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91189199418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8-10-10
책 소개
목차
제1장. 혼돈의 전국시대와 천하를 통일한 진나라의 경제
제2장. 한나라의 화폐 전쟁
제3장. 한나라를 재정위기에서 구한 금융상품
제4장. 한무제의 국영기업과 시장독점
제5장. 공신의 운명과 게임 이론
제6장. 황금과 백옥으로 장식된 칼
제7장. 광무제의 등장과 동한의 운명
제8장. 동탁이 초래한 악성 인플레이션
제9장. 제갈량의 경제외교
제10장. 위진시대의 토지 개혁과 인재 경영
제11장. 망국 황제의 마지막 선택
제12장. 천하를 손에 넣은 북방 민족의 한화 개혁
제13장. 제어가 불가능한 총체적 난국
제14장. 수문제의 제도 개혁과 철권 통치
경제학 용어 해설
리뷰
책속에서
분봉제를 폐지하고 얼마 되지 않아 진시황은 심각한 경제적 난관을 만나게 된다. 서로 통용되지 못한 채 뒤죽박죽으로 되어 있는 통화 제도 때문이었다. 전국시대 각 나라들은 모두 자신들의 화폐를 사용했다. 진나라, 조나라, 초나라를 예로 들자면 진나라는 전, 조나라는 포, 초나라는 패를 사용했다. 산서에 위치해 있는 조나라는 지세가 뛰어나 교통이 편리했으며, 더욱이 가죽과 견직물 제조업이 발달해 품질 좋은 모피제품을 진나라와 초나라에 수출했다. 하지만 이후 어찌된 일인지 진나라와 초나라가 더 이상 조나라의 제품을 수입하지 않았고, 조나라의 피혁 장인들은 불만의 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게다가 국왕이 전쟁을 일으키면서 세수도 제대로 걷히지 않았다.
이러한 모습은 역사에서 거듭해서 발생해 왔으며, 심지어 국내 경제문제를 전환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다. 일단 경제 불황이 발생하면 즉시 자국의 통화가치를 하락시켜 수출을 늘리고 다른 나라에 투자되고 있는 자본이 국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이러한 통화가치 하락은 분명한 전염성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어느 나라도 자국의 자금이 다른 나라로 흘러나가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주변 나라들도 함께 자국의 통화가치를 하락시키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까? 언뜻 보기에는 화폐를 통일하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책 같아 보이지만, 정말 그럴까? 이에 대한 답은 최근 사례인 유로존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제1장. 혼돈의 전국시대와 천하를 통일한 진나라의 경제 중에서
한나라 정부의 통화 부족 현상은 2013년 중국의 통화 부족 사태와 비슷한 면이 있다. 중국의 통화 부족 사태는 주로 산업수익률의 구조적 불균형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금융업 수익률은 기타 산업보다 훨씬 높았고, 이에 대량의 자금이 금융 산업에만 집중되었다. 그러자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낮고 위험이 큰 다른 산업들은 적법한 방법으로 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졌다. 이에 중국에서는 금융업에는 대량의 자금이 순환되는 반면 중소기업은 대부분 자금난에 시달리는 기이한 현상이 펼쳐졌다. 반면 한나라 문제 때에는 다행히 아직 금융 산업이 제대로 모양을 갖추기 전이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한나라에는 심각한 구조적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었다. 바로 중앙정부와 제후국이었다.
- 제2장. 한나라의 화폐 전쟁 중에서
곡식으로 작위를 살 수 있다는 것은 곡식의 용도가 더 다양해지고 유동성이 높아지고, 또 곡식을 생산함으로써 더 많은 이득을 취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로써 농업과 상업 사이에서 고민하던 사람들이 ‘농업에 더 전념’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불러왔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은 제한적이고 부차적인 것이었다. 왜냐하면 곡식은 돈으로 살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정책은 대다수의 상인들에게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다. 게다가 계절에 따라 수확하는 곡물은 수확기에는 가격이 낮아지는 반면 춘궁기에는 가격이 올라갔다. 그래서 영리한 상인들은 가격이 낮을 때 많은 곡물을 구입해 작위를 사는 데 사용했다.
경제학자의 시선에서 보면 조착이 제안한 방안은 영구적 국채와 토지 옵션, 개간 허가증을 하나로 묶은 혼합금융상품이라 할 수 있다. 금융은 원래 경기변동을 확대시키는 게 아니라 안정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동차나 집을 구입하는 등 큰돈을 지출했을 때 ‘요즘 주머니 사정이 빠듯하다’고 말하곤 한다. 실질적인 재산이 줄어든 것은 아니고 단지 가지고 있던 현금이 부동산과 같은 고정자산으로 바뀐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이 경우 실제로 부족한 것은 재산이 아니라 ‘유동성’이다. 유동성이 매우 높은 자산인 ‘현금’이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부동산’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주머니 사정이 빠듯해졌을 뿐 실제 재산에는 변화가 없다. 만약 금융이 없다면 이러한 유동성 문제는 해결되기 어렵다. 왜냐하면 사람들의 수입은 항상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보이는 반면 지출은 불규칙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천재지변이 일어날 경우 갑작스럽게 대량의 유동성이 필요해진다.
- 제3장. 한나라를 재정위기에서 구한 금융상품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