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91189736613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24-08-17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편집자 소개
제1부. 코치의 윤리적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작업
1장. 코치 교육과 성장을 위한 윤리 사례 연구
2장. 사례 공식화: 코칭 사례연구를 위한 작업 도구
제2부. 사례 연구
3장. 일대일 코칭
사례 연구 1. ‘지옥에서 온 상사’ 코칭하기
사례 연구 2. 코치가 코칭할 수 있다고 해서 코칭을 해야 하는가?
사례 연구 3. 부모의 사망, 코칭이 필요한가? 치료가 필요한가?
사례 연구 4. 경계 지키기: 한 명의 코치, 두 명의 고객
사례 연구 5. 전인적 인간에 집중하기: 조직에서 성공적인 코칭 성과 창출하기
4장. 수퍼비전
사례 연구 6. 코칭수퍼비전으로 가져온 담합
사례 연구 7. 전문가들의 그룹 수퍼비전에서 정신 건강이 드러나는 경우: 다양한 관점에 귀 기울이기
사례 연구 8. 모자가 몇 개나 되나요?
사례 연구 9. 사별에 대한 상호교차성과 수퍼비전
사례 연구 10. 이중 역할: 수퍼바이저 역할을 하는 코치 교육자
5장. 팀 코칭
사례 연구 11. 윤리 또는 가치의 문제인가?
사례 연구 12. 팀 코칭 계약에서 주목할 점
사례 연구 13. 예측할 수 없는 팀 리더십 유산 탐색
사례 연구 14. 알지 못하는 영역에 대한 코치 역량
사례 연구 15. 팀 코칭 참여와 기밀 유지
6장. 외부 코칭
사례 연구 16. 코칭할 것인가, 하지 않을 것인가: 자원이 거의 없는 고객
사례 연구 17. 코칭 중에 이해관계자의 순위 다툼이 충돌할 때
사례 연구 18. 3자 계약: 법적, 윤리적 책임은 무엇인가?
사례 연구 19. 바위와 돌 사이: 같은 조직 내에서 고객 코칭하기
사례 연구 20. 다층 정렬
7장. 내부/사내 코칭
사례 연구 21. 내부/사내 코치 및 정신 건강
사례 연구 22. 끊임없이 움직이는 변화하는 조직의 조각 탐색하기
사례 연구 23. 내부/사내 코칭: 여성 리더에 대한 편견
사례 연구 24. 독재적 리더십의 권력 문제
사례 연구 25. 코칭 주제가 일상 업무와 겹치는 경우
8장. 디지털 및 인공지능(AI) 코칭
사례 연구 26. 예상치 못한 사망 시 디지털 기록 관리하기
사례 연구 27. 코치와 핀테크 디지털 전문가
사례 연구 28. 통제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 위반 처리
사례연구 29. AI 환경에서의 새로운 팀 리더
사례연구 30. AI: 코칭의 미래?
9장. 코칭에서의 권력
사례연구 31. 문화적 해석
사례연구 32. 여성 권력이 자신에게 불리하게 무기화될 때
사례연구 33. 한 가지 조건하에서: 정체성에 기반한 공격 사례
사례연구 34. 권력 게임: 기존 리더의 역할 전환과 파급 효과
사례연구 35. 신경다양성 장애 환경에서의 코칭
10장. 코칭에서의 홍보
사례연구 36. 코칭을 동료 코치에게 하청하는 경우 윤리적 도전 과제
사례연구 37. 비즈니스 코치의 모범
사례연구 38. 코칭은 당신의 꿈의 직업이다
사례연구 39. 조직 및 이해관계자 계약 시 윤리적 문제
사례연구 40. 학습 및 개발 책임자가 코칭 실무 명패를 걸고 있다
부록 A: Coaching and psychology bodies
부록 B: Associations and forums
부록 C: Coaching codes of ethics
자료: 글로벌 윤리강령 2021
색인
역자 소개
발간사
저자소개
책속에서
코칭과 마찬가지로 윤리는 복잡하고 관계적이며 맥락적이기에 윤리적 개발을 위한 교육이 어렵다. 역설적이지만 복잡성에 대한 이해 자체가 윤리적 알아차림의 전제 조건이며, 코칭에서 윤리적 알아차림은 복잡성의 범위와 역할을 인식하는 데 필요하다.
사례 공식화란 진술된 이야기의 의미(명사)와 이해(동사)를 공식화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새로운 과정이다.5) 이는 고객만 아니라 코치에게도 도움이 된다.
코칭을 위한 공동의 여정은 함께 할 작업의 목적을 정의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이 노력을 어떻게, 누구에 의해, 어떤 목적으로 시작하는지도 논의의 일부이다. 사람들은 이 목적에 각자 나름의 아이디어를 가져오지만, 함께 탐구해 볼 공통 관심사를 찾으려고 노력할 것이다. “문제problem를 일으킨 (같은) 수준의 생각하기thinking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라는 자주 인용되는 격언이 여기서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