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89736606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4-06-28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소개
서론
1부. 수퍼비전 여정을 시작하며
1장. 왜 수퍼비전인가?
1.1 훈련
1.2 실습
1.3 수퍼비전
[사례]
2장. 계약: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2.1 조직 후원자와의 계약
2.2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계약
2.3 실망을 다루고 용기를 불러일으키기
[사례]
3장. 수퍼비전에서의 학습
3.1 사람들은 수퍼비전에서 어떻게 학습하는가?
3.2 수퍼비전에서 무엇을 학습해야 하는가?
3.3 수퍼비전에서의 학습 자료
[사례]
4장. 성찰적 과제
[사례]
2부. 수퍼비전 여정에 참여하기
5장. 초기 단계
5.1 당신들은 누구이며, 어떻게 서로 관계하나?
5.2 당신들은 누구이고, 또 무엇을 함께할 수 있는가?
5.3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성취할 수 있는가?
[사례]
6장. 중간 단계
6.1 진행 중인 작업
6.2 중간 검토
6.3 종결을 향해
[사례]
7장. 마지막 단계
7.1 거의 다 왔다
7.2 최종 평가 및 선택적 평가
7.3 어떻게 각자의 길을 가야 할까?
[사례]
8장. 수퍼비전에서 글쓰기의 중요성
8.1 작업 보고는 개별적으로 결정한다.
8.2 성찰 과제
8.3 쓰기 문제의 예
[사례] 글쓰기를 할 수 없는 수퍼바이지
3부. 수퍼비전 여정 이해하기
9장. 사람
9.1 생각과 앎
9.2 느낌, 갈망, 관계
9.3 행위와 기술
[사례] 사람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관점이 어떻게 차이를 만들어 내는가
10장. 전문직
10.1 전문직에 대한 이론: 전문성에 대해 생각해 보기
10.2 전문적 프랙티스: 전문성을 갖고 일하기
10.3 ‘지금-여기’에서 전문직의 자세
[사례] 전문직의 생명줄인 수퍼비전
11장. 사람과 직업/전문성과의 연결
11.1 직업적 사회화
11.2 배움과 학습 촉진
11.3 작업 및 작업 지원
[사례] 전문적인 사회화
12장. 수퍼비전에서 이해의 중요성
12.1 자기 이해 - 성찰적 과제
12.2 프랙티스에서 나 자신 이해하기
[사례] 이해는 시간이 지나면서 번개처럼 떠오르기도 한다.
용어사전
참고 문헌
부록 A: 수퍼비전 계약 구조
부록 B: 애쉬리지 수퍼바이저 행동 강령
부록 C: 영국심리학회 코칭심리학 특별그룹의 코칭수퍼비전 가이드
부록 D: ICF 코칭수퍼비전 2012
부록 E: ICF 코칭수퍼비전 2014
권말 논문: 코칭수퍼비전 발전을 위한 실천적 과제
색인
역자 소개
발간사
책속에서
분명히 사람과 그의 직업은 밀접히 연관되어 있어 전문가로서의 당신은 역할 ‘수행’을 잘 ‘해야 하기에’ 긴장감이 있다. 수퍼비전은 스스로 경험하는 방식(당신의 개인적 정체성)과 고객과 함께 경험하는 방식(당신의 전문적 정체성), 이 두 극 사이의 긴장의 장field 안에서 이루어진다. 더욱이 이 두 극은 훈련과 발달과정에서 끊임없이 변화한다.
수퍼비전에서 관계 문제는 가장 흔하면서도 다루기 힘든 갈등일 것이다. 학습 상황과 사례별 딜레마들이 너무 민감하고, 대화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을 때, 당장 해결될 수 없기에 짜증 나기 쉽다. 이런 짜증은 불확실성이나 오해에서 자주 비롯된다.
수퍼비전은 특정 상황에서 이것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당신 자신의 계획과 개인화된 이데올로기뿐만 아니라 방법론을 찾거나 재발견하는 방법을 가르쳐줄 수 있다. 처음에 이것은 당신이 수퍼비전에 가져온, 당신의 프랙티스에서 얻은 경험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이 과정은 수퍼비전을 하는 동안 경험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두 번째 소스이자 기회로 당신의 행동을 끌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