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중국공산당역사 제1권 - 상

[큰글씨책] 중국공산당역사 제1권 - 상

중국공산당중앙당사연구실 (지은이), 홍순도, 홍광훈 (옮긴이)
서교출판사
6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5,000원 -0% 0원
1,950원
63,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중국공산당역사 제1권 -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중국공산당역사 제1권 - 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91189729486
· 쪽수 : 8520쪽
· 출판일 : 2021-06-24

목차

[상권ㆍ1921년 7월~1923년 6월]

제1장 아편전쟁 이후의 중국 사회와 국제 환경
제2장 5·4운동과 중국공산당의 탄생
제3장 중국공산당 창건 초기의 활동
제4장 제1차 국공합작의 건립과 혁명의 새로운 국면의 형성
제5장 5·30운동과 대혁명 고조의 발흥
제6장 북벌전쟁과 혁명세력의 발전
제7장 제1차 국공합작의 파열과 대혁명의 실패
제8장 국민당 반동통치에 대한 무장저항 투쟁
제9장 혁명운동을 부흥시키기 위한 당의 험난한 투쟁
제10장 혁명운동의 굴곡적인 발전과홍군의 세 차례 반 ‘포위토벌’ 투쟁의 승리
제11장 ‘9·18’사변 후의 국내 정세와 혁명운동의 좌절
제12장 준이(遵義)회의와 홍군 장정의 승리
제13장 항일민족통일전선을 결성하기 위한 당의 투쟁

