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이슬람/중동/이스라엘 > 근현대사
· ISBN : 9791189895136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4-05-17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지도
1장 기본 정보
분쟁의 주체는 누구인가?
이스라엘인은 누구인가?
이스라엘인과 유대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팔레스타인인은 누구인가?
팔레스타인인과 아랍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싸우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분쟁에서 종교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영토의 크기는 얼마나 되는가?
누가 먼저 그 지역에 거주했는가?
2장 분쟁의 시작
분쟁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유럽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한 이유는 무엇인가?
시온주의란 무엇인가?
시온주의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테오도르 헤르츨은 누구인가?
시온주의는 식민주의의 한 형태였는가?
영국은 분쟁 초기에 어떤 역할을 했는가?
하지 아민 알 후세이니는 누구인가?
이스라엘이 탄생한 것은 홀로코스트 때문이었나?
팔레스타인에 대한 유엔 분할 계획은 무엇인가?
3장 아랍-이스라엘 전쟁
아랍과 이스라엘은 몇 차례나 전쟁을 벌였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사망했는가?
1948년 아랍 국가들이 이스라엘에 맞서 전쟁을 벌인 이유는 무엇인가?
1947~1949년 전쟁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초래한 결과는 무엇인가?
1948년 많은 팔레스타인인이 난민이 된 이유는 무엇이며,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1956년 시나이 전쟁이란?
1967년 전쟁은 왜 일어났는가?
1967년 전쟁은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1973년 전쟁의 의미는 무엇인가?
1982년 이스라엘이 레바논을 침공한 이유는 무엇인가?
1차 레바논 전쟁의 결과는 어떠했나?
4장 평화 프로세스
평화를 위한 첫 번째 시도는 언제였나?
캠프 데이비드 협정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만들어졌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 회담은 언제 시작되었나?
오슬로 협정이란 무엇인가?
이스라엘과 PLO는 왜 오슬로 협정에 서명했는가?
이츠하크 라빈의 암살은 오슬로 평화 프로세스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오슬로 평화 프로세스는 무너진 이유는 무엇인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협정에서 해결해야 할 주요 쟁점은 무엇인가?
미국은 평화 프로세스에서 어떤 역할을 해왔는가?
5장 점령지
서안지구와 가자지구를 ‘점령지’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스라엘의 군사 통치는 서안지구 팔레스타인 주민들에게 어떤 제약을 가하고 있는가?
이스라엘이 서안지구에 긴 장벽을 건설한 이유는 무엇인가?
서안지구에 이스라엘 정착촌이 있는 이유는 무엇이며, 이스라엘인들은 왜 그곳에 살기로 선택했을까?
이스라엘 정착촌이 논란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철수한 이유는 무엇인가?
하마스는 어떻게 가자지구에서 정권을 잡았나?
하마스의 통치와 이스라엘의 봉쇄는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나?
지난 10년 동안 가자지구가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전쟁터가 된 이유는 무엇인가?
결론: 평화를 향한 긴 여정
두 국가 해법, 가능할까?
한 국가 해법은 가능한가?
두 가지 해결책이 모두 불가능하다면, 어떻게 해야 갈등을 해결하거나 줄일 수 있을까?
색인
리뷰
책속에서
이러한 시위, 그리고 국제 언론과 각국 정부가 보이는 관심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이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시 한번 여실히 보여준다. 전 세계 어디에서나 사람들은 이 분쟁에 대해 나름의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러한 의견은 분쟁과 그 역사, 다양한 쟁점에 대한 폭넓은 지식보다는 현재 언론 보도나 소셜 미디어에 의해 형성된, 잘못된 정보에 기반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지난 40년 동안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와의 관계가 점진적으로 개선된 것과는 달리(물론 후퇴한 때도 있었지만), 이스라엘과 이란의 관계는 극도로 악화되었다. 두 나라는 한때 동맹국이었지만,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새롭게 등장한 이란 정부는 이스라엘에 대한 적대감과 팔레스타인 지원을 급진적 이념의 핵심 신조이자 외교 정책의 중심축으로 삼았다(이란 정권이 국내 지지 기반을 다지고 이슬람 세계에서 호감도를 높이며, 지역적 야망을 강화하려는 방법이었다). 이란 정권은 공식 담화에서 이스라엘을 악마화하고(이스라엘을 ‘작은 사탄’이라고 지칭했다), 이스라엘의 생존권을 거부하고, 이스라엘 파괴를 반복적으로 주장해 왔다. 이스라엘에 대한 이란의 반대는 단순한 수사적 표현을 넘어선다. 이란은 이스라엘에 맞서 싸우는 무장 이슬람 단체(특히 레바논의 헤즈볼라와 팔레스타인의 하마스) 및 이스라엘의 적대국인 시리아에 막대한 자금과 무기를 지원해 왔다. 이란이 시리아, 헤즈볼라, 하마스와 함께 구축한 이른바 ‘저항의 축’은 이스라엘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실제로 이스라엘 정부와 대부분의 이스라엘인은 현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에서 일어나는 분쟁보다 이란의 위협에 더 신경을 쓴다. 오늘날 이스라엘의 최대 관심사는 팔레스타인이나 아랍 국가가 아닌 이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