. 어쨌거나 왕족 아닌가. 원래 그토록 지체 높은 대감이 외출이라도 하게 되면 주위가 요란하기 짝이 없어야만 했다.
그랬다. 변두리 술집에서 이렇게 망신을 당하는 편이 오히려 흥선의 계략을 성공으로 이끄는 수단이 되곤 했다. 그는 여태껏 어떤 자리에서건 간에 비렁뱅이나 파락호, 그리고 팔불출로 대접받기 위해 무진 애를 쓰지 않았던가. 그러지 않았다면 진즉에 도정이나 경평군 신세가 되지 않았으리란 보장이 없었다.
근래에 정통파 왕손으로 일컬어지던 자라고 해야 ‘경평균 이세보’와 ‘도정 이하전’뿐이지 않았던가. 그들은 세도 정치하에서도 오로지 자신의 기개를 굽히지 않고 당당히 살아가던 왕손들이었다. 그러나 지난해에 경평균 이세보가 공연히 역모에 몰려 저 멀리 완도 옆에 있는 신지도로 유배를 당하더니, 얼마 전에는 그토록 당당하던 도정 이하전마저도 역모 누명을 쓰고야 말았던 것이다.
순조, 헌종, 철종에 이르는 60년 동안 정권을 잡고 세상을 쥐락펴락했던 안동 김씨 세도 정권은 ‘순조를 잘 보살펴 달라’는 정조의 유언을 받은 ‘김조순’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순조의 왕비, 즉 순원 왕후는 바로 김조순의 딸이었다.
“아닐세, 다시 생각해 보니 주모에게 큰절이라도 올려야 쓰겠노라. 날씨도 제법 선선한데 무전취식하다가 매까지 맞으면 골병들지, 아무렴. 그러니 주모는 냉큼 이리 와 앉아서 내 큰절을 받으라.”
흥선은 주모에게 절을 하기 위해 일단 자리에서 일어서야 했다. 그가 일어서니 듣던 대로 키가 짜리몽땅했다. 어쩌느라 아직까지 도포도 벗어 걸지 않았는데 웬걸, 걸레처럼 낡은 도포 자락은 길이가 겨우 무릎에 닿을 정도로 짧았으니 누구라도 그 모습을 보고 웃음을 참기 어려웠다.
이를테면 걸레짝을 걸친 한 나라의 왕족이 서민들이나 들락거리는 술집에서 공짜로 술 몇 잔 얻어 마시려고 술집 아녀자에게 큰절을 올리겠다는 거였다. 누가 보더라도 기가 막힐 노릇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