■ 후기
■ 찾아보기
■ 부록

저자소개

중국공산당중앙당사연구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공중앙의 직속 당 역사 전문 연구기구로서 1980년 1월에 설립되었다. 부급 기구로서 당의 역사를 적확하게 기술하고 당사 인물과 사건들을 깊이 연구하며 국내외 중요한 중국공산당사 자료들을 완전하게 수집, 정리, 편찬, 보관하고 중공중앙에 당사 문제 관련 자료에 관한 의견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직무로 삼고 있다. 설립된 지 30여 년 동안 『중국공산당 역사』(1919~1949) 『중국공산당 역사』(1949~1978) 『중국공산당의 70년』 『중국공산당간사』 『중국공산당사대사기』등 학술성이 높은 대표적인 당사 저작물을 연구, 출판하였다. 당사 연구 기구는 현재 중앙과 성(省), 시(市)부터 현(?)까지 총 2,836개 설치되어 있고 소속원은 1만 7000명에 달한다. 중앙당사연구실의 제1임 부장은 후초우무(胡?木)이다. 1930년대 초 칭화대학(淸華大學) 물리학부와 역사학부 출신인 그는 1941년 2월부터 1969년까지 마오쩌둥(毛澤東)의 비서를 역할을 한 것 외에 중국사회과학원 원장, 신화사 사장, 중공중앙서기처 후보서기, 중공중앙 정치국 위원, 중공중앙 고문위원회 상무위원 등 요직을 거쳤다. 현 주임(장관급)은 오양쑹(??淞)으로 중앙조직부 부부장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현재 중국중공당사학회 회장, 중국중공당사 인물연구회 대표 등 사회학술단체 대표도 맡고 있다.
펼치기
홍순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8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고, 독일 보쿰대학교 중국정치경제학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매일경제신문 기자를 거쳐 문화일보 기자와 베이징 특파원으로 활동했다. 중국 인민일보 한국대표처 대표를 역임했으며, 아시아투데이 편집국장을 지내고 현재는 베이징 지국장인 국내 최고의 중국 전문가이자 번역가이다. 한국기자협회 ‘올해의 기자상’과 ‘한국언론대상’을 받았으며, 관훈클럽 선정 ‘국제보도 부문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시진핑』, 『베이징 특파원 중국 경제를 말하다』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얼웨허(二月河)의 ‘제왕삼부곡’ 시리즈인 『강희대제』(전12권), 『옹정황제』(전12권), 『건륭황제』(전18권)가 있다. 그 외에 『화폐전쟁』 시리즈와 『삼국지 강의』, 『진시황 강의』 등도 옮겼다.
펼치기
홍광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국립 대만대학교 중문연구소에서 중국 송나라 때의 연구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신문사에서 국제부, 문화부 기자로 일하던 중 학계로 자리를 옮긴 중국 전문가이다.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임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중국공산당 역사』(전3권) 『항우강의』 『한무제 강의』 『국부책』 등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드라마틱한 중국 현대사(옮긴이 말 중 일부)
- 홍광훈ㆍ서울여자대학교 중문학과 교수
《성경》에는 ‘시작은 미약했으나 그 끝은 창대하리라’는 말이 있다.《장자》에도 비슷한 문장이 존재한다. 그러나 말이 쉽지, 현실에서는 이런 사례를 잘 볼 수 없다. 물론 역사적으로 살펴봤을 때, 그러한 경우가 간혹 존재하기는 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중국사에서는 청나라의 건국이다. 개국 군주 누르하치가 조상이 남겨놓은 갑옷 13벌을 토대로 세력을 키워 명나라를 멸망시킨 뒤, 인류 역사상 최대 제국을 건설하는 기적을 이룩하는 이야기다. 청나라는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래 지속된 왕조 중 하나인 만큼 창대한 정도에 그치지 않는, 실로 엄청난 족적이다.
이에 필적하는 ‘창대한 사건’이 중국 현대사에도 있었으니, 바로 중국 집권당인 공산당의 창당이다. 아직 끝나지 않은 이 기적은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다.
공산당이 정식 창당된 1921년 전후는, 청나라가 멸망하고 각 지역의 군벌들이 날뛰던 시절이었다. 공산당은 그 이름조차 존재하지 않았다. 베이징대학 교수 리다자오(李大釗)와 천두슈(陳獨秀) 등의 진보적 지식인들이 카를 마르크스의 사상을 연구하는 비밀 모임만 존재할 뿐이었다. 정치적 세력은커녕 작은 학회 정도에 불과한 모임이었다.
일부 지식인들은 그 단체를 맬더스의 인구론을 연구하는 학회로 알고 있었다니, 설명할 필요도 없는 수준이었다. 그마저도 전국을 통틀어 고작 50명 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그 수가 적었다. 당시 중국 인구가 3억 명 정도였으니 미미하다는 표현조차 과한 숫자다.
그러나 새로운 이념에 대한 이들의 열정만큼은 대륙을 능가할 정도였다. 그리하여 전국의 대표 13명을 모아 1921년 7월 상하이(上海)에서 정식으로 중국공산당을 결성했다. 베이징 대표 류런징(劉仁靜), 장궈타오(張國燾), 상하이 대표 리한쥔(李漢俊), 리다(李達), 산둥(山東)성 대표 왕진메이(王盡美), 덩언밍(鄧恩銘), 후베이(湖北)성 대표 둥비우(董必武), 천탄추(陳潭후난(湖南)성 대표 마오쩌둥(毛澤東), 리수헝(李淑衡), 광둥(廣東)성 대표 천궁보(陳公博), 바오후이썽(包惠僧), 재일본 대표 저우포하이(周佛海) 등이었다. 중국 공산당을 대표하는 거물이 된 저우언라이(周恩來)와 류사오치(劉少奇) 등이 이들과 합류한 것은 한참 후의 일이다.
이들은 대부분 혈기왕성한 20, 30대의 학생들과 청년들이었다. 지금으로 치자면 소수의 학생 운동권 대표자들이 모인 셈이었다. 당연히 별로 주목하는 이들도 없었다. 당시 공산당을 최대의 적으로 삼았던 상하이 조계 경찰조차 이들의 행동을 간과했을 정도였다. 그러나 이들이 훗날 중국 공산당의 기초를 다진 역사적인 인물로 기록되는데, 특히 마오쩌둥과 그의 동료들이 그 주인공이다.(반면 천궁보, 장궈타오,저우포하이 같은 인물들은 일본에 협력한 민족반역자가 되거나 국민당으로 전향하는 등 변절을 거듭했다.)
중국 공산당은 이후에도 큰 발전을 이룩하지는 못했다. 세력 면에서 압도적이었던 장제스의 국민당에 늘 눌려 지내야 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2만5000리 대장정에 나섰던 1934년 이전에는 국민당의 토벌 작전으로 궤멸 직전의 위기에 몰린 적도 있었다. 1차 국공합작이 붕괴되는 계기가 된 1927년의 4.12 백색 테러 당시, 수많은 공산당의 맹장들이 목숨을 잃게 된 것이다.
전화위복이라 했던가. 공산당은 대장정을 통해 위기에서 벗어난 뒤, 1936년 제2차 국공합작을 통해 부활의 전기를 맞이하기에 이르렀다. 이어 1945년까지는 국민당과 합작하여 항일 전쟁을 수행하기도 했다. 그리고 항일 전쟁 승리 후, 다시 국민당과 국공내전을 시작했는데, 이때 세력 면에서 압도적이었던 국민당을 외딴 섬 대만으로 패퇴시키는 데 성공했다. 누르하치가 13벌의 갑옷으로 청나라를 세웠듯, 누구도 주목하지 않았던 13명의 공산당 대표들이 새로운 중국을 건국한 것이다.
중국 공산당은 오는 2021년이면 창당 100주년을 맞이한다. 13명으로 시작한 단체의 당원 수는 현재 1억 명에 달한다. 공산당의 이러한 번영과 오랜 집권의 역사는 인류사에 길이 남을 업적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