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초등 자녀
· ISBN : 9791190238892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3-02-0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_ 초등 아이들의 ‘읽기 뇌와 쓰기 뇌’를 위하여
1장 정보활용 능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정보활용 능력
두뇌발달의 기본은 언어다 / 정보활용 능력을 키우는 독서 / 정보를 창의적으로 활용하라 / 컴퓨팅 사고력으로 정보가 작동하게 하자 / 언어의 힘을 컴퓨팅 사고력으로 확장하려면
[TIP] 언어의 힘을 컴퓨팅 사고력으로 키우는 6가지 부모 길잡이
새로운 정보가 아이의 뇌를 탄력적으로 만든다
오스벨의 학습 이론 / 새로운 지식이 의미학습이 되려면
[TIP] 뇌를 탄력적으로 만드는 6가지 의미학습 독서법
흥미를 느끼게 하는 정보는 아이를 독서에 몰입하게 한다
독서와 호기심
[TIP] 호기심을 키우는 6가지 독서법
독서에 도전적인 과제를 주어라
자기결정성 / 유능감이 독서를 도전적인 과제로 이끈다
[TIP] 도전적 독서로 이끄는 6가지 양육 길잡이
독서를 통해 감동하게 하라
독서를 통한 감동
[TIP] 독서를 통한 감동 6가지 양육 길잡이
정보활용 능력에 미치는 스토리의 영향력
스토리의 힘
[TIP] 스토리의 힘으로 이끄는 6가지 부모 길잡이
2장 읽기 뇌와 쓰기 뇌
국어를 잘하는 뇌를 만들려면
국어 영역은 좌뇌에 특화된다 / 초등 국어의 뇌 발달
[TIP] 국어의 뇌 발달 6가지 부모 길잡이
읽기 뇌를 효율적으로 발달시키려면
읽기 뇌 / 읽기의 발달
[TIP] 읽기를 효율적으로 발달시키는 6가지 양육 길잡이
쓰기 뇌를 활용해 양뇌를 통합하라
글쓰기의 뇌 / 쓰기를 할 때 필요한 능력 / 학년별 글쓰기의 발달
[TIP] 글을 잘 쓰게 하는 6가지 부모 길잡이
배경지식으로 문해력을 높여라
배경지식이 작업기억력을 키운다 / 배경지식과 의미덩어리 만들기
[TIP] 배경지식을 높이는 6가지 부모 길잡이
독서를 통해 작업기억력을 높여라
학령기 작업기억력의 발달 / 작업기억의 뇌
[TIP] 작업기억을 키우는 6가지 부모 길잡이
창의력을 키우는 독서 방식
창의적 인재 / 창의력의 뇌
[TIP] 창의성을 키우는 6가지 독서 길잡이
3장 읽기와 쓰기를 습관화하라
읽기, 어휘력을 늘려라
초등 읽기의 발달 / 어휘력의 힘
[TIP] 어휘력을 키우기 위한 6가지 부모 길잡이
긍정적인 독서태도가 중요하다
제대로 읽으려면 필요한 기술 / 학습만화를 주로 읽으면
[TIP] 독서태도를 향상시키는 6가지 부모 길잡이
독서 추론력을 키워라
책 읽을 때 추론력을 해치는 5가지 적
[TIP] 추론력을 높이는 6가지 부모 길잡이
낭독의 힘
정확성과 유창성이 중요하다 / 낭독의 발달
[TIP] 낭독을 위한 6가지 부모 길잡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글쓰기
국어, 글쓰기로 사고력을 높이자
글쓰기 / 겪은 일 쓰기
[TIP] 겪은 일 쓰기 6가지 부모 길잡이
[TIP] 설명문 쓰기 6가지 부모 길잡이
4장 학년별 읽기와 쓰기 교육
취학 전 읽기와 쓰기 교육
취학 전 읽기의 발달 / 취학 전 쓰기의 발달
[TIP] 취학 전 아이의 읽기를 위한 6가지 부모 길잡이
[TIP] 취학 전 아이의 쓰기를 위한 6가지 부모 길잡이
초등 1학년 읽기와 쓰기 교육
초등 1학년 읽기의 발달 / 초등 1학년 쓰기의 발달
[TIP] 초등 1학년 6가지 읽기 길잡이
[TIP] 초등 1학년 6가지 쓰기 길잡이
초등 2학년 읽기와 쓰기 교육
초등 2학년 읽기의 발달 / 초등 2학년 쓰기의 발달
[TIP] 초등 2학년 6가지 읽기 길잡이
[TIP] 초등 2학년 6가지 쓰기 길잡이
초등 3학년 읽기와 쓰기 교육
초등 3학년 읽기의 발달 / 초등 3학년 쓰기의 발달
[TIP] 초등 3학년 6가지 읽기 길잡이
[TIP] 초등 3학년 6가지 쓰기 길잡이
초등 4학년 읽기와 쓰기 교육
초등 4학년 읽기의 발달 / 초등 4학년 쓰기의 발달
[TIP] 초등 4학년 6가지 읽기 길잡이
[TIP] 초등 4학년 6가지 쓰기 길잡이
초등 5학년 읽기와 쓰기 교육
초등 5학년 읽기의 발달 / 초등 5학년 쓰기의 발달
[TIP] 초등 5학년 6가지 읽기 길잡이
[TIP] 초등 5학년 6가지 쓰기 길잡이
초등 6학년 읽기와 쓰기 교육
초등 6학년 읽기의 발달 / 초등 6학년 쓰기의 발달
[TIP] 초등 6학년 6가지 읽기 길잡이
[TIP] 초등 6학년 6가지 쓰기 길잡이
5장 읽기와 쓰기의 부진
기억력으로 인한 읽기와 쓰기의 부진
생각하기와 기억력 / 작업기억의 뇌 / 작업기억의 발달 / 작업기억은 훈련으로 계발된다
[TIP] 작업기억력을 높이는 6가지 부모 길잡이
주의력으로 인한 읽기와 쓰기의 부진
산만한 아이들의 뇌과학적 의미
[TIP] 주의력을 높이기 위한 6가지 부모 길잡이
실행기능으로 인한 읽기와 쓰기의 부진
