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0390231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2-04-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Foreword 1994)
서문(Preface 1982)
여는 글_ 미로 속으로
1부 | 메이저 아르카나
1장 들어가는 말 _ 비밀과 영약
2장 바보 _ 자신의 엘프 신뢰하기
3장 마법사 _ 불을 춤추다
4장 고위여사제 _ 주의 기울이기
5장 여황제 _ 내어주기
6장 남황제 _ 분리하기
7장 교황 _ 타인을 억압하기
8장 연인 _ 결합
9장 전차 _ 자기 길을 개척하기
10장 정의 _ 바로잡기
11장 크론 _ 내면으로 전환
12장 운명의 수레바퀴 _ 위대한 회전
13장 힘 _ 마법의 도우미 찾기
14장 거꾸로 매달린 사람 _ 입문을 수용하기
15장 죽음 _ 떠나보내기
16장 절제 _ 우주에너지 그라운딩하기
17장 악마 _ 영혼을 부인하기
18장 탑 _ 구조를 산산조각 내기
19장 별 _ 여신에게 열리기
20장 달 _ 신비 경험하기
21장 태양 _ 의식 고양
22장 심판 _ 지구 치유하기
23장 세계 _ 순환에 오르기
2부 | 마이너 아르카나
24장 들어가며 _ 일상의 드라마
25장 에이스,2번과 3번 카드 _ 활동궁
26장 4, 5, 6번 카드 _ 고정
27장 7, 8, 9번 카드 _ 변화무쌍
28장 10번 카드 _ 변형
29장 딸 _ 젊음
30장 아들_ 남성적 대극
31장 여사제 _ 신성
32장 샤먼 _ 경험
3부 | 마더피스의 정신
33장 카드 읽기
34장 집단작업
35장 새로운 신화 창조하기
옮긴이의 말
일러두기_ 본문에 있는 위첨자는 영어 원문의 단어와 옮긴이의 말입니다.
리뷰
책속에서
마더피스 이미지에서 메이저 아르카나가 약속하는 것은 여신의 회복에 기반을 둔 바로 그런 변형이다. 지배적인 가부장제 문화에서 여신은 주로 비의적 형태로 살아남는다. 우리가 보았던 아르카나는 비밀의 지혜를 보호하고, 적절하게 사용해 치료법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이 치료법에는 해야 할 일이 있다. 텔레비전을 보는 것 같은 수동적인 경험과 달리 아르카나는 적극적 참여를 요구한다. 또 아르카나가 제공하는 치료법은 쉽게 삼킬 수 있는 알약이 아니라 자기 발견의 과정이다.
이 비밀의 가치를 파악하려면 우리는 불신을 보류하고 다른 영역에서 온 꿈같은 이미지에 우리의 상상력을 열어야 한다. 이들 모계사회의 이미지가 우리에게 낯설게 느껴진다면 그건 이 이미지들이 오늘날 우리 삶과 연관성이 부족해서라기보다는 반대로 지배적인 가부장적 문화의 전제에 도전하기 때문이다.
- 1부 메이저 아르카나, “제1장 들어가며, 비밀과 영약” 중에서
여성을 그린 최초의 그림은 적어도 구석기시대 이전 아프리카와 유럽의 동굴 벽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여신을 숭배하는 모든 문화에서 여성은 몸에서 느낄 수 있고 즐길 수 있는 신성한 에너지를 황홀경 속에서 찬양한다. 프롤로그에 그려진 춤추는 여성상에 더해 무녀들이 원으로 소년(스페인)과 남성 음악가 (멕시코), 여신 자체를 (보에티아Boetia) 둘러싸고 춤추는 작은 테라코타 상들이 우리가 가진 증거이다. 나중에 그리스 마에나드족의 예술에서는 디오니소스의 의례에서 춤추는 야생의 여성들로 나타난다. 모든 조각상은 영spirit에 의해 힘을 얻은 여성들이 몸과 동떨어지고 몸보다 더 ‘높다’고 흔히 여겨지는 영역과 물리적 몸을 통합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영(좋음)과 몸(나쁨)을 분리하는 이런 종교적 패러다임은 영을 남성으로 몸을 여성으로 상정하는 경향을 보이고, 전 세계 가부장제를 특징짓는 불행한 위계질서를 만들어낸다. 마찬가지로, 성적·영적 자유를 포함하는 ‘처녀’라는 여성 원형은 현대의 ‘처녀’와 ‘창녀’라는 원형으로 갈라진다.
- 1부 메이저 아르카나, “11장 운명의 수레바퀴, 위대한 회전” 중에서
초기 인류는 온전하고 성교 없이 잉태한 어머니 여신을 경배했다. 이 주제는 성모 마리아의 ‘순결한 수태’와 그리스도의 ‘처녀 태생’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찬란한 어머니 여신은 지구 위 생명의 기원을 상징하고, 인간 사회에서 ‘부성’이 제도화되기 이전의 오랜 모계 혈통을 상징한다.
- 제2부 마이너 아르카나 30장_아들 “남성적 대극” 중에서