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89292607
· 쪽수 : 364쪽
· 출판일 : 2020-05-11
책 소개
목차
<제1장> 마이너리티가 다문화 공생 사회를 열어갈 때
-재일코리안의 민족교육과 아이덴티티의 발달-
1. 시작에 앞서
2. 이 글의 의도
3. 민족교육을 중심으로 보는 재일코리안의 선택제한정황
4. 재일코리안의 조국에 대한 「귀속-이탈 증후군」
5. 재일코리안의 민족교육과 아이덴티티의 발달
6. 재일코리안의 다문화공생의 모색
7. 확인된 사실과 새로운 가능성
<제2장> 단절된 역사의 표상 「재일동포」와 한국학교・조선학교 교과서 및 교재 고찰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에 대해서
3. 글로벌 사회 속의 [재외동포]의 변화
4. 「민족」과 「조국」과 「고향」에 예속된 삶에서 분열, 그리고 「지역 주민」으로의 선택
5. 일본의 한국학교 교육
6. 한국학교 교재에서 보는 재일동포 기술 내용
7. 조련 이후 조선학교의 교육 개편과 교과서 내용 변화
8. 한국학교 및 조선학교 졸업생들 감상
9. 나가며 - 민족교육의 변화와 다문화공생사회로의 접근
<제3장> 일본 공립학교 민족학급 운동의 성과와 여건 변화에 대한 새로운 대응
1. 민족학급을 논하는 의미
2. 민족학급이 걸어온 길
3. 민족학급의 현재적 과제
4. 한국사회는 민족학급을 어떻게 인식해야 하는가?
<제4장> 이희건・서갑호를 통해 본 재일동포 모국공헌의 실례와 좌절
1. 재일동포 모국공헌에 무지한 한국인들 「왜 아무것도 모르고 있는 걸까?」
2. 재일동포 모국공헌의 실제 사례
-1948년 건국 이래 對한국공헌 주요 실적을 중심으로
3. 서갑호와 이희건의 모국공헌과 좌절
4. 대한민국은 「재일동포 모국공헌」을 교과서에 실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