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91189174194
· 쪽수 : 495쪽
· 출판일 : 2020-01-01
책 소개
목차
화이부동 • 7
제1편 학이(學而) • 15
제2편 위정(爲政)) • 29
제3편 팔일(八佾)) • 49
제4편 이인(里仁) • 69
제5편 공야장(公冶長) • 87
제6편 옹야(雍也) •113
제7편 술이(述而)) •135
제8편 태백(泰伯) •159
제9편 자한(子罕)) •175
제10편 향당(鄕黨) •203
제11편 선진(先進) •225
제12편 안연(顔淵)) •251
제13편 자로(子路)) •277
제14편 헌문(憲問)) •303
제15편 위령공(衛靈公) •337
제16편 계씨(季氏) •361
제17편 양화(陽貨) •383
제18편 미자(微子)) •409
제19편 자장(子張) •425
제20편 요왈(堯曰) •449
[부록] •461
Ⅰ. 공자의 일생 •463
Ⅱ. 《논어》라는 책 •470
Ⅲ. 《논어》의 시대배경 •472
Ⅳ. 주요 용어•구절 •481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1편 학이(學而)
《논어》 첫 편은 《대학》에서 말하는 <격물치지(格物致知)와 수신(修身)>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다. 사람노릇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배워서 지식을 얻어야 하고, 얻은 지식은 몸에 익혀야 하고, 익힌 지식으로부터 지혜를 얻는 학습(學習) 과정이다.
제2편 위정(爲政))
제2편은 치국(治國)의 방법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공자의 정치사상은 무위(无爲)로써의 치국을 주장하는 도가의 자연주의 사상과 법령으로써 치국을 주장하는 법가(法家)의 법치주의와도 다르다. 공자는 덕치(德治), 즉 이덕치국(以德治國)을 주장한다. 그리고 德의 핵심덕목으로 인의(仁義)와 예(禮)를 강조하고 있다.
제3편 팔일(八佾))
제3편은 예(禮)의 형식과 내용에 관해서 논한다.
무녀(舞女) 8명을 1행으로 하여 추는 춤을 일일(一佾)이라 한다. 팔일(八佾)은 천자가 거행하는큰 행사 때, 8행으로 춤을 추는 것이니, 무녀가 무려 64명이 나온다. 제후는 육일(六佾)이고, 대부는 사일(四佾)이다. 공자께서 계평자가 팔일무(八佾舞)를 추게 하였다고 꾸짖은 것이다(1장). 대부에 불과한데도 무례하게도 천자가 거행하는 행사를 치렀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