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89898830
· 쪽수 : 287쪽
· 출판일 : 2022-10-31
책 소개
목차
ㅣ프롤로그ㅣ 백 년 후의 상상 9
제1부 진화론과 상호부조론의 공존
제1장 어린 혁명가들을 위한 과학
1. 아동출판의 모더니티와 정치성 21
2. 객관성의 칼날, 근대 과학의 신화 창조와 프롤레타리아 아동의 탄생 28
3. 진화론을 넘어, 사랑의 과학으로: <신소년>의 진화론 37
4. 다른 세상을 꿈꾸는 변혁의 과학, 유토피아의 과학 43
5. 프롤레타리아의 밤, 불일치를 생산하는 문학과 과학 48
제2장 공감의 과학, 스펙터클한 마술의 정치, 1920~30년대 <어린이>
1. 조선 민족과 어린이의 탄생 53
2. ‘어린이 나라’, 민족주의와 계급주의 사이, 과학자 위인전기 58
3. 이과요술과 구경꾼, 세속화된 실험 주체 64
4. 곡마단과 소년 탐정소설의 의미 80
5. 인류애의 과학 : 만물은 서로 돕는다 90
제3장 근대 과학수사와 탐정소설의 정치학
1. ‘형사이화학실’의 등장 95
2. 지문: 개인의 감별과 사회적 범죄의 지도화 103
3. 인권과 프라이버시의 발명 111
4. 진실-기계로서의 과학적 장치, 그리고 탐정에 대한 식민지적 환상 118
제2부 전시체제기 동원과학
제1장 이상한 나라의 과학적 글쓰기, 불량소년·소녀 길들이기, 그리고 마법사의 책
1. 용은 있다: 괴물의 시대, 지질학과 상상력 127
2. 동화 같은 과학, 요술 조끼를 입은 용의 아이들과 시간 여행 134
3. 꾀동이의 변장술, ‘백가면 도상’과 ‘마술 코드’의 의미 143
4. 불량소년ㆍ소녀 담론과 모범생의 정치학,명랑한 ‘군국소년’의 나아갈 길 155
제2장 불온한 등록자들⎯근대 통계학, 사회위생학, 그리고 문학의 정치성
1. 수자화한 조선, 경복궁에서 통계전람회를 개최하다 163
2. 헤게모니 투쟁의 장, 국가 들여다보기 170
3. 수자조선연구, 조선 사정 바로 알기 176
4. 인구 관리 시스템, ‘유령인구’, 국민등록제 184
5. 정상성과 비정상성, 아편 중독자, 사회위생학 189
6. 양귀비의 문학, 통계의 일탈을 그리다 196
제3부 해방 이후 냉전체제기의 풍경
제1장 해방기 아동의 과학교양과 발명의 정치학
1. 자주독립국가의 아동상 205
2. 과학자 전기의 공적 이미지 창조와 발명의 의미 212
3. 민족 영웅·과학 영웅 이순신, 애국적 과학주의 신화 만들기 222
4. 해방기의 국부론 228
제2장 냉전의 과학과 아동의 미스터리 문화
1. 왜 근대인들은 이상한 것을 믿었는가 237
2. 공포와 초자연의 도상들 240
2.1. 괴사건, 불확정의 세계 241
2.2. 유령, 애도 그리고 심령과학 246
2.3. 괴수, 문명 속의 불만 252
2.4. UFO, 공산주의의 침공 256
3. 재난의 상상, 안보과학의 소국민 만들기 프로젝트 261
4. 명탐정이 될 수 있다 266
ㅣ에필로그ㅣ마법의 문턱 271
ㅣ발표지면ㅣ 287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글은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아동상像’이 어떤 역사적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과학적 교양’이 부여하는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으로 시작한다. 근· 현대의 과학적 지식을 수용하고 응용하는 행위는 개인의 교양을 가늠해주는 중요한 잣대가 되었다. 또한 과학적 교양의 표명은 개인을 넘어 민족, 국가, 계층 간의 공동체적 결속을 강화해주는 역할을 해왔다.
근대 아동문학과 아동잡지는 어린 세대를 통해 미래에 영향을 미치고 싶은 지식인들과 교육자의 열망이 반영되어 있다. 이때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지식인들의 유토피아적 비전은 ‘진보’ 이데올로기와 결합한다. 따라서 지식인들은 과학 서사를 통해 진보의 개념을 소생시키는 전략을 취할 수밖에 없다. 서구에서 이입된 과학은 근대 조선인들에게 있어서 결핍으로 작용했기 때문에, 과학에 대한 열망은 집단 무의식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한 차원에서 무산계급 어린이에게 결핍된 것은 ‘밥’뿐만 아니라 ‘지식’으로 표출된다.
식민지 조선의 탐정소설은 근대 개인의 창조와 감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근대 과학수사의 발전과 함께 형성된 식민지 조선의 탐정소설은 과학적 지식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 과정에서 과학은 범죄에 대한 합리적 응징의 수단이 되었던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