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미국
· ISBN : 9791189946555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20-04-29
책 소개
목차
서 문 미국 외교정책은 국내정치인가?
제1장 미국 국내정치와 외교정책 상관성—미․중 관계를 중심으로
I. 서론: 미국 정치가 국제 이슈를 만날 때
II. 미국 쇠퇴론: 현실과 반론
III. 미․중 관계와 미국 정치: 정치 제도, 정당 정치, 정치 과정
IV. 소결: 과연 ‘키신저 질서’는 무너졌는가?
제2장 트럼프에 대한 또 다른 평가—트럼프 3년 다시 보기
I. 들어가며
II. 트럼프는 탄핵되었다. 그럼에도 미국 사회는 놀라지 않는다
III. 트럼프에 대한 기존의 선입견 다시 살펴보기
IV. 결론을 대신하여
제3장 부시 행정부의 ‘테러와의 전쟁’ 외교정책 결정 연구—관료정치 모형의 적용
I. 서론
II. 선행연구
III. 이론적 고찰: 관료정치 모형의 효용성
IV. 쿠바 미사일 위기에 대한 관료정치 모형(발견, 이슈, 결정의 정치) 해석
V. 테러와의 전쟁: 관료정치 모형의 적용
VI. 결론 및 함의
제4장 미 의회의 양극화와 정당정치가 미국 군사․안보 정책에 미치는 영향—오바마 행정부의 신전략무기감축조약(New START) 비준을 중심으로
I. 서론
II. 의회와 외교정책
III. 양극화와 정당정치의 확대의 영향
IV. New START 조약 비준 과정과 정당정치
V. 결론
제5장 공화당 분파 간 세력 균형 변화가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에 미치는 영향
I. 들어가며
II. 트럼프 대통령 탄핵 심판과 공화당 정치적 분파
III. 제116대 의회가 대통령에게 반기를 들다
IV.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 분기점과 공화당
V. 결론
제6장 트럼프 시대 미국인들의 외교정책 인식
I. 여론과 미국 외교정책
II.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정책: 공약과 실행 과정
III. 자료
IV. 분석결과
V. 시사점
제7장 예외주의의 종언—트럼프 시대 미국패권의 영혼타락
I. 서론
II. “위험한 국가”의 대서사시: 예외주의와 미국의 대전략사
III. “언덕 위의 도시”의 붕괴 위기?
IV. 결론
자유주제
제8장 팔레스타인 영토 주권에 대한 이집트 외교정책의 변화—나세르 연설문의 단어 연결망 분석을 바탕으로
I. 서론
II. 나세르 연설문의 단어 연결망 분석
III. 대팔레스타인 외교정책의 변화(1958-1970)
IV.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