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89652951
· 쪽수 : 80쪽
· 출판일 : 2021-11-30
책 소개
목차
1 머리말
2 아동병사: 개념화와 묘사
'아동'과 '아동병사'의 정의
아동병사의 이미지
대비되는 관점들
맥락특정적 이론틀
3 마오쩌뚱주의 아동병사: 사회경제적 맥락
마오쩌뚱주의 운동의 등장과 확장
달리트와 아디바시: 저개발의 폭력과 개발의 폭력
4 어린이 동지들: 목소리 되살리기
모집 방식
떠나는 것도 머무르는 것도 자유 가난과 학대로부터 탈출 운동안의출생
폭넓은 활동에 참여
위험 노출
아동병사에 대한 지도부의 태도
5 맺음말
참고문헌
책속에서
비판적 관점에서 보면 이런 여러 가지 묘사는 아동병사는 희생자나 악당 또는 영웅이라는 틀에 박힌 아동병사의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원인이 됐다. 이런 담론에서 아동병사는 "이국적인 것이 되고 맥락 밖으로 밀려나며 본질화되고", 이로써 그들의삶을 특징짓는 복잡한 면모를 잃어버린다(Denov 2010: 13). 이런 표현들은 지금 아동병사에 대한 대중의 이미지를 이루고 있다. 디노브는 이런 묘사 때문에 세계의 남과북 사이에 존재하는 계급이 재생산되어, 인종과 미개 관념이 더욱 강화되고 아동병사와 그들이 속한 사회가 비인간화 된다고 지적한다(같은 출처). 나아가 이런 표현들, 특히 악당이나 영웅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학문적 분석이나 언론 보도에서 소녀아동병사가 눈에 보이지 않게 되는 현상이 되풀이되는 것으로 보인다. 눈에 보일 때는 언제나 희생자로 또 성노예 쪽으로 그려진다.
이런 저개발 상황은 개발 때문에 더욱 악화됐다. 공장, 수력 발전소, 경제특구, 광산사업 등을 비롯하여 정부와 민간이 시 행하는 다양한 개발사업이 아디바시가 살고 있는 삼림지대에 서 진행되고 있다. 이들은 이런 개발사업을 위해 살던 곳으로 부터 쫓겨났다. 나아가 정부에서 삼림지역에 국립공원과 동물보호구역을 설정하고 삼림보존 정책을 시행했기 때문에 생계와 이동에 극심한 제약을 받고 있다. 인도가 독립한 이후로 살고 있던 땅으로부터 내몰린 사람은 3800만 명이 넘고 그중 토착민 공동체에 속한 사람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카스투리의 이야기로 돌아가보자. 그녀는 자신의 결혼을 위한 아버지의 계획에 반기를 들고 가출했다. 어떤 이웃들은 카스투리가 마오쩌뚱주의 운동에 가담한 남자아이를 사랑하기 때문에 운동에 가담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나와 직접 대화했을 때 그녀는 연애 이야기는 조금도 꺼내지 않았다. 그녀는 결혼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15세 때 아버지가 자기에게 물어보지도 않고 결혼을 주선했고, 자신은 그 압력에 고분고분 복종하기를 거부했다고 말했다. 항의를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마오쩌뚱주의 운동에 가담하는 것이었다. 그곳에서 그녀는 자유와 배움의 기회를 얻었고, 배경이 다른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었으며, 공동체의 일에 관여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 안전하다고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