실행기능이란 무엇인가 / 실행기능의 발달
[TIP] 실행기능을 키우는 6가지 부모 길잡이
읽기의 부진
읽기 부진 아이의 뇌
[TIP] 읽기 부진 아이를 위한 6가지 부모 길잡이
철자 쓰기의 부진
철자 쓰기 오류 / 철자 쓰기 부진의 요인
[TIP] 철자 쓰기 부진 아이를 위한 6가지 부모 길잡이
작문의 부진
작문의 발달 / 작문 부진의 요인
[TIP] 작문 부진 아이를 위한 6가지 부모 길잡이
6장 난독증
독서 부진과 난독증은 다르다
난독증 아이는 다른 뇌를 가지고 있을까 / 난독증에 대한 오해 / 난독증 아이의 학습양식
[TIP] 난독증 아이를 위한 6가지 부모 길잡이
좌뇌와 우뇌의 분산이 난독증의 뇌를 만든다
난독증의 원인 / 난독증의 뇌
[TIP] 난독증 6가지 부모 길잡이
책을 읽자고 하면 기겁하는 아이를 어떻게 도울까
난독증의 치료
[TIP] 읽기가 두려운 아이를 위한 6가지 부모 길잡이
글씨도 엉망이고 글도 못 쓰는 아이는 어떻게 도울까
난독증과 소근육운동
[TIP] 쓰기가 어려운 아이를 위한 6가지 부모 길잡이
난독증 아이들이 학습이 안 되는 이유
감각통합의 문제 / 동기 결여의 문제
[TIP] 감각통합을 도와주는 6가지 부모 길잡이
[TIP] 학습동기를 높이는 6가지 부모 길잡이
읽기와 쓰기를 모두 향상시키려면
책을 읽어줄까, 글자를 가르칠까 / 왜 아이가 독서를 못하는가? / 음운론적 과정 / 유창성
[TIP] 독해력을 높이기 위한 6가지 부모 길잡이
에필로그_ 유대인의 집중교육이 알려주는 것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국어는 다른 과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국어는 수학, 과학, 사회 등 다른 과목의 도구과목으로서도 중요하다. 그런데 부모들은 대개 아이가 읽기를 시작하면 국어교육에 대해 무관심하다.
공부할 때 기본 핵심은 중요한 내용과 중요하지 않은 내용을 구분할 줄 아는 것이다. 그러려면 읽기를 잘해야 한다. 읽기는 수학을 공부하든, 국어나 영어, 혹은 과학이나 사회를 공부하든 지식을 흡수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아이가 읽기를 못하면 공부를 효율적으로 하지 못하고, 문제를 해석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어서 시험성적도 나쁘다. 반면 읽기를 잘하면 저자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으며, 그것을 이미지화해서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수학문제 풀기도 더 수월해진다.
_<2장 읽기 뇌와 쓰기 뇌>
국어는 밥상머리 교육이 중요하다.
연구에 의하면, ‘읽기’에 문제가 있는 아이들은 ‘말하는 능력’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영유아기에 부모에게서 말을 많이 듣고 자랐던 아이들은 초등 3학년이 되었을 때, 그렇지 않았던 아이들에 비해 독서능력, 철자법, 말하기, 청취능력이 더 뛰어났다.
또한 부모가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고 적극적으로 반응해주는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IQ나 어휘력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연구에 의하면, 빈곤층 아이들은 시간당 600단어를 들었고, 노동자 부모를 둔 아이들은 1,200단어를 들었으며, 전문직 부모의 아이들은 2,100단어를 들었다. 부모의 말에 포함된 명사와 형용사의 종류가 다양하거나 문장이 길수록, 아이들의 언어가 잘 발달한다.
_<2장 읽기 뇌와 쓰기 뇌>
어릴 때부터 ‘성장형 사고’를 가지면, ‘나는 지금 이만큼밖에 모르지만 더 나아질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배움에 임하게 된다. 반대로 ‘고정형 사고(Fixed Mindset)’는 재능은 타고나며 바뀌지 않는 것이라는 생각이다. 이런 생각을 주입받은 아이들은 ‘내 수준은 여기까지’라고 결론짓고 생각의 창을 닫아버린다. 창의성을 키우는 데에서 고정형 사고는 독이다.
부모들은 자신도 모르게 “넌 참 똑똑하구나” 하고 아이들을 칭찬한다. 그런데 이런 칭찬은 오히려 고정형 사고를 부추긴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아이들의 머릿속에 ‘재능은 타고난 것’이란 인식을 심어주기 때문이다. ‘넌 참 똑똑해’라고 칭찬하기보다는, 아이들이 노력한 과정을 짚어서 칭찬하는 것이 좋다. 아이들이 스스로 자신의 어떤 노력이 어떻게 성장으로 이어
졌는가를 파악하게 이끌어주어야 한다.
_<2장 읽기 뇌와 쓰기 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