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89199357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18-09-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제1장 보다 나은 삶을 위한 심리학
아들러와 프로이트
삶이란 무엇인가?
원인론과 목적론
인본주의심리학의 원류
아들러가 뿌린 씨앗
뒤집힌 장난감 상자
일상생활 속 심리학
제2장 과학적인 삶
아들러 심리학에 끌리는 이유
삶의 의미를 설명해주는 이론
고난을 이겨내는 원동력
아들러가 이루고 싶었던 것
삶의 과학
Q&A 일문일답! 아들러 심리학: 개인심리학
제3장 자신을 받아들이는 모험: 자기수용
열등감은 나쁘지 않다
열등 콤플렉스와 우월 콤플렉스
자존감은 어떻게 생기나?
자기다움의 측정
자존감과 자기방어
불완전한 자신을 받아들이는 방법
Q&A 일문일답! 아들러 심리학: 열등감
제4장 살아온 길을 되돌아보는 모험: 라이프스타일
삶의 방식은 각자 다르다
아들러가 말하는 라이프스타일이란?
최우선 목표에 따른 네 가지 분류
당신의 라이프스타일은?
유소년기의 기억이 중요한 이유
라이프스타일의 효용
Q&A 일문일답! 아들러 심리학: 라이프스타일
제5장 자기 자리를 찾는 모험: 소속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
소속감이 주는 안심
칭찬받고 싶은 욕구와 거부당하고 싶지 않은 욕구
잘못된 목표
자신의 장점을 살려 공동체에서 자리 잡기
‘종적 움직임’에서 ‘횡적 움직임’으로
Q&A 일문일답! 아들러 심리학: 소속과 승인
제6장 주변에 맡기는 모험: 신뢰
감정은 대인관계의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척도
픽션의 효용
당신은 주위 사람을 어떻게 보는가?
마이너스 감정의 의미
사적 감정에서 비롯된 가상 목표
상대와의 공통 감각을 찾자
Q&A 일문일답! 아들러 심리학: 감정
제7장 남에게 도움을 주는 모험: 공헌
인생에 유익한 면과 무익한 면
사회라는 문맥
상대에게 협력하는 연습
‘용기 북돋우기’의 의미
자신을 위한 용기 북돋우기 연습
공헌, 협력과 공동체 감각
Q&A 일문일답! 아들러 심리학: 용기 북돋우기
제8장 아들러 심리학 실천하기
일상생활 속 실천
아들러 미팅의 진행 방법
아들러 미팅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열 가지 규칙
인격과 규칙은 구분하자
아들러 미팅의 효과
Q&A 일문일답! 아들러 심리학: 아들러 미팅
제9장 삶의 과학
아들러 심리학의 전체상
당신이 변하면 사회가 변한다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실패하거나 경쟁에서 뒤처졌을 때 왜 그랬는지 다양한 이유를 떠올리고는 ‘이것만 없었다면 성공했을 텐데’ 혹은 ‘이것만 있었다면 이겼을 텐데’라는 생각에 이른다. 하지만 ‘신 포도’ 논리와 마찬가지로 자존감을 지키기 위한 자기방어일 뿐이다.
그럼 자기방어 대신에 자신에게 ‘나는 잘하고 있어’, ‘나는 괜찮아’라고 계속 말해주는 방법은 어떨까? 이를 ‘자기암시’라고 한다. 자기암시요법은 프랑스 심리학자 에밀 쿠에(1857~1926)가 창시했다. ‘나는 날마다 모든 면에서 조금씩 좋아지고 있어’라고 마음속으로 말하며 실제로 좋아지기를 바라는 방법이다.
하지만 아무리 자기암시를 걸어도 자존감이 높아지지는 않는다. 반대로 자기암시 때문에 행동이나 도전을 피하기라도 하면 자존감을 지키기 위한 또 다른 자기방어가 될 뿐이다. 그래서 자존감을 키우기 위해서는 건전한 자기개념을 가지는 것이 최우선이다.
-<제3장 자신을 받아들이는 모험: 자기수용> 중에서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알면 무슨 도움이 될까? 첫째, 인생의 목표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는지 명확히 알 수 있다. 우리는 자신의 생각과 행동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불분명할 때가 많다. 그래서 “지금 내가 무슨 생각으로 이런 행동을 했는지 모르겠어”라며 하소연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생각과 행동은 라이프스타일을 참고해서 스스로 결정한다. 라이프스타일이 이른바 ‘자기 규칙서’인 셈이다. 하지만 이 규칙서는 자신에게는 너무나도 당연하기 때문에 대다수가 그 존재를 인지하지 못한다. 자기 라이프스타일을 아는 사람은 자신의 목표가 무엇이고 또 그 목표를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안다. 그래서 자신을 속이지 않고 ‘내 목표는 이거였구나’라고 깨우칠 수 있다. 무엇보다 자기 인생이 어디로 흘러가는지 안다는 것은 큰 안심이다.
-<제4장 살아온 길을 되돌아보는 모험: 라이프스타일> 중에서
자신의 소속이나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주위 사람의 승낙을 구하는 일은 종적 움직임을 촉진하고 개인적인 우월을 추구하게 만든다. 결국 남들과의 경쟁을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소속에 실패한다.
이런 방식이 아니라 공동체에서 자신의 강점을 살려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생각하면 횡적 움직임이 촉진되어 공동체에서 우월을 추구할 수 있다. 자신의 강점을 갈고 닦아 타인과의 협력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소속감’이 강해진다.
아들러 심리학에서 각 개인은 개성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삶을 영위함에 있어 ‘대등’하다고 전제했다. 이는 지위나 역할이 대등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지위나 역할이 다른 개개인이 대등한 인간으로서 일을 수행할 때 공동체가 발전한다는 입장이다.
-<제5장 자기 자리를 찾는 모험: 소속